• 제목/요약/키워드: failure diagnosis

검색결과 999건 처리시간 0.032초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사상체질에 따른 경구 혈당강하요법의 치료 반응성 및 사용 패턴 평가 (The Difference of Efficacy for Oral Hypoglysemic Pharmacotherapy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mong Type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Korea)

  • 김지연;이명구;김정태;임성실
    • 약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71-79
    • /
    • 2014
  • Although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re generally treated by western medicine, many of them strongly believe in the traditional oriental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and depend on it for food, health supplements, and oriental medicines decision making.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is a par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at divides people into four constitutional types (Tae-Yang: TY, Tae-Eum: TE, So-Yang: SY, and So-Eum: SE), which differ in inherited characteristics such as appearance, personality traits, susceptibility to diseases, and drug responses. It is recommended for T2DM patients to control their blood glucose very well from early stages with drugs and diet. However, many T2DM patients respond differently to their drugs, even though they receive the same medicin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Sasang constitutional type can explain the therapeutic differences between oral hypoglycemic agents (OHAs) therapy (mono, dual and triple drug therapy). Patients of 618 with T2DM diagnosis and Sasang constitutional type known who received both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in a hospital between April 2006 and April 2013 retrospectively studied. HbA1c (%) and blood glucose (mg/dl) levels before OHAs therapy and 3 month after were collected for metformin (MET) or sulfonylurea (SU) monotherapy, MET+SU dual therapy, MET+except SU (where was either alpha-glucosidase inhibitor,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 meglitinide or thiazolidinedione) dual therapy, and triple therapy,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type. For statistical analysis, ANOVA was used and paired t-test by SPSS 19.0 where P 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tern was similar levels of HbA1c and blood glucose and which was decreased in order of mono, MET+SU dual, MET+except SU dual and triple therapy. In all patients comparison, for the So-yang (SY) constitutional type, either monotherapy was less effective; for Te-eum (TE) type, MET+SU dual therapy was less effective while MET+except SU dual therapy was more effective and the triple therapy was less effective; and for So-eum (SE) type, the triple therapy was more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of TE type it is recommended to use drugs except SU when dual therapy is needed, restrict triple therapy and consider dual and insulin therapy; for SY type it is recommended to follow current guidelines; and for SE type it is advisable to skip dual therapy and start the triple therapy early. Finally, the therapeutic response to OHAs is different among Korean T2DM patients with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Taken together, the choice of effective OHAs therapy for each type is necessary in order to minimize the poor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the costs from a failure of therapy.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Rapid Response Team)

  • 한미라;강은형;이용숙;장은주;이수정;허윤아;남궁서화;서서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198-206
    • /
    • 2020
  • Purpose: The rapid response team is a patient safety system that detects symptoms and signs of deteriorating inpatients and provides inter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team.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at analyz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activated by the rapid response team. The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7. We analyzed 278 pieces of data activated by the rapid response team for patients aged 16 years or older at C University S Hospital in Seoul. We employed the SPSS 23.0 program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asons for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team were oxygen saturation of less than 90.0%, other causes, and change in consciousnes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activated patients was respiratory failure (32.4%). The average activation time was 153.43±286.05 min. The activation time was shortest during convulsions (13.29±7.32 min). For patients with a history of kidney disease (B=0.58, p=.008), in case of surgery (B=0.55, p<.001), if the first symptom is mediated by the physician (B=0.53, p=.007) the active time is often extended. On the other hand, activation time is reduced when consciousness changes (B=-0.51, p=.002), especially when oxygen saturation is below 90.0% (B=-0.64,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patients deteriorating in the general ward would be recognized early, which will help in the effective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team.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55-265
    • /
    • 2013
  •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자기 표면의 문양을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 광응용 시스템연구 (Research on Light Application System for the Dynamic Moving Effect of The Design on Porcelain)

  • 유희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205-210
    • /
    • 2014
  • 본 연구는 도자기의 표면에 무늬, 모양, 그림, 글씨 등의 문양을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 광응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 표면 문양에 부착된 광섬유에 의한 LED광신호를 이용하여 문양의 움직임 효과를 실시간으로 표출하고, 도자기가 있는 장소의 조도와 회전판의 움직임을 수집하여 큐레이터가 응급조치를 취하고 문양의 표출효과를 관리하기 위한 광응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에 의하면, 도자기가 놓여져 있는 장소의 조도를 측정하여 문양의 표출효과를 큐레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이 실시간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 발생 시에 자동으로 신호를 발생하여 조치할 수 있게한다. 또한, 본 연구은 일정기간 동안 광신호 전송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표출효과를 분석 후, 최적의 표출효과를 갖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자기가 있는 장소의 조도 상태를 감지 및 전달하고, 적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일정한 조도수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적절한 조건에 의거 문양 표출관련 광섬유 색체, 표출간격과 밝기에 대한 신호 데이터가 강제 혹은 의도에 의한 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제센터의 응용프로그램과 LED제어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광송출신호를 생성하여 색채, 조도, 표출간격을 측정하고 전송할 수 있는 문양을 움직이는 효과를 갖는 광응용시스템을 연구하였다.

폐정맥 패쇄에 의한 폐고혈압증 1예 (A case of Pulmonary Veno-occlusive Disease)

  • 조재연;이상엽;이상화;박상면;서정경;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김광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274-279
    • /
    • 1996
  • 폐정맥 폐쇄성 폐고혈입증은 드문 질환이기는 하나 폐부종이 동반된 폐고혈압증에서 반드시 의심해야 하며 폐생검을 통해 확진할 수 있고, 폐조직 검사상 폐동맥의 침범이 있다해도 이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저자들은 폐부종을 동반한 폐고혈압증에서 심도자 검사상 폐동맥쐐기압이 정상이고 다른 심장 질환이 없는 것올 확인한 후 폐조직 생검으로 진단된 폐정맥 폐쇄에 의한 폐고혈압증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yclophosphamide에 의해 유발된 미만성 폐포 손상 1예 (A Case of Diffuse Alveolar Damage Induced by Cyclophosphamide)

  • 배상수;배문희;박형석;박정웅;서지영;정만표;한정호;권오정;이경수;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429-436
    • /
    • 1998
  • 저지들은 이전의 문헌과 비슷하게 만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에서 cyclophosphamide와 스테로이드 치료도중 cyclo-phosphamide 최초 투여 시작일로부터 1~2개월이내에 발생한 조기 발현형 폐독성으로 개흉폐생검을 통하여 진단한 후 조기에 cyclophosphamide의 투여 중단과 함께 스테로이드 사용에도 불구하고 진행성 호흡부전으로 사망한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이틀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상 환자에서 알코올 금단 증후군의 발생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Prognosis and Clinical Outcome of Alcohol Withdrawal Syndrome in Trauma Patients)

  • 오동길;조민수;배금석;강성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1권2호
    • /
    • pp.115-119
    • /
    • 2008
  • Purpose: Abrupt abstinence from alcohol in cause of chronic alcohol addiction can trigger alcohol withdrawal syndrome. The authors studied the effect of post-operativ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in patients who require intensive care due to trauma. Methods: For the study group, we selected 70 patients who had undergone emergency surgery from May 2003 to March 2007 due to trauma and who had been treated with prophylactic thiamine. Data was collected retrospectively. We excluded those who extended their hospital stay for other than traumatic causes, those who died within 3 days of surgery after trauma, those who transferred to other institutions, and those who received a psychiatric diagnosis. Patient groups were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r the non-existence of withdrawal syndrome. Age, sex, injury mechanism, mortality, complications, durations of hospital stay and intensive care, use of mechanical ventilator, and sedative use were investigated. A Chi-square test and The Mann-Whitney method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Twenty-four (24) patients from the 58 who had an ISS of 16 or more showed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nd men were shown to be affected with the syndrome significantly more than women. Although IS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8). The total hospital stay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was on average 10 days longer.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54).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nger (P<0.029). The patients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or use (P<0.783), or in the duration of sedative use (P<0.284). Respiratory distress, pneumonia, upper airway infection, sepsis, acute renal failure, and mortality in th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group were investigated,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noted.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in chronic alcohol abusers was longer due to the development of alcohol withdrawal syndrome. We also discovered that, when the patients overcame the symptoms of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fter intensive care,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equency of developing complications, the morbidity, and the mortality.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tensive care in trauma patients who are chronic alcohol abusers decreases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found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nd does not adversely impact the prognoses for those patients.

개에서 다중나선형 CT촬영에 의한 동맥혈전색전증의 평가 (Assessment of Systemic Arterial Thromboembolism with Multi-Slice Spiral CT in a Dog)

  • 신승호;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8-213
    • /
    • 2007
  • 호흡곤란과 후지마비 및 발등부위의 괴사를 나타낸 수컷 진돗개가 전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초기 검사에서 심장 사상충 감염이 확인되었다. 흉부방사선 외측상에서 폐동맥의 확장과 후엽의 간질패턴, 그리고 복배상에서 주 폐동맥의 뚜렷한 확장등이 관찰되어 심장사상충증을 뒷받침하였고, 복부 외측상 및 복배상에서 복부세부음영 소실이 관찰되어 복수를 의심하였다. 초음파상에서 복수와 불규칙한 간변연 그리고 신장양극의 피질에서 쐐기모양의 국소적 고에코상을 관찰하였으며 복부대동맥에서 분지하여 주행하는 바깥장골동맥의 3상형 동맥파형이 분지부 근위에서 관찰되었으나 이 후 대퇴동맥의 파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혈액화학검사에서 백혈구증다증, 빈혈, 혈색소 뇨, 고빌리루빈혈증, 저 알부민혈증, 전해질불균형, 그리고 간장 및 신장효소치의 상승등이 관찰되어 광범위한 장기의 손상이 의심되었다. 특히 글루코스는 정상적인 전지와 마비를 보이는 후지에서 비교한 결과 후지의 글루코스 수치가 현저하게 낮았다. 전산화단층촬영술 후 3차원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이용하여 후지 마비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후지 동맥의 혈전색전증과 폐동맥혈전색전증 및 신장경색 등을 확인하였다. 예후불량으로 판단되었으며 실험적 중재적 방사선술을 시도하였으나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3차원 재구성 CT 영상은 색전증의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유용하며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고 판단된다.

호산구성 대장염 1례 (A Case of Eosinophilic Colitis in a 11-year-old Boy)

  • 나주희;박영실;김선미;이정현;정대철;김진택;정승연;이안희;강진한;이준성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91-95
    • /
    • 2002
  • 저자들은 설사와 우복부통증 및 체중감소의 증상을 보인 11세 남아에서 말초혈액의 호산구수 증가와 IgE가 정상범위이며 대장내시경하에 채취한 S자결장 생검조직에서 특징적인 호산구침윤 소견이 관찰되어 비 IgE 매개성 호산구성 대장염으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으며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로 증상 호전을 보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제 II 형(Dense-Deposit Disease) 1례 (A Case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I(Dense-Deposit Disease))

  • 이숙진;문재훈;강미선;송민섭;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204-210
    • /
    • 2003
  •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Berger와 Galle에 의해 처음 기술되어졌고, 전자 현미경상 고밀도로 보이는 물질들이 치밀층에 침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dense deposit disease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비록 원인과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보체의 대체경로를 활성화시켜 저보체혈증이 일어나는 임상양상으로 미루어 볼 때 이와 연관된 병의 발생기전이 보고되어 있다. 이 질환은 다른 신염에 비해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높아 그 중요성이 있으나 정립된 치료법이 없어 다양한 노력이 시도 중이며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다. 저자들은 내원 3년 전부터 나타난 지속적 반복적 육안적 혈뇨와 단백뇨, 지속적인 보체 감소증이 있었으나 상실성 빈맥증(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때문에 신조직 검사를 지연시켜오던 환아에서 2년 정도의 digoxin 복용 후 실시한 7세 여아의 조직검사에서 제 2형 막증식성 사구 체신염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