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usion-cooking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호주산 밀의 제면성에 관한 연구 (The Quality of Korean Dried Noodle made from Australian Wheats)

  • 이현덕;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3-169
    • /
    • 1985
  • 여섯 종류의 호주산 밀을 이용하여 한국 재래식 건조 밀국수를 제조하여 조리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비교 평가 하였다. 밀가루의 성질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글루텐과 전분으로 분획하여 전분의 유동특성을 규명하였다. 국수의 품질은 사용한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국수를 삶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졌으며 삶은 국수의 층밀림 압축력이 커지며 외관은 불량하여 졌다. 단백질 함량이 10% 수준의 중력분을 나타내는 Western Australian wheat과 South Australian wheat가 한국 재래식 건조 밀국수의 제조에 가장 적당하였다.

  • PDF

압출성형 옥수수 전분 매트릭스 내부의 비타민 C 함량에 미치는 압출성형 공정변수와 포장방법의 영향 (Effect of Process Variables and Packaging on Vitamin C Content of Extruded Cornstarch Matrix)

  • 한재윤;김미환;박종환;김석중;박희용;;류기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51-456
    • /
    • 2007
  • 압출성형 공정변수(배럴온도, 수분함량) 및 포장방법과 저장기간에 따른 압출성형 매트릭스 내부 비타민 C 함량변화와 손실속도상수를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매트릭스는 배럴온도(80, 90, 100 및 $110^{\circ}C$)와 수분함량(25, 30%)을 각각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배럴온도가 $8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수분함량이 25%에서 30%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ON 필름진공포장과 LDPE 플라스틱필름포장 모두 배럴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비타민 C는 감소하였고 LDPE 플라스틱필름포장 보다는 ON 필름진공포장의 비타민 C 함량이 높았다. 저장기간이 5주차로 증가함에 따라 비타민 C 함량은 감소하였다. 압출성형 원료가 압출성형 매트릭스보다 비타민 C함량의 차이가 더 큰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압출성형 매트릭스가 파괴율도 낮았다. ON 필름진공포장과 LDPE 플라스틱필름포장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손실속도상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LDPE 플라스틱필름포장보다 ON 필름진공포장이 손실속도상수가 2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100^{\circ}C$로 증가할수록 손실속도상수는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비타민 C 함량이 감소하는 것은 균일한 기공의 분포와 셀 벽의 두께 감소에 의한 표면적의 증가 때문에 매트릭스 내부의 비타민 C의 손실속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압출조리를 이용한 쌀 이유식 제조에서 아밀라제 첨가가 물성변화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the Effects of Amylase Addition to Rice Extrus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Extrudate for Weaning Food Base)

  • 이강권;김지용;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0-678
    • /
    • 1994
  • 압출조리 공법에 의한 한국형 쌀 이유식 제조에서 아밀라제 첨가가 압출미분의 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았다. 압출조리기의 스크류 회전수는 200 rpm, 원료의 사입속도는 180 g/min로 고정하여 작동하였다. 원료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18, 23, 28%로 가수하였고 첨가된 아밀라제는 Bacillus licheniformis 로부터 분리한 Termaamyl 120LS(NOVO사), Bacillus amylolichuefaciens 로부터 분리한 BAN 240L(NOVO사) 및 맥아분말이다. 아밀라제 첨가에 의해 압출미분의 수용성지수는 3배 까지 중가했고, 환원당 생성량은 원료의 수분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아 28% 수분함량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수용성지수와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겔 루파크로 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적 구조 변화 측정 결과 아밀라제 첨가에 의해 고분자 획분이 싱당히 감소했으며 상대적으로 저분자 획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아밀라제의 잔존활성은 아밀라제 종류에 따라 다르며 가장 내열성인 Termamyl 120LS의 경우 용융부위 온도 $140^{\circ}C$에서 27%까지 감소하였다. 침전법에 의한 분산특성은아밀라제 작용에 의해 수용성 물질이 중가함에 따라 침전충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처러온도가 $140^{\circ}C$로 중가하면 침전충의 높이는 종가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아밀라제 첨가에 의해 무처리 압출미분의 $1/4{\sim}1/200$로감소하였다. 시판 이유식외 권장농도에서의 점도와 같은 점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수분함량(18, 23, 28%), 아밀라제 종류 및 첨가량, 계량부위 온도에 따른 각 작동조건의 압출미분을 최고 1.8배의 양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료 쌀가루에 첨가된 아밀라제가 압출조리기내를 통과하떤서 쌀가루의 가수분해를 일으켜 환원당 등 수웅성 물질이 중가하고 분산특성이 좋아지며 점도가 낮아지고 결국 이유식의 열량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건조수삼과 백삼 압출성형물의 침출속도 및 침출물 특성 (Properties of Extracts from Extruded Root and White Ginseng at Different Conditions)

  • 김봉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6-310
    • /
    • 2005
  • 압출성형공정을 적용하여 건조수삼내부 유효성분의 침출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분함량(20, 25, 30%)과 스크루 회전속도(200, 300 rpm)를 달리하여 제조한 인삼유효 성분의 침출속도, 침출액의 조사포닌, 수용성지수, 갈색도와 적색도를 비교하였다. 인삼과 홍삼의 중요한 유효성분인 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의 지표가 되는 압출성형 수삼과 백삼 침출액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수분함량의 감소와 스크루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용성지수 및 조사포닌 함량은 수분함량이 감소 및 스크루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건조수삼과 압출성형수삼의 입자크기가 감소할수록 침출된 인삼유효성분의 지표가 되는 흡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수삼 압출성형물의 침출액과 실험한 입자크기에서 수분함량이 28%에서 20%로 감소할수록 260∼520 nm 파장에서 흡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용성지수도 흡광도와 마찬가지로 입지크기가 갑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압출성형 수삼의 경우 팽화에 의한 기공의 형성과 전단력에 의한 세포벽의 파괴와 함께 압출성형물 내부의 유효성분의 침출율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결론적으로 다른 열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압출성형공정을 인삼 침출차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으로 판단되었다.

쌀과 분리대두단백 혼합에 따른 조직화 특성 (The Texturization Properties of Textured Extrudate made by a Mixture of Rice Flour and Isolated Soybean Protein)

  • 한억;박용호;이상효;이현유;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0-787
    • /
    • 1989
  • 쌀과 분리대두단백 혼합에 따른 조직화 특성에서 쌀 혼합량 30%까지 증가할수록 토출구온도, 수용성 질소지수 및 조직잔사지수가 떨어지며 씹힘성과 검성이 감하여 부드러운 조직감이 형성되었다. 또한 쌀혼합량의 증가에 따라 최종 제품의 수분함량은 증가되었으나 밀도에는 변화가 없었고 재흡수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복원 후에는 제품의 명도가 밝아졌다. 압출성형 준의 압력분포는 $15{\sim}100kg/cm^3$의 범위였다. 미세구조에서는 쌀혼합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증대하였으며 쌀 전분질이 호화된 표면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PDF

고아밀로즈 옥수수전분의 압출성형에 의한 난소화성화 (Formation of Enzyme Resistant Starch by Extrusion Cooking of High Amylose Corn Starch)

  • 김지용;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28-1133
    • /
    • 1998
  • 압출성형에 의한 난소화성 전분형성효과를 알아보고자 식품산업에 널리 이용되는 쌍축형(twin-screw) 압출성형기(extruder)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난소화성 전분 형성에 많이 사용되는 고아밀로즈 옥수수 전분의 압출성형 실험을 행하였다. 압출성형시 압출조건에 따른 난소화성 전분수율을 회분식 고압가열과 냉각에 의한 난소화성 제조방법과 비교, 실험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스크류 회전 속도를 100 rpm으로 고정하여 바렐온도(100, 120, $140^{\circ}C$) 3가지 조건과 투입원료 수분함량(25, 35, 45%) 3가지 조건으로 총 9가지 조건에서 압출성형하였다. 또한 압출성형 전분의 $4^{\circ}C$ 저장시의 난소화성 수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난소화성 전분 측정법으로는 생체내 소화효소 반응과 유사한 pancreatin을 이용한 방법과 내열성 아밀라제 (Termamyl)에 의한 방법 2가지를 비교 실험하였다. Pancreatin을 이용한 난소화성 전분 수율 비교시 바렐온도가 낮을 때$(100^{\circ}C)$와 원료수분함량이 높을 때(45%)의 압출성형 전분이 가장 높은 수율(38.4%)을 나타내어 회분식 가열 냉각 5회 반복 처리한 시료의 난소화성 수율(25%) 보다 높았다. 같은 압출성형조건에서는 일반 전분의 압출성형전분이 고아밀로즈 압출성형 전분보다 낮은 난소화성 전분수율을 나타냈다. 내열성 아밀라제(Termamyl)에 의한 전분 수율 비교시, 회분식 가열냉각 5회 처리 시료는 27.5%의 수율을 보였으며 이는 압출 성형 전분의 난소화성 수율$(11.6{\sim}15.4%)$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같은 압출성형 조건에서 일반전분의 압출성형전분이 고아밀로즈 압출성형 전분보다 낮은 난소화성 전분수율을 나타냈다. 압출성형 고아밀로즈전분의 $4^{\circ}C$ 저장실험에서 4주 저장후 난소화성 수율은 pancreatin을 이용한 경우에는 바렐온도가 낮은 경우$(100^{\circ}C)$ 3가지 투입원료 조건(25, 35, 45%) 모두에서 60% 수준의 높은 난소화성 수율을 보였으나 내열성 아밀라제를 사용한 난소화성 수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압출성형 전분의 $4^{\circ}C$ 저장시 호화된 전분의 일부 재결정화로 형성된 난소화성 전분이 $95^{\circ}C$ 30분간의 열처리 및 내열성 아밀라제의 처리에 의해 분해가능한 전분으로, 완전한 결정성구조를 가진 전분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xtrusion 제조 조건에 따른 쌀 스낵 제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based Expanded Snacks according to Extrusion Conditions)

  • 은종방;;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07-1414
    • /
    • 2014
  • 쌀가루, 고아밀로오스 전분, 분리대두단백, 설탕 및 소금을 첨가하여 feed 수분함량 19~23%, screw speed 200~400 rpm, feed rate 43.6 kg/hr 조건에서 제조한 쌀 스낵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쌀 스낵의 bulk density는 0.06~0.21, apparent density는 0.55~0.65 정도로 나타났고, feed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screw 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스낵의 팽화율은 density와는 반대로 feed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screw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쌀 스낵의 WAI는 feed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screw 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한 반면, WSI는 WAI와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쌀 스낵의 breaking strength는 feed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screw 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쌀 스낵의 색도 중 L값은 feed 수분함량 19%, 21%에서는 screw 속도가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았으나, feed 수분함량 23%에서는 screw 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 b값은 feed 수분함량 19%에서는 screw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쌀 스낵의 x-ray 회절도는 feed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screw 속도가 높을수록 회절강도가 낮게 나타났고, feed 수분함량 19%, 21%, screw 속도 300 및 400 rpm에서는 V 도형의 특징을 나타냈다. 쌀 스낵의 내부 단면구조는 feed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screw 속도가 낮을수록 기공의 생성이 잘 되지 않았고 세포벽이 두껍게 나타났다.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한 쌀 압출팽화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Extrudate Added with Onion Kimchi Powder)

  • ;강성구;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4-510
    • /
    • 2007
  • 양파의 이용성 증대를 위해서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하여 풍미와 물리적 특성을 개선한 쌀 압출스낵의 제조조건에 따른 팽화물의 수분흡수율, 경도, 팽창률,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김치 분말 $3{\sim}10%$를 쌀가루에 첨가한 후 수분함량 $20{\sim}26%$로 조절하여 바렐온도 $100{\sim}130^{\circ}C$, 스크루 속도 250 rpm에서 $7\;{\times}\;2\;mm$ 압출구로 압출성형 한 다음 건조하여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한 쌀 압출팽화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중에서 양파김치 분말과 쌀가루 혼합물의 수분함량 24%, 바렐온도 $130^{\circ}C$, 스크루속도 250rpm에서 제조한 압출성형물의 특성이 우수하였다. 쌀가루에 첨가한 양파김치 분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압출물의 수분흡수율은 증가하였고, 경도와 팽창률은 감소하였으며 색차 ${\Delta}E$ 값은 증가하여 어두운 색깔을 보였다. 양파김치 분말 첨가량이 많은 10% 첨가구에서 수분흡수율은 가장 컸으나 경도는 가장 낮았다. 이같이 쌀 압출팽화물에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팽화물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관능적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다른 수분함량으로 압출성형한 다수확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igh Yielding Non-waxy Rice Flours Extruded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 정소희;강위수;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45-754
    • /
    • 2011
  • To improve the textural properties of gluten free rice flour based products, the physicochem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extruded non-waxy rice flours using extruder were investigated. The high yielding Tongil type rice variety, Hanarum was used. Hanarum rice flour was prepared by dry milling from soaked and dried rice grain.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win screw extruder were 250 rpm of screw speed, $160^{\circ}C$ of barrel temperature, and 24, 27, and 30% of moisture content. Hanarum extruded rice flour (HERF) were lower 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but higher in crude protein than Hanarum rice flour (HRF). The color values of HERF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Water binding capacities, apparent amylose contents, and damaged starch of HERF were higher than those of HRF. Moisture contents affected water binding capacities of HERF. Solu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and solubilities of HERF differed significantly (p<0.05). X-ray crystallinity was changed after extrusion cooking and that of HERF showed sharp peaks at $2{\theta}=18-20^{\circ}$. The pasting viscosities of HERF kept lower values (~ 10 RVU) constantly.

알카리제의 조성에 따른 라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 (Effects of Alkaline reagents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amyon)

  • 정재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1-266
    • /
    • 1998
  • 라면 제조에 있어서 알카리제의 첨가가 라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알카리제의 조성을 달리하여 소맥분에 대하여 0.5%를 사용하여 라면을 제조한 뒤 조리시험, 면의 조직 특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알카리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의 층밀림 압출력은 시료 A(potassium carbonate 64%, sodium carbonate 14%, sodium pyrophosphate 2% and sodium metaphosphate 20%)가 12.80(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 시료 E는 가장 작은 수치인 5.34(kgf)로 측정되었다. 경도도 시료 A가 18.57(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 시료 E는 11.23(kgf)으로 측정되었다. 시료 A로 제조한 라면의 무게 증가는 표준 시료 E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피 증가는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며 시료 A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용출양의 차이는 모든 시료가 $35{\sim}38%$의 범위를 나타낸 반면 표준 시료 E는 70%로 나타나 시료 A보다 2배 정도 많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요오드 정색도는 모든 시료가 $2.10{\sim}2.20$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시료 A와 B(potassium carbonate 31%, sodium carbonate 39%, sodium pyrophosphate 1%, sodium metaphosphate 15%, sodium polyphosphate 8%, sodium phosphate monobasic 4% and sodium phosphate basic 2%)가 각각 4.4, 4.2로 비교적 좋은 점수를 얻었으며, 그 다음이 시료 C(potassium carbonate 60%, sodium carbonate 33% and sodium pyrophosphate 7%)와 D(potasaum carnate 44%, sodium carbonate 27%, sodium metaphosphate 27% and sodium polyphosphate 2%)로 각각 3.8, 3.7을 얻었다. 반면 표준 시료 E는 2.8로 저조한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라면 제조시 알카리제의 조성 비율은 시료 A의 조성으로 하여 사용하면 라면의 품질 향상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