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to-face class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31초

비대면 환경에서 제품자료관리 시스템 기반 협동제품개발 실습과제 운영 사례 (Case of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based on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 도남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46-54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non-face-to-face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that can respond to the spread of COVID-19 by expanding existing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based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For the complete non-face-to-fac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it utilized prototype development using a 3D paper model, an online class management system and social media for classes and meeting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non-face-to-face method, product developments of 26 practice teams have been completed without any failure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can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mplete non-face-to-face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based on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s.

비대면 및 대면 상황의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rgument-Based Inquiry(ABI) Science Class of No Face-to-Face and Face-to-Face Context)

  • 이지화;조혜숙;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5호
    • /
    • pp.390-404
    • /
    • 2022
  • 이 연구는 비대면 및 대면 상황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의 특징 및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 113명 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상황의 5개 주제와 대면 상황의 5개 주제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 수업을 적용하였다. 비대면 및 대면 상황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 수업 진행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특징 및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둠별 의문 만들기 단계의 논의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 활동의 특징과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상황의 논의기반 탐구 수업은 대면 상황의 논의기반 탐구 수업과 비교하여 내용에 대한 이해와 증거제시 타당성 항목에서 높은 수준의 사고가 나타났다. 대면 상황의 수업에서는 비대면 상황의 수업보다 주장제시 타당성과 논의과정의 전개 항목에서 높은 수준의 사고를 보였다. 비대면 상황에서는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아닌 글을 바탕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로 부터 지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대면 상황에서는 모둠원들과 직접적인 의사소통으로 인한 대인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고가 주로 나타났다.

Face-Mask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아의 치험례 (CASE REPORTS ON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FACE-MASK)

  • 양규호;이영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36-745
    • /
    • 1996
  • The conventional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has been focused on application of orthopedic force primarily to the mandible. However, In Class III malocclusion with retrograde position or underdevelopment of Maxilla, this approach is not suitable treatment. These patients need an application of orthopedic forces via face-mask to the Maxilla to stimulate its growth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growth.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Face-Mas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orward growth of Maxilla was enhanced. 2. Labioversion of upper incisors and linguoversion of lower incisors were observed. 3. Mandible was rotated to clockwise direction and remodeling of B point was observed. 4. Anterior crossbite was corrected by combining of the above results.

  • PDF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Pattern recognition and AI education system design for improving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e-learning) education)

  • 이해인;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 PDF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구축 (Pattern Recognition and AI Education System Design Proposal for Improving the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E-Learning) Education)

  • 이해인;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0-283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 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구축하였다.

  • PDF

7톤급 터보펌프 기계평면실의 성능 시험 연구 (Study on the Mechanical Face Seal Performance for a 7-ton-Class Turbopump)

  • 배준환;곽현덕;최창호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2권5호
    • /
    • pp.154-159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leakage performance and endurance performance of a mechanical face seal in the 7-ton-class turbopump of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 2 third-stage engine. We install a mechanical face seal between the fuel pump and turbine to prevent the mixing of the fuel and turbine gas. We design and manufacture a prototype mechanical face seal, which has two parts, namely, a bellows seal assembly and mating ring. We set up a test facility to measure the leakage and endurance of the mechanical face seal. For the similarity tests, we use water under real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high rotational spee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leakage and carbon wear rat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echanical face seal. The results of the leakage and endurance performance test demonstrate the absence of any leakage from the prototype mechanical face seal after a trial run and clarify that the acceptable wear rate fully satisfies the turbopump requirements. Finally, we install a qualified mechanical face seal in a 7-ton-class turbopump and perform a validation test in the turbopump real-propellant test facility in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The test results confirm that the mechanical face seal works well under real operating conditions.

학습자 대상 위드 코로나 시대의 교수법 고찰 (A Study on Coexist with COVID-19 Teaching Methods for Learners)

  • 정애리;조영복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87-294
    • /
    • 2022
  • COVID-19 팬데믹으로 대면 수업이 어려워지면서 불가피하게 온라인 수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지속적인 온라인 학습에 대한 연구가 한창인 가운데, 교육부는 일상 회복과 함께 단계적 대면 수업 전환 계획을 발표하였다. 대학에서 이처럼 대면 수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입장과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입장, 그리고 수업의 주최인 학생들의 입장이 상이한 가운데 수업에 대한 의견 또한 상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업의 주최인 학생의 입장을 중심으로 한 '위드코로나' 시대의 교수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수자들의 교수법에 대한 고찰과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혁신적 교수법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통계기법을 활용한 Covid-19 이후의 환경에서 효율적인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AI 기반 e-러닝과 개인화 교육방법 도출방안 (Deriving AI-Bas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Efficient Class Satisfaction in the Post-Covid-19 Environment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 이선경;성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13-1220
    • /
    • 2022
  • 지난 Covid-19 시기의 비대면 수업을 겪었던 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의 도출방안에 대해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업시간의 적절성, 학습효과 향상, 비대면수업의 계속성, 교육매체의 이용을 수업만족도에 해당되는 항목으로 설정하고 변인간의 차이와 관계성에 대해 파악하여 효율적인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의 도출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비대면 가창 수업 방법 고찰 (A Study on Non-Contact Vocal Instruction)

  • 임지현;민경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2021
  •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시작으로 비접촉 사회를 형성하였다. 접촉을 제한하는 언 콘택트 시대가 도달함으로써 우리 사회 및 경제생활뿐 아니라 교육 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여 대학을 비롯한 모든 교육 기관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였다. 특히, 예체능을 비롯한 실무 형태 위주의 학과 수업들은 비대면으로 인한 제한된 환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창 수업은 주로 1:1 대면 개인지도 또는 단체 수업 방법에서 비접촉 시대로 시행된 비대면 수업 전환으로 과도기를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머물러 있던 국내 학교 현장에서 코로나 19 이후 비접촉 시대를 맞이하여 기술을 혁신하는 에듀테크가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속화된 교육 혁신에 대비하여 비대면 실기 수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택트 가창 수업 방법연구를 위해 먼저 비접촉 사회로 인한 국내 대학 현황과 가창 수업 형태를 살펴본다. 그 사례 연구로 가창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비대면 가창 수업의 장단점을 조사하고, 만족하는 수업 방법의 연구결과로 '가창 녹화 모니터링 및 선행학습', '즉각적인 영상자료 보컬 분석 및 보충 음악 이론'이 두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시대적 변화와 함께 효과적인 비접촉 가창 수업을 위해서는 비대면 가창 수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비접촉 가창 수업 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시스템 구축이 더욱 마련되어야 한다.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ue to COVID-19 on Academic Stress and Back Pain in University Students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ue to COVID-19 on Academic Stress and Back Pain in University Students

  • Kim, Yoo Rim;Kim, Dong Ho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3-48
    • /
    • 2022
  • Objective: In the present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of academic stress and pain from sitting for a long time, we will use a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stress and back pain on college students who have conducted non-face-to-face lectures. Design: Survey research Method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Naver foam to identify academic stress, attitude and time to listen to lectures, and the extent of back pain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non-face-to-face lectures. Outcome measures include the scale of academic stress (SAS),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Korea version) was implemented. The difference in academic stress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back pain was analyzed using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stress, consistency, and stability, the reliability of the academic stress items was measured by examining the reliability with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All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α=0.05. Resul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ompared to gender (P<0.05), bu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tress index, the higher the level of pai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non-face-to-face lectures caused by COVID-19 have increased academic stress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back pain in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