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asymmetry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32초

개구장애 환자의 병인, 감별진단 및 치료방식에 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N THE ETIOLOGY,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TRISMUS)

  • 강희제;황대석;김용덕;신상훈;김욱규;김종렬;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6호
    • /
    • pp.544-558
    • /
    • 2006
  • Trismus is a common problem to most people experiencing at once in his or her life and to most dental practitioners experiencing frequently. It has a number of potential causes which are single factor or complex factors. Its treatment will depend on the c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auses of trismus condition and the various treatments available. This study was made by reviewing of collected data from 86 patients complained of trismus among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TMD, tumor, infection including tetanus, soft tissue anomalies, bony fracture and ankylosis from Jan 2002 to Dec 2004 o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outh Korea. The clinical reviews regarding chief complaints, clinical characteristics, diagnostic examination, treatments and the results on the patients were given as follows. 1. The etiology of trismus commonly were derived from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 TMJ ankylosis, TMJ tumor, odontogenic maxillofacial infection, mandibular condylar fracture, tetanus. 2. The chief complaints of trismus patients were progressive mouth opening limitation, TMJ pain, malocclusion, facial asymmetry, retrognathic state. 3. Especially,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 fibrous ankylosis and true bony ankylosis, computed tomogram (CT) was useful. Surgical gap arthroplasty on bony ankylosis patients was applied and the gain of mouth opening after operation was average 35.8 mm during 19 months. 4. The tetanus, rarely, also induced the trismus with the range of mouth opening less than 10 mm. The average serum level of tetanus anti-toxin was 0.02-0.04 IU/mL. The limitation of mouth opening was improved into average 38 mm on 4 weeks after injection of 10,000 units of tetanus immune globulin. 5. In the treatment of osteochondroma, TMD, odontogenic infection and fracture, and the others inducing trismus, to obtian the maximum result and decreased inadequate time and effort, it is important to finding the causes from the exact clinical examination and diagnosis.

9세 소아에서 발생한 하악과두의 골수염 (Osteomyelitis of Mandibular Condyle : A Case Report in 9-year-old Child)

  • 이경은;최순정;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333-340
    • /
    • 2009
  • 골수염은 골수의 염증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골을 구성하고 있는 조직등의 염증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골수에서 시작되어 수질내로 확장되며 피질골, 골막등에 이환되어 골 전반에 걸친 골괴사를 야기시킨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여겨지며 항생제의 발달로 그 유병율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외상, 매독, 만성 신질환, 알코올 중독, 영양결핍, 방사선 조사나 화학적 항암요법은 골의 감염을 위험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골수염의 치료는 비교적 까다로우며 난치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소아에서는 하악구조가 성숙이 덜되어 있어 염증이 쉽고 빠르게 퍼진다. 따라서 소아에서는 골수염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아는 성장중이므로 악골의 성장 또한 고려해야 하므로 조기발견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하악골중에서 하악과두는 하악골 성장의 중요한 곳으로 하악과두의 질환발생시 하악성장율감소, 안면비대칭과 같은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하악과두의 골수염은 대부분 치성감염이나 하악골절후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단, 소아의 경우에는 특별한 감염원인 없이 하악의 골수염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는 9세의 소아에서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하악과두의 골수염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보고와 함께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소아에서의 Garre 골수염 (GARRE'S OSTEOMYELITIS IN CHILDREN)

  • 우세은;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3-420
    • /
    • 2011
  • Garre 골수염은 혈류 순환 및 영양 공급의 장애로 골이 괴사되거나, 세균 감염이 증가되면 발생한다. Garre 골수염은 치수나 치주 감염에서 시작된 치성계 감염과 이의 진행에 따른 골막 하 농양이 주요 원인이 되며, 외상으로 인한 악골의 복합 골절시 2차 감염, 국소적인 치은의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상악에서보다 하악에서 많이 발생되며 호발 부위는 하악 제1대구치이다. 임상증상으로 이환 부위의 하악골은 팽창되어 있으나 구강점막은 정상적 색조를 가지며 안면 불균형을 나타낸다. 방사선사진 상 심한 우식증을 가진 치아의 치근단 병소를 관찰할 수 있으며, 자극을 받는 골조직 부위의 치밀골 증가로 골수강은 좁아지거나 폐쇄되며 외양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의 투여, 원인치의 발치 또는 근관치료, 절개 및 배농술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15세 이하의 소아환자에서 악골 골수염이 발생한 경우, 장기적인 항생제 투여나 항생제 투여 및 근관 치료를 병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이다. 소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증상이 경미하므로 주의 깊은 병력 청취와 임상 검사를 통한 진단이 요구되며, 증상이 사라진 경우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추적 검사가 요구된다.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하악과두의 퇴행성 골 변화를 보이는 환자의 분포 및 임상적 특징 (Distribution and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change of the mandibular condyle)

  • 임용규;김민지;김연중;송윤헌;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02-411
    • /
    • 2006
  •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하악과두의 퇴행성 골 변화를 보이는 환자의 분포와 임상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은 6,07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초진 시 파노라마와 TMJ 파노라마 사진을 관찰하여 하악과두의 퇴행성 골 변화 유무를 기준으로 환자들을 퇴행성 골 변화를 보이는 군(DJD군)과 골 변화를 보이지 않는 군(non-DJD군)으로 나누고, 환자들의 초진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두 군 간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종 변수들이 DJD 발병에 미치는 상대적 위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환자 중 DJD군에 속한 환자는 31.7%였고, non-DJD군에 속하는 환자는 68.3%였다. DJD군은 성별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여 남자보다 여자의 이환율이 높았고, 10대와 20대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환자의 내원 주소 중에서는 전치부 개방교합, 턱의 후퇴감, 안모 비대칭, 개구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가 다른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 비해 DJD를 보일 위험성이 높았으며, 교정치료 경력이나 중심 위-중심교합위 변위 그리고 염발음을 보이는 환자도 DJD군에 속할 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환자 중 30세 이하의 여성이 위와 같은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 경우, 교정치료를 계획할 때 DJD에 이환 되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악 우각부 및 악하부에 발생한 경부수활액낭종 (CYSTIC HYGROMA IN LEFT SUBMANDIBULAR AREA;REPORT OF A CASE)

  • 이희철;윤규호;노영서;박성원;신명상;전인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71-178
    • /
    • 1994
  • 경부수활액낭종과 임파관종은 선천적으로 임파계가 발육이 정지되거나 방해 받으므로 나타나는 병소로 현재까지도 그 본태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질환이다. 본 증례에서는 좌측 하악 우각부 및 상경부에 동통을 동반한 미만성 종창 및 연하장애로 1991년 7월 20일 본원을 내원한 5세 여아에서 임상 소견 및 방사선 소견을 통해 좌측 하악 우각부 및 상경부에 발생한 경부수활액낭종으로 진단하여 악하부 절개를 통해 $1{\time}6{\time}5cm$의 크기를 다방성 낭종구조를 가진 종물을 외과적으로 적출한 증례에 있어서 술후 현재까지 재발 등의 증상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safe, stable, and convenient three-dimensional device for high Le Fort I osteotomy

  • Sugahara, Keisuke;Koyachi, Masahide;Odaka, Kento;Matsunaga, Satoru;Katakura, Akira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2권
    • /
    • pp.32.1-32.4
    • /
    • 2020
  • Background: Le Fort I osteotomy is a highly effective treatment for skeletal jaw deformities and is commonly performed. High Le Fort I osteotomy is a modified surgical procedure performed for improving the depression of the cheeks by setting the osteotomy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Le Fort I osteotomy. Developments in three-dimensional (3D) technology have popularized the use of 3D printers in various institutions, especially in orthognathic surgeries. In this study, we report a safe and inexpensive method of performing a high Le Fort I osteotomy using a novel 3D device and piezosurgery, which prevent tooth root injury without disturbing the operation field for patients with a short midface and long tooth roots. Results: A 17-year-old woman presented with facial asymmetry, mandibular protrusion, a short midface, and long tooth roots. We planned high Le Fort I osteotomy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Prevention of damage to the roots of the teeth and the infraorbital nerve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posterior osteotomy line were crucial for clinical success. Le Fort I osteotomy using 3D devices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but were particularly large in size for this case. Additionally, setting the fixing screw of the device was difficult, because of the risk of damage to the roots of the teeth. Therefore, a different surgical technique, other than the conventional Le Fort I osteotomy and 3D device, was required.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3D device were fabricated separately, to prevent any interference in the surgical field. Further, the 3D device was designed to accurately cover the bone surface from the piriform aperture to the infra-zygomatic crest with two fixation points (the anterior nasal spine and the piriform aperture), which ensured stabilization of the 3D device. The device is thin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urgical field. Safe and accurate surgical performance is possible using this device and piezosurgery. The roots of the teeth and the infraorbital nerve were unharmed during the surgery. Conclusions: This device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conventional devices and is a simple, low-cost, and efficient method for performing accurate high Le Fort I osteotomy.

선천성 유아 사경의 임상 물리치료 연구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Infant Muscular Torticollis)

  • 허춘복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63-870
    • /
    • 1996
  • 1995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대구동산의료원 물리치료실에 의뢰된 선천성 유아 사경환자 46명을 대상으로 물리 치료를 하고 분석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 녀의 성별분포는 남아 27명(58.7 %), 여아 19명(41.3 %)으로 남 녀의 비는 1.5 : 1로 남아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좌 우측 분포는 우측 22명(47.8 %), 좌측 23명(50.0 %)으로 좌 우측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양측에서도 1명(2.2 %) 이었다. 2. 출생순위는 첫째가 34명(73.9 %)으로 가장 많았고 둘째가 11명(23.9 %)으로 나타났다. 3. 분만방법은 정상분만 29명(63.0 %), 제왕절개분만 11명(33.9 %), 난산 5명(11%), 둔위분만 1명(2.2 %)순으로 나타났다. 4. 두부의 비대칭이 나타난 60.0 % 중 연령이 $5\sim8$주에서 45.7 %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안면의 비대칭은 26.1 % 중 연령이 $5\sim8$주, $9\sim12$주, $17\sim20$주에서 각 3%로 가강 높게 나타났다(P<0.05). 5. 사경의 정도는 경도 54.3 % 중 치료기간 $1\sim2$주에서 30.4 %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중등도는 30.4 % 중 치료기간 $3\sim4$주에서 13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증도 7%에서는 $9\sim10$주에서 7.5 %로 가장 높았다(P<0.005). 6. 결과는 연령과 사경의 심한정도와 비교하였을 때 경도 45.6 % 중 매우 우수 24명(51.9 %)였고, 중등도에서는 30.4 % 중 매우 우수 28.1 %, 중증도에서는 )5.2 % 중 매우 우수 13.1 %로 높게 나타나 유의높았다(P<0.05).

  • PDF

관골 골절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ZYGOMATIC BONE FRACTURE)

  • 유선열;정현;박세찬;오유근;박홍주;소광섭;조용기;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1호
    • /
    • pp.54-59
    • /
    • 1999
  • 1992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본과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중 추적이 가능한 관골 골절 환자 16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관골 골절 환자의 연령 분포의 범위는 8세부터 78세까지로 평균연령은 35.6세였고, 성별 분포는 7:1로 남성에서 호발하였다. 월별로는 10월(14.0%)과 8월(11.6%)에 많았고 계절별로는 가을(31.1%), 여름(25.6%), 겨울(23.2%), 봄(20.1%)의 순이었다. 발생시각별 분포는 21~24시 (34.2%)와 1~4시 (21.3%)에 많았고, 원인별로는 교통사고(53.7%)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관골 골절의 분류에 따른 분포는 class IV(33.5%)와 class III(25.6%)가 많았고, 동반된 안면부 골절은 164명중 114명(69.5%)에서 147례가 발생하였으며, 그중 상악골 골절이 52.4%로 가장 많았다. 내원 방법은 응급실을 통해 내원한 경우가 72.3%, 외래를 통해 내원한 경우가 26.8%였으며, 타과와의 연관 손상이 있는 경우는 37.2%였다. 수상후 수술을 받을때까지 경과된 시간은 5 일 이내가 36.6%로 가장 많았으며, 접근방법으로는 구내절개법(57.1%)과 눈썹절개법(38.4%)이 많이 사용되었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안구 함몰증(7.3%), 안모 비대칭 (6.7%), 감각저하(6.1%), 복시 (2.4%) 등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관골 골절시에는 골절의 정도와 동반 골절 및 연관 손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고 타과와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적절한 처치를 해줌으로써 술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단일기관의 장기추적 결과 (Bilateral retinoblastoma: Long-term follow-up results from a single institution)

  • 최상열;김동환;이강민;이현재;김미숙;이태원;최상욱;김동호;박경덕;이준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674-679
    • /
    • 2009
  • 목 적 : 양측성 망막모세포종 환자들의 치료 후 장기후유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 10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10년 이상 장기추적관찰 중인 양측성 망막모세포종 환자 22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진단시 연령, 치료지연, Reese-Ellsworth (RE) 분류, 국소치료방법 등의 임상 변수와 생존율, 안구합병증을 포함한 장기후유증의 발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진단 시 정중 연령은 7.0 개월로(범위, 1.7-31.6개월), 백색동공으로 내원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44개 안구의 RE 분류는 각각 group II (n=4), III (n=14), IV (n=4), V (n=22)이었다. 추적관찰 141개월째인 현재 20명이 생존하여 있으며, 10년 안구생존율은 $56.8{\pm}7.5%$이었다. 임상변수 중, 3개월 이상의 치료지연이 재발과 관련이 있었다. 방사선 치료 후 백내장, 망막박리, 안구로, 안면비대칭 등의 합병증이 관찰되었으며 현재까지 이차성 종양의 발생은 없었다. 결 론 : 안구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도록 노력하고 진단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장기적인 후유증의 발생여부에 대해서도 세심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