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usion-cooking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옥분 압출가공시 이축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에 따른 System Parameters의 변화 (Effect of Process Variables on System Parameters in Extrusion Cooking of Corn Grit by Twin Screw Extruder)

  • 김지용;김종태;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87
    • /
    • 1991
  • 15% 비율로 가수한 corn grit 원료를 reverse element 수를 달리한 스크류 조합을 사용한 실험실용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성형기로 extrusion cooking할 때, 각 스크류 조합에서 원료 투입량($30{\sim}60\;kg/hr$), 스크류 회전속도($200{\sim}400\;rpm$) 및 die hole 수($2{\sim}4$개) 등의 process parameters 변화에 대한 system parameters(압출온도 및 압력, 기계적 에너지 소모율 및 평균체류시간)의 변화 양상을 다중회기분산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원료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압출온도, 기계적 에너지 소모율 및 평균체류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알출압력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스크류 회전속도가 증가할 수록, 압출온도, 기계적 에너지 소모율 및 압출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평균체류시간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die hole 수가 증가할 수록, 측정한 4가지 system parameters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reverse element의 수를 증가시킨 스크류 조합을 사용한 경우에 더욱 뚜렸이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각 스크류 조합에서 각각의 system parameters와 process parameters를 독립변수로 하는 함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이 때 각 함수식의 상관관계는 0.90 이상 이었다.

  • PDF

삶은 국수의 조직감 평가를 위한 층밀림 압출 실험 (Development of Shear Extrusion Test for the Texture Evaluation of Cooked Noddle)

  • 유병승;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1-175
    • /
    • 1987
  • 삶은 국수의 식미 평가를 위한 객관적 측정 방법으로 레오메타에 특수하게 고안한 test cell을 사용하는 층밀림 압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층밀립 압출 시험에서 얻어지는 힘-거리 곡선을 분석하여 최초 압출력, 최고 압출력, 압출일, 경사도 등의 파라메타를 구하였다. 17종류의 호주밀로부터 만든 밀국수(건면)에 대한 실험 결과, 최초 압출력 압출일은 삶은 국수의 기호도를 가장 크게 영향하는 단단하고 무른 성질과 쫄깃쫄깃한 성질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었다. 한편, 경사도는 삶은 국수의 저장중에 일어나는 조직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들 파라메타들은 원료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 수분흡수력, 발전시간(D.T.), 인장도와 높은 삼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비스코그램의 최고 점도와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스코스램의 최고 점도와 층밀림 압출 시험의 최고 압출력을 두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관능적 조직감 기호도와의 상관계수는 최고 압출력만을 사용한 단순회귀분석상관계수보다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 PDF

원성군 시범종합영양사업을 위한 어린이용 고영양보충식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 -제 1 보 : 제품의 조제 및 생산시험- (Development and Product Quality of High Nutrition-Low Cost Supplementary Foods for the Children for Wonseong Country Comprehensive Nutrition Program in Korea -Part I : Formulation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Proposed Supplementary Foods-)

  • 최홍식;변유량;유정희;권태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99-206
    • /
    • 1980
  • 원성군 시범종합영양사업을 위한 어린이용 고영양 보충식품(HNLC Supplementary Foods)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MFM-KIST Extrusion Cooking System에 의한 일연의 실험결과, CSS-3, CSS-4 및 BSS-4 등의 제품이 영양학적, 식품가공학적 경제적 그리고 기호성등의 여러가지 면에서 바람직하였다. 특히 CSS-4 제품(기본 원료구성 : 옥수수가루 68%, 탈지대두분 20%, 참깨 가루 2%, 옥수수 기름 4%, 설탕 4%, 식염 1%, 비타민, 무기질성분 및 첨가물 1%)은 영양강화 간편식품으로서 가공생산성 및 기호성이 가장 만족스러웠으나, 제품의 다양성 및 원료수급면을 고려하여 위 개발제품들을 모두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Single-screw Food Extruder의 제작과 Corn Grits 팽화시의 기계적 성질과 제품 특성 (Construction of Single-screw Food Extruder and its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duct Characteristics for Corn Grits Extrusion-cooking)

  • 이철호;임재각;김재득;이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2-398
    • /
    • 1983
  • 식품 압출성형기 (Food Extruder)의 기계적 성질과 제품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목적 Pilot plant 용 Single-Screw Extruder를 제작하고 corn grits를 사용한 Extrusion-cooking process의 기계적 성질과 제품 특성을 조사 하였다. Start-up 기간에서 스크류우 회전속도에 따른 열 발생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Start-up 기간에서의 열 발생속도는 스크류우 회전속도 및 원료사입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추정된 바렐내부에서의 반죽의 점도는 스크류우 회전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이 점도의 변화로 바렐내부에서의 가열 용융반응이 진행되는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Start-up 기간에서의 팽화율은 주로 바렐내부의 온도와 열용융 반응이 일어난 정도에 의존하였다. Corn Grits가 호화되는 바렐온도와 탄화가 일어나는 온도는 회전속도에 따른 체재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고압조건에서 가열 처리된 Iysozyme의 변성 (Denaturation of Heat Treated Lysozyme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 조래광;홍진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6-369
    • /
    • 1991
  • 압출성형가공(extrusion cooking)에 의한 단백질의 조직화 메카니즘을 해석하기 위해 난백lysozyme을 고압조건에서 가열처리한 모델계 시료의 불용화 현상과 분자량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100,\;300,\;600\;kg/cm^2$의 고압조건에서 $70,\;120,\;150^{\circ}C$로 가열온도가 높은 시료일수록 용해성은 감소하였으며 $200^{\circ}C$로 가열한 시료에서는 처리압력이 증가할수록 용해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150^{\circ}C$$200^{\circ}C$로 가열처리한 시료에서는 dimer 이상의 polymer가 생성되었고 monomer보다 분자량이 작은 band의 생성도 인정되었는데 그 추정 분자량은 약 $6,000{\sim}9,000$의 분포이었으며 이 보다 저분자의 peptide는 존재하지 않았다. $120^{\circ}C$에서 가열한 시료의 고분자 형성은 주로 분자간 disulfide 결합에 의한 것이었고 $150^{\circ}C$ 이상으로 가열한 시료의 고분자 형성에는 disulfide결합 이외의 분자간 결합도 상당수 관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배럴온도와 스크루 회전속도에 따른 압출성형 수삼의 특성 (Effect of Barrel Temperature and Screw Speed o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aw Ginseng)

  • 하대철;이종원;김나미;류기형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07-112
    • /
    • 2005
  • 본 실험은 수분함량 $15\%$로 건조한 수삼을 사출구온도($100^{\circ}C$$120^{\circ}C$), 스크루 회전속도(200과 300 rpm)에서 압출성형처리하여 조사포닌,진세노사이드, 말톨, 환원당, 색도와 같은 홍삼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압출성형공정을 통해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사포닌의 압출성형공정동안 생성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홍삼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g_l$$Rg_2$는 사출구온도를 $100^{\circ}C$에서 $1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0.227 mg/g에서 0.2835 mg/g$(Rg_l)$, 0.1164 mg/g에서 0.2230 mg/g$(Rg_2)$증가하였고, 스크루 회전속도를 300rpm에서 200rpm으로 감소시켰을 때 진세노사이드 $Rg_1$$Rg_2$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삼이나 백삼에는 함유되지 않고 홍삼에만 함유된 특이성분으로 알려진 말톨을 압출성형 수삼에서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사출구의 온도가 $100^{\circ}C$에서 $1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총당의 함량은 크게 변화가 없었지만 환원당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출구온도와 스크루 회전속도 이외의 압출성형 공정변수의 조절을 통해 압출성형공정을 홍삼제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가 있었다.

압출성형 공정에 의한 인삼의 수용성 성분 증대 (Increase of Solubility of Ginseng Radix by Extrusion Cooking)

  • 지호균;조용진;김종태;장영상;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1-368
    • /
    • 2006
  • 압출조건 즉, screw speed, screw configuration, 압출온도 및 원료투입량 등을 고정하고, 가수량을 조절하여 압출미삼을 제조하여 냉수 및 열수에서의 추출율, 총당, 우론산 및 비전분 탄수화물의 함량과 당 조성을 분석하였다. 가수량이 감소될수록 압출온도와 SME는 증가하고, 고형분, 총당 및 우론산의 추출율도 증가하였다. 추출율 증가는 열수추출에서 보다 상온추출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최적조건인 압출온도 $155^{\circ}C$에서 처리한 미삼 분말의 비전분 탄수화물의 추출율이 증가하였고, 추출된 NSP의 분자량은 냉수추출에서는 압출처리 미삼이 열수추출에서는 대조구에서 큰 분자량이 추출되었다. NSP의 당 조성은 미삼의 비전분 다당체의 주된 구성당은 arabinose와 galactose였고, 상온에서 추출된 압출 미삼의 경우 높은 함량의 glucose가 측정되었으며, 열수에서 추출된 미삼의 비전분 다당체는 대조구와 압출미삼 모두에서 glucose 및 xylose가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구연산이 첨가된 미삼과 첨가되지 않은 미삼을 이용하여 $155^{\circ}C$에서 압출성형 하는 것이 최적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압출성형 된 압출미삼의 냉수추출의 경우 사포닌 추추율은 대조구에 비해 약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압출처리에 의해 사포닌의 구성 성분 중 Rg3가 생성되었다.

수분주입량과 배럴온도에 따른 카사바 전분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Effects of Feed Moisture and Barrel Temperature on Phys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Cassava Starch Extrudate)

  • 에도우 온도 세르게;구본재;김연수;류기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1-278
    • /
    • 2011
  • 다습한 열대지방에서 카사바는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수분함량(20, 25%)와 배럴온도(110, $130^{\circ}C$) 에 따른 압출성형 카사바전분의 물리적 특성(밀도, 팽화율, 비기계적 에너지, 색, 수분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와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카사바전분 압출성형공정에서 수분 투입량은 압출성형물의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 비길이, 밀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p<0.05) 직경팽화지수, 겉보기탄성계수와 절단강도에서 유의성을 보여주었다(p<0.1). 또한 수분투입량과 배럴온도의 상호관계에서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과 밀도(p<0.1), 비길이(p<0.05), 적색도(p<0.01)는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수분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 겉보기탄성계수, 절단강도, 저온최고점도, 구조파괴점도, 최종점도는 증가하였으며, 직경팽화지수와 비길이는 감소하였다. 카사바전분 압출성형공정에서 수분투입량과 배럴온도는 명도와 황색도, 수분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카사바 전분을 압출성형하여 사료와 식품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쌀-대두단백-쥐치어 혼합물의 압출성형 최적화 (Optimization for Extrusion-Cooking of Rice-ISP-File Fish Mixtur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42-1747
    • /
    • 2004
  • 쥐치어의 이용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분리대두단백과 쌀가루를 첨가하여 원료 혼합물의 수분함량을 20∼30%로 조절한 후 단축스크류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성형으로 조직화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으며 쌀가루함량, 토출구온도 및 원료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압출성형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쌀가루함량이 증가하면 팽화율이 증가하므로 재흡수율은 높아지는 반면 밀도는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재흡수율과 밀도는 서로 유의성 있게 반비례하는 상관관계 (p<0.01, R=-0.742)를 보였다. 육안적인 관능검사방법은 조직잔사지수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p<0.01, R=0.489)를 보였으므로 비교적 조직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관능검사와 재흡수율의 상관관계(p<0.01, R=0.507)와 밀도와의 상관관계(p<0.001, R=-0.596)가 각각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압출공정에서 토출구의 온도가 13$0^{\circ}C$ 이상에서 최적의 조직화가 형성되었다.

유기산의 첨가에 따른 Long Life 면의 조직감과 저장 안정성 (Effects of Organic Acids on Textur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ies of Long Life Noodles)

  • 정재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1-196
    • /
    • 1998
  • LL면 제조에 있어서 유기산의 첨가가 LL면의 색상, 조직감, 저장 안정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기산의 종류를 달리한 다음 밀가루에 0.2%를 첨가하여 LL면을 제조한 뒤 조리시험, 면의 조직감 특성, 미생물 측정 및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Hunter L값은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70.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unter a, b값은 모든 처리구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층밀림 압출력은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처리구 B가 20.55(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가 가장 작은 수치인 18.05(kgf)로 측정되었다. 경도도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처리구 B가 25.43(kgf)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는 21.21(kgf)으로 측정되었으나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의 무게 증가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피 증가는 오히려 높게 나타나 조직이 다소 치밀함을 알 수 있었다. 용출양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16{\sim}25%$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생물수는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면이 $30^{\circ}C$에서 5개월 이상 저장에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control를 포함하여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와 초산을 첨가한 처리구 C는 저장 1개월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4.3 및 4.0으로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와 초산을 첨가한 처리구 C의 3.1, 3.2보다 좋은 점수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