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marital relation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기혼여성의 결혼 불만족과 혼외관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Marital Dissatisfaction and Extramarital Relations among married Women)

  • 공미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95-208
    • /
    • 2002
  • This study examines how marital dissatisfaction is connected with extramarital relations among married women. To explore this subject,1 am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The data from 16 married women who involved (and are involving) extramarital relations are collec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this article, I describe four specific types of extramarital relations with particular relevance to marital dissatisfaction: (1) temporary extramarital relations caused by marital dissatisfaction, (2) positive extramarital relations as maintaining dissatisfied marriage, (3) unavoidable extramarital relations as breaking dissatisfied marriage, and (4) extramarital relations as a part of life with satisfied marriage. With these results, I believe that equity theory could be applicable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extramarital relations. There are limitations when the qualitative research is analyzed. One problem is measurement. It is difficult to measure equality (or equity), life dissatisfaction, and other concepts. furthermore, this study is not abbe to explain causal relationships among equality, life dissatisfaction, actual extramarital relations. The future study should perhaps be in quantitative research focused on the causal model in which all exchange variables are conceptualized and properly measured for the intimate relationship.

혼외관계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

  • 김병수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 across individual and familial variables of married men and women. Data for this study were 600 married men and women who were recruited the respondents through internet sit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st of married men and women were regarded extramarital relations types(emotional connections, short-term relationship such as prostitution, sexual intercourse except a prostitution, one-night stands, physical connections, letter chatting with multimedia, video chatting with multimedia), By gender men had more permissiveness attitudes about extramarital relations type than wome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 types across variables(sex, age, education level, income, occupation, religion, marriage duration). 3) Married men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emotional connections, sexual intercourse, physical connections, letter chatting with multimedia, video chatting with multimedia, infidelity ideation, infidelity attempts) more extramarrital relations types than married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extramarital relations types across variables.

  • PDF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기혼부부의 인식 관련 요인 (Correlates of the Perception of Married Couples about Individual's Own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s)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82-69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을 밝히는 것이다. 기혼자(402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은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에 비해 훨씬 더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져, 내로남불 현상이 발견되었다. 둘째, 혼외관계에 대해서 남성들은 여성들보다 훨씬 더 수용적이었다. 셋째, 본인의 혼외관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성별(-.161), 연령(.144), 취업활동유무(.107), 신체적 매력(.087), 자율성(.120), 정서적 소외감(.105), 개방성(.124), 주변 혼외관계 만연성(.303), 성생활 만족도(-.131)등이다. 배우자의 혼외관계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성숙성(-.127), 주변의 혼외관계 만연성(.113), 성생활 만족도(1.131)등으로 밝혀졌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혼외관계 문제 대처에 활용해 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천 개입들을 모색하면서 논의하였다.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on the Toler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 이원준;이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36-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혼외관계인식과 관련요인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개방성, .244***; 정서적 소외감, .164**)는 유의하였다. 둘째,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과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 간에는 강한 부적 상관(-.493**)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의 개방성이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081; 하한값 -.140, 상한값 -.027 ), 그리고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120; 하한값 -.189, 상한값 -.061 )가 각각 입증되었다.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외도에 미치는 영향은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용인 수준에 의해서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이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배우자 외도문제 대처와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기혼여성의 자기지각이 혼외관계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ed Women's Self-Awareness on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Individuals' Criticism of TV drama regarding Infidelity)

  • 이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15-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들의 혼외관계 수용성에 자기지각이 미치는 영향에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인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위해 기혼여성(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델(SEM: Structural Equational Model)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혼외관계 수용성(Mean=2.6346, 5점 척도)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체 응답자들 중에서 혼외관계를 수용하지 않는다고 밝힌 응답자는 46.7%였다. 혼인관계에 대해서 불분명한 입장을 보여준 응답자들이 43.8%였고, 혼외관계에 수용적인 입장을 보인 응답자들도 약 10%정도 되었다. 혼외관계문제가 기혼여성들에게 중요한 현실문제로 대두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둘째, 기혼여성의 '혼외관계 수용성'에 '자기지각성'은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불륜을 주제로 한 TV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을 완전매개(full mediation)로 하여, '자기지각성'은 '혼외관계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기혼여성들이 불륜 TV 드라마의 콘텐츠에 대해서 얼마나 비판적인 사고와 판단을 할 수 있는지 여부가 기혼여성들이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측면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며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