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gaze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2초

시선 인식을 이용한 자율 주행 휠체어 시스템 (Autonomous Wheelchair System Using Gaze Recognition)

  • 김태의;이상윤;권경수;박세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91-10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고, 거리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거리 정보를 통해 주행 중에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명령은 적외선 필터가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눈의 동공 중심과 반사점을 이용하여 시선에 의해 인식되고,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휠체어를 조종한다. 이때 10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목표지점까지 장애물과의 충돌을 피하도록 도와준다. 제안된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은 시선 인식기, 자율 주행 모듈, 센서 제어 보드, 모터제어 보드로 구성된다. 시선 인식기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고, 이를 모터 제어보드를 통해 휠체어를 조종한다. 그 후에 초음파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 정보는 센서 제어 보드로 전달되고, 센서 제어 보드는 이 정보를 자율 주행 모듈로 전달한다. 자율 주행 모듈은 장애물을 감지하고 이를 피하기 위해 모터 제어 보드로 명령을 전달한다. 모터제어보드는 자율 주행 모듈에서 받은 명령어를 지능형 휠체어에 전달하고 지능형 휠체어는 이 명령에 따라 움직인다. 실험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효과적으로 시선을 인식하고 장애물 회피할 수 있음을 보인다.

Kinect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실감 원격 영상회의의 시선 맞춤 시스템 (Real-time Eye Contact System Using a Kinect Depth Camera for Realistic Telepresence)

  • 이상범;호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C호
    • /
    • pp.277-2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실감 원격 영상회의를 위한 시선 맞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적외선 구조광을 사용하는 Kinect 깊이 카메라를 이용해서 색상 영상과 깊이 영상을 획득하고, 깊이 영상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한다. 깊이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가공되지 않은 깊이 영상은 다양한 형태의 잡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첫번째 전처리 과정으로 결합형 양방향 필터를 사용해서 잡음을 제거한다. 그 다음, 깊이값의 불연속성에 적응적인 저역 필터를 적용한다. 색상 영상과 전처리 과정을 거친 깊이 영상을 이용해서 우리는 가상시점에서의 화자를 3차원 모델로 복원한다. 전체 시스템은 GPU 기반의 병렬 프로그래밍을 통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최종적으로, 우리는 시선이 조정된 원격의 화자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자연스러운 화자간 시선 맞춤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확인했다.

사회불안성향자의 주의 과정에 관한 임상 융합 연구 : 정서맥락에서 긍정 자극을 중심으로 (Clinical Convergence Study on Attention Processing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Tendency : Focusing on Positive Stimulation in Emotional Context)

  • 박지윤;윤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9-9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얼굴 자극에 대한 주의의 과정에서 정서 맥락적 배경의 유무에 따라 사회불안성향자들과 정상인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맥락적 배경에서 긍정 얼굴 자극에 대한 주의 과정을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정서 맥락적 배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동일한 주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D시의 800명의 대학생에게 SADS와 CES-D를 실시하고, 사회불안집단(SA, n=24)과 정상 대조군(NC, n=24)을 선별하였다. 주의 개입과 주의 이탈 두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최초 응시 방향, 최초 응시 시간을 안구 운동 추적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집단의 경우 배경이 없는 상태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 얼굴 자극으로부터 더 빠른 주의 이탈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긍정 얼굴 자극이 긍정 배경 자극 안에 제시되면 사회불안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긍정 배경이 사회불안장애성향자의 정서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중곁 중뇌경색으로 인한 편측 안검하수에 대한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Unilateral Ptosis with Paramedian Midbrain Infarction)

  • 김재학;김수현;이현규;조기호;문상관;정우상;진철;권승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88-89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unilateral ptosis with paramedian midbrain infarction. Methods: One patient with unilateral ptosis with paramedian midbrain infarction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herbal medication for 32 days. We evaluated changes in ptosis by measuring the vertical distance for the frontal gaze of the right eye. Result: After 32 day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vertical distance for the frontal gaze of the right eye increased from 0 to 9 cm.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medicine might be effective in treating ptosis due to a paramedian midbrain infarction.

Research on Ocular Data Analysis and Eye Tracking in Divers

  • Ye Jun Lee;Yong Kuk Kim;Da Young Kim;Jeongtack Min;Min-Kyu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43-51
    • /
    • 2024
  • 본 논문은 수중 활동을 주로 하는 다이버를 대상으로 특수 목적용 다이버 마스크를 이용해서 안구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안구 데이터 분석을 위해 자체 제작한 안구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고, YOLOv8-nano 모델을 활용해서 학습 모델을 생성하였다. 학습 모델의 프레임 당 소요 시간은 평균 45.52ms를 달성하였고, 눈을 뜬 상태와 감는 상태를 구별하는 인식 성공률은 99%를 달성하였다. 안구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실 세계 좌표를 매칭할 수 있는 시선 추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의 검증 결과 x축은 약 1%, y축은 약 6%의 평균 오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neurysmal Bone Cyst of the Orbit :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 Yu, Jae-Won;Kim, Ki-Uk;Kim, Su-Jin;Choi, Sun-Seo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2호
    • /
    • pp.113-116
    • /
    • 2012
  • Aneurysmal bone cyst (ABC) is benign vascular lesion destructing the cortical bone by the expansion of the vascular channel in the diploic space that usually involve long bone and spine. Orbital ABC is rare and the clinical symptoms deteriorate rapidly after initial slow-progression period for a few months. A 1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phthalmologist due to proptosis and upward gaze limitation of the right eye, and orbital mass was noted in the upper part of right eye on orbital MRI. Five months later, exophthalmos was worsened rapidly with other features of ophthalmoplegia. Orbital mass was enlarged on MRI with intracranial extension. Surgery was done through frontal craniotomy and intracranial portion of the tumor was removed. Destructed orbital roof and mass in the orbit was also removed, and surrounding bone which was suspected to have lesion was resected as much as possibl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was aneurysmal bone cyst. Postoperative course was satisfactory and the patient's eye symptoms improved. Authors report a rare case of orbital ABC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Exact diagnosis by imaging studies is important and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surgical resection before rapid-progressing period and to resect the mass completely to prevent recurrence.

실시간 영상감시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Video Monitoring System on Real Time)

  • 조현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40-24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눈을 검출하고 추적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능동적 적외선을 이용한 눈 검출 및 추적 방법은 외부의 조명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밝은 동공 효과와 전형적인 외형을 기반으로 한 사물 인식 기술을 결합하여 외부 조명의 간섭으로 밝은 동공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견실하게 눈을 검출하고 추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눈 검출과 추적을 위해 SVM과 평균 이동 추적방법을 사용하였고, 적외선 조명과 카메라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구성하여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으로 다양한 조명하에서 눈 검출과 추적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The Behavioral Analysis of Dance Sports Judge's Visual Searching Strategies: Focusing on the Skating System

  • Kim, Mi-Sun;Lee, Ki-Kwang;Kim, Kwantae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5-24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visual search, eye fixation positions, and eye fixation position on whole body regions while judging final matches of dance sports. Method: Ten experienced judges (male 6, female 4) and six dance sports couples belonging to the top Korean leagues in the Korea Dance sports Federation were participated. Wearable eye tracker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ender, and the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judges' gender, dance event, and ranking.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ovement of male contestants was preferred, and the gaze fixation was high for torso movements in the judges' evaluations. Moreover,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upper body rather than the lower body; this was maintained for about seven seconds to evaluate each couple. Conclusion: This find was the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two couples was the determining factor in winning or losing.

Changes in Eyebrow Position and Movement with Aging

  • Park, Jeongseob;Yun, Sangho;Son, Daegu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65-71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dynamic changes in eyebrow position related to aging. Methods Femal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separated into two groups aged 20-30 years (the younger group, n=20; mean age, 24.8 years) and 50-70 years (the older group, n=20; mean age, 55.8 years). Photogrammetry was used to determine the eyebrow position at the medial canthus (MC), lateral limbus, lateral canthus, and lateral end point (EP) for 6 actions: smooth opening (the reference action) and closing of the eye, forward gaz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of the eye, and maximum frown. Videos were also recorded. Results No differences in eyebrow position were detected at the MC when opening or closing the eyes smoothly, gazing straight ahead, or closing the eyes maximally. For all 6 actions, the position of the lateral EP in the ol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younger group (P=0.003), and the smallest degree of vertical movement at this point was found in both age groups (P<0.001). Vertical movement at the 4 landmarks of the eyebrows decreased with aging. Conclusions Eyebrow position was unchanged at the MC with aging, except at maximal eye opening and maximal frown. No differences in eyebrow position were observed between the younger and older groups when eyes were maximally closed, except at the EP. It is important to focus on correction of the lateral EP for periorbital rejuvenation.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Relaxation Effect of Tree Planting using Eye Movement Tracking

  • Lee, Ju-Young;Sawada, Takuji;Fujii, Eijiro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89-93
    • /
    • 2007
  • In the Japanese garden, a unique planting design has been used to improve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by planting plants around the objects that are not harmonious with surrounding landscape. In this study, physiopsychological effects of plants caused by a traditional planting skill used in Japanese garden was verified in terms of visual relaxation using eye movement recording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 total of fourteen Japanese volunteers(seven male and seven female) who have normal vision(aged $21{\sim}28$) participated as subject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ealed room of Chiba University in Japan. Four different types of scenery models were presented which were created by combination of the three landscape factors of the surrounding background, the object that disturbs visual harmony, and the trees planted for improving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he results, significantly more gaze fixations were measured on the trees than on the object and higher values in positive feelings were recorded for the stimuli with proper planting combinat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oper tree planting can cause physiopsychological relaxation by improving visu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provided new evidence for supporting scientific validity of the traditional planting ski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