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tropical cyclon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2초

태풍 민들레의 온대저기압화 과정에 대하여 (On Extratropical Transition of Tropical Cyclone MINDULLE)

  • 권혁조;김지영
    • 대기
    • /
    • 제15권1호
    • /
    • pp.17-25
    • /
    • 2005
  • A significant number of tropical cyclones move into the midlatitudes and go through transformation procedure into extratropical cyclones. This process is generally referred to as extratropical transition of the tropical cyclone. In this study, MIDULLE(0407) case is selected. A thorough analysis is made using the GDAPS analysis data and MTM (Moving-nest Typhoon Model) model output. It is found that during the extratropical transition an important dynamics in the environmetal flow field occurs in which colder, drier (warm, moist) air penetrates in the western (eastern) quadrant of MINDULLE's outer circulation, which in turn initiates an asymmetry in the distribution of wind and temperature of the tropical cyclone. Simulated MTM result also reveals similar properties as in GDAPS analysis data. MTM result shows the gradual transition to the asymmetric distribution of wind and thickness as the extratropical transition proceeds. It is also found that the warm core disappears during the extratropical transition stage. Also, vortex tube is shown tilting towards the west during the transition. And the precipitation expands poleward of the center and the maximum precipitation appears to the left of MINDULLE which is consistent to the observations.

한국(韓國)의 온대저기압성(溫帶低氣壓性) 강수지역(降水地域) 구분(區分)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Regions Associated with Extratropical Cyclone in Korea)

  • 김성열;양진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60
    • /
    • 1995
  • 한국의 온대저기압성 강수에 대하여 10년간(1981년$\sim$1990년) 60개 지점의 저기압성 강수와 관련된 43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먼저 인자분석(因子分析)을 통하여 요인별 고유치를 분석하여 인자점수(因子點數)의 지역분포를 고찰한 후, 군집분석의 Ward법을 적용하여 강수지역을 구분하고 구분지역별로 강수특성을 고찰하였다. 온대저기압성 강수와 관련된 43개 변수를 이용한 인자분석(因子分析)에서 고유치(固有値)가 1.0이상의 요인은 7개이며, 전변동량(全變動量)의 86%를 설명한다. 제1요인은 중서부지역의 강수특성을 설명해주며 기여율이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군집(群集)분석의 Ward법에 의한 한궁의 온대저기압성 강수지역은 (1) 경기 영서북부지역 (2) 영동 울릉도지역 (3) 호서 영서남부지역 (4) 호남 북서제주지역 (5) 남동제주지역 (6) 영남북부지역 (7) 영남남부지역 등 7개의 대지역과, 22개 중지역으로 구분되었다. 더불어 강수지역의 경계선 설정에는 저기압의 이동경로와 유일기류의 방향, 산맥의 주향(走向) 등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겨울철 북태평양의 온대저기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tropical Cyclon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during the Winter Season for Safe Navigation of Ships)

  • 고난영;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47-452
    • /
    • 2020
  • 겨울철 온대저기압은 세력이 강하여 해양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는 등 선박의 안전 운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겨울철(2019년 12월~2020년 2월)의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태평양한대전선대 부근의 온대저기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3개월 동안에 제1태평양한대전선대 부근에서 발생한 온대저기압은 총 41개이고, 그 중 8개가 현저히 발달하였다. 가장 강력한 온대저기압의 중심기압은 947hPa이다. 발생 위치 별 온대저기압은 일본 동쪽 태평양이 가장 많았고(16개), 그 다음은 우리나라 주변, 동중국해, 일본 남쪽 해상 순이었다. 주요 이동 경로는 크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통적으로 북동진하는 패턴을 보였다. 겨울철에 북태평양을 항해하는 선박이 온대저기압을 조우할 경우 선박의 최적항로는 동항 시에는 온대저기압 중심의 남측을, 서항 시에는 온대저기압 중심의 북측을 항해하는 것이다.

겨울철 온대저기압의 이동경로에 따른 국가어업지도선의 서해 피항지 선정 (A Selection of the Refuge Area in the West Sea for the National Fishery Supervision Vessel according to the Trajectories of the Extratropical Cyclone in Winter Season)

  • 정기철;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5-562
    • /
    • 2007
  • 겨울철 한반도와 부근 해역은 대륙에서 발달하는 시베리아고기압과 해양에서 발달하는 알류샨저기압으로 형성되는 전형적인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주변 해역, 특히 서해에서는 강한 서풍 내지 북서풍의 계절풍과 강한 바람에 의한 높은 파랑, 폭설 등을 동반하는 악기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겨울철에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11년간 (1994-2004년)의 지상일기도를 분석하여 온대저기압의 주요 이동경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온대저기압의 이동경로별로 섬들의 지형적 특성, 수심, 저질의 상대, 조류의 영향 및 어망의 분포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였다.

북서태평양에서 저기압 위상 공간도법을 이용한 태풍의 온대저기압화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Extratropical Transition of Tropical Cyclones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using the Cyclone Phase Space (CPS) Diagram)

  • 이지윤;박종숙;강기룡;정관영
    • 대기
    • /
    • 제18권3호
    • /
    • pp.159-169
    • /
    • 2008
  •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hoon's extratropical transition (ET)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are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yclone phase space (CPS) diagram method suggested by Hart (2003).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global data assimilation prediction system (GDAPS) and NCEP data set. The number of typhoons selected were 75 cases during 2002 to 2007, and the three parameters were analyzed : the motion relative thickness asymmetry of the storm (B), the upper thermal wind shear and the lower thermal wind shear. Comparing the best-track data provided by the Regional Specialized Meteorological Center /Tokyo, the time of the ET based on CPS was 2~6 hours earlier than the best-track data. And it was shown that the 400- km and 30 kt wind radius of storm for the CPS method were better agreement than the previous suggested radius 500- km.

Mechanism Study of Tropical Cyclone Impact on East Asian Subtropical Upper-Level Jet: a Numerical Case Investigation

  • Chen, Xian;Zhong, Zhong;Lu, Wei
    •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 /
    • 제54권4호
    • /
    • pp.575-585
    • /
    • 2018
  • In the case study of this paper, sensitivity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sing the mesoscale non-hydrostatic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ropical cyclone (TC) Soudelor (2003) on the East Asian subtropical upper-level jet (EASJ) before TC Soudelor transformed into an extratropical cyclone. The physical mechanism for changes in the EASJ intensity and position caused by TC Soudelor is explored. Results indicate that TC Soudelor would warm the air in the middle and upper troposphere over the Japan Sea and the adjacent areas through stimulating northward propagating teleconnection pattern as well as releasing large amounts of latent heat, which led to increase (decrease) the meridional air temperature gradient to the south (north) below the EASJ axis. As a result, the geopotential height abnormally increased in the upper troposphere, resulting in an anomalous anticyclonic circulation belt along the EASJ axis. Correspondingly, the westerly winds to the north (south) of the EASJ axis intensified (weakened) and the EASJ axis shifted northward by one degree. The case study also suggests that before the extratropical cyclone transition of TC Soudelor, the TC activities had exerted significant impacts on the EASJ through thermodynamic processes.

Relative contributions of weather systems to the changes of annual and extreme precipitation with global warming

  • Utsumi, Nobuyuki;Kim, Hyungjun;Kanae, Shinjiro;Oki, Taik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4-234
    • /
    • 2015
  • The global patterns of annual and extreme precipitation are projected to be altered by climate change. There are various weather systems which bring precipitation (e.g. tropical cyclone, extratropical cyclone, etc.). It is possible in some regions that multiple weather systems affect the changes of precipita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assessed only the changes of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individual weather systems.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weather systems to the changes of precipitation have not been quantified yet. Also, the change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weather systems have not been assessed. This study present the quantitative estimates of 1)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weather systems (tropical cyclone (TC), extratropical cyclone (ExC), and "others") to the future changes of annual and extreme precipitation and 2) the changes of the proportions of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each weather system in annual and extreme precipitation based on CMIP5 generation GCM outputs. Weather systems are objectively detected from twelve GCM outputs and six models a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considering the reproducibility of weather systems. In general, the weather system which is dominant in terms of producing precipitation in the present climate contributes the most to the changes of annual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each region. However, there are exceptions for the tendency. In East Asia, "others", which ranks the second in the proportion of annual precipitation in present climate, has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increase of annual precipit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f the "others" annual precipitation in East Asia is mainly explained by the changes of that in summer season (JJA), most of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In Southeast Asia, "others" precipitation, the second dominant system in the present climate, has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changes of very heavy precipitation (>99.9 percentile daily precipitation of historical period). Notable changes of the proportions of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each weather system are found mainly in subtropic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hotspot" of the precipitation regime shift.

  • PDF

태풍의 온대성 저기압화에 대한 간단한 소개 및 최근 세 태풍의 사례분석: 산산(0613), 야기(0614), 솔릭(0618)을 중심으로 (A Simple Introduction of Extratropical Transition of Tropical Cyclone (TC) and a Case Study on the Latest Three TCs: Shanshan (0613), Yaki (0614), and Soulik (0618))

  • 최기선;김백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47-956
    • /
    • 2007
  • 이 연구는 태풍의 온대성 저기압화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Evans and Hart(2003)와 Hart(2003_의 객관적 온대성 저기압화 판별식을 이용하여 최근 온대성 저기압화를 거친 세 태풍(Shanshan, Yaki, Soulik)에 대한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500-hPa 고도장분석에서 온대성 저기압화 시작시 세 태풍 모두 중위도 경압지역으로 북상하는 공통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연직단면 분석에서는 온대성 저기압화의 시작전 시 태풍 중심부근의 모든 층에서 온난 다습한 특성을 보였다. 온대성 저기압화 이후에는 이 개념모델의 전형적 특성인 태풍의 서쪽영역에 한랭 건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vans and Hart(2003)와 Hart(2003)의 객관적 온대성저기압화의 판별식은 태풍의 온대성저기압화 시작 및 구조변화를 잘 반영하므로 기상청 예보현업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봄철 황사 발생시 동아시아 온대저기압의 기후학적 특징 (Climatic Features of Extratropical Cyclones During the Spring-time Yellow Dust Events in Korea)

  • 이재연;김준수;손석우
    • 대기
    • /
    • 제26권4호
    • /
    • pp.565-576
    • /
    • 2016
  • The yellow dust events in Korea are often associated with extratropical cyclones (ETCs) that travel across the source regions of yellow dusts. Although such synoptic patterns are well documented, climatic features of ETCs themselves during the yellow dust events are not well understood. The present study reports climatic features of spring-time ETCs, which accompany the yellow dust events in Korea, by tracking individual ETCs with an automated tracking algorithm. By analyzing Lagrangian tracks of ETCs from 1979 to 2014, it is found that, during yellow dust events, ETCs are located around Vladivostok, Russia. They are typically originated from the leeside of Altai-Sayan mountains about three days before the onset of the yellow dust events, and travel either eastward or southeastward in time. While their tracks are not unusual, they grow faster over the source regions of the yellow dusts, possibly lifting desert dusts above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and further develop slowly as they travel eastward.

우리나라 풍랑특보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igh Seas Watch and Warning in Korea)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03-10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최근 5년(2010~2014년) 동안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풍랑특보 분포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풍랑특보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풍랑특보는 한반도의 동측 즉, 동해남부 및 동해중부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 결과는 온대저기압의 이동과 발달, 계절풍의 세기 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풍랑특보는 12월에 가장 많고, 1월과 3~4월에도 높은 빈도수를 보인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겨울 > 봄 > 가을 > 여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결과는 온대저기압의 발생 및 발달, 계절풍의 세기 차이 등에 의한 것이다. 앞바다와 먼바다의 월별 풍랑특보 분포에 대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양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