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검색결과 17,100건 처리시간 0.049초

Effect on bone formation of the autogenous tooth graft in the treatment of peri-implant vertical bone defects in the minipigs

  • Kim, Seok Kon;Kim, Sae Woong;Kim, Kyung Woo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2.1-2.9
    • /
    • 2015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utogenous tooth bone as a graft material for regeneration of bone in vertical bony defects of the minipigs. Material and Methods: Six minipigs were used in this study. Four molars were extracted in the right mandibular dentition and sent to the Korea Tooth Bank for fabrication of autogenous tooth bone. Ten days later, each extraction site was implanted with MS Implant Narrow Ridge $3.0{\times}10mm$ fixture (Osstem, Seoul, Korea) after standardized 2mm-sized artificial vertical bony defect formation. Pineappleshaped Root-On type autogenous tooth bones were applied to the vertical defects around the neck area of the posterior three fixtures and the fore-most one was not applied with autogenous bone as a control group. Each minipig was sacrificed at 4, 8, 12 weeks after fixture installation and examined radiologically and histologically. Histological evaluation was done under light microscope with Villanueva osteochrome bone staining with semi-quantitative histomorphometric study. Percentage of new bone over total area (NBF) and bone to implant contact (BIC) ratio were evaluated using digital software for area calculation. Result: NBF were $48.15{\pm}18.02%$, $45.50{\pm}28.37%$, and $77.13{\pm}15.30%$ in 4, 8, and 12 weeks, respectively for experimental groups. The control group showed $37.00{\pm}11.53%$, $32.25{\pm}26.99%$, and $1.33{\pm}2.31%$ in 4,8,12 weeks, respectively. BIC ratio were $53.08{\pm}19.82%$, $45.00{\pm}28.37%$, and $75.13{\pm}16.55%$ in 4,8,12 weeks, respectively. Those for the control groups were $38.33{\pm}6.43%$, $33.50{\pm}29.51%$, and $1.33{\pm}2.31%$ in 4, 8, 12 weeks, respectively. Conclusion: Autogenous tooth bone showed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in NBF and BIC in all the data encompassing 4,8,12 weeks specimen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12 weeks data in both NBF and BIC.

Retrospective Study of Cyst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s: Statistical and Clinical Analysis

  • Lee, Hyun-Kyung;Ryu, Kyung-Sun;Kim, Moo-Gun;Park, Kwang-Won;Kim, Ryun-Ga;Roh, Sang-Hwa;Jung, Tae-Young;Park, Sang-J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for identification of the main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cyst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s. Method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64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yst of the jaw, from the database of 168 histopathological diagnoses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Busan Paik Hospital at Inje University,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1. The subjects were treated and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recorded: gender, ag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histopathological distribution, treatment methods, and complications.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study variables was performed using a chi-square test. Results: Among the 164 patients, there were more male than female patients (male-female ratio: 1.7:1). The most predominant ages were the 20s and 40s. Among the classes of pathological cysts, radicular cysts and dentigerous cysts were the most common, with incidences of 56.0% and 35.1%. Thirty-six percent of the patients had no symptoms; and of those who had symptoms, the main signs and symptoms were swelling (24.4%) and pain (17.1%). The most frequent management method was the combination operation, such as enucleation with or without extraction and apicoectomy of the causative teeth. Of the 164 patients, 13 had complications; and one patient who had been treated with enucleation with apicoectomy had a recurrent cyst. Conclusion: Using a chi-squar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alence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gender according to age. Comparative analysis of radicular and dentigerous cys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revalence according to their anatomical loc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re observed in their incidence rates according to age.

설신경 손상 환자의 회복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covery of lingual nerve injury: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홍동환;임호경;김성민;김명진;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5호
    • /
    • pp.355-364
    • /
    • 2011
  • Introduction: This study evaluated nerve recovery through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lingual nerve damage. Patients and Methods: The patient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an injury to the lingual nerve from April 1988 to August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n=41). The relevance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causes of damage, age, etc. was analyzed by the subjective improvement based upon questionnaires and the clinical records. The evaluation variants were a subjective assessment and neurosensory examination composed of the direction, contact threshold,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Results: The causes of lingual nerve damage were an extraction of the lower third molar (75.6%), local anesthesia (9.7%), incision and drainage (4.88%), trauma (2.44%).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prognosis exhibited no difference in sensory improvement depending on the cause, age and gender. Based upon the subjective evaluation, 44.7% of patients showed sensory improvement. The first hospital visit from injury was shorter in the group showing subjective improvement (3.41 months) than those showing no improvement (5.24 months) (P=0.301). Thirty six out of 41 patients were treated with only conservative therapy and 5 patients were treated by surgical intervention. Neurosensory examinations revealed improvement,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egree was higher in the subjectively improved group. The contact threshold discrimination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improvement (P=0.069). Most of the sensory recovery was gained within 12 months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at the tip of the tongu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orsum (P<0.001). Conclusion: The damaged lingual nerve improved at a rate of 44.7% and mostly within 12 months after the incid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ive prognosis and neurosensory examination depending on the cause of damage, age and gender, whereas the contact threshold discrimination was the best variant that reflected the subjective prognosis statistically.

유지관리기 치주환자의 전치 및 소구치에서 잔존 치조골량에 따른 교합력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ite force associated with remaining bone level in anterior and premolar teeth at periodontal maintenance phase)

  • 송규원;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643-653
    • /
    • 2002
  • Periodontal supporting tissue goes through destruction by chronic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 as two aspect. One is qualitive aspect such as alteration of periodontium, the other is quantitative aspect such as alveolar bone loss. According to many authors, PDL is responsible for biting force, and there are two mean. for measuring PDL's function - mobility test and biting force t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biting force with remaining bone level, that is, quantitative aspect of periodontium, in anterior and premolar teeth at periodontal maintenance phase. 17 patients on periodontal maintenance phase during 6 months at minimum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the same condition, 4 anterior, canine, premolar teeth were tested by MPM-3000 bite-force register at the same time(a.m.l0-12), the same position, the same posture, by the same examiner. Patients of TMI), ill-fitting pros thesis, general disease, malocclusion and the teeth of TFO, absence of opposing teeth, malposition were excluded. Remaining bone level was measured on the panorama X-ray film through 5 level from 1mm below CEJ to root apex. Teeth were examined twice, and bigger one was selected. If the values showed large difference. examinatin was re-done and the mean was sel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4 anterior group, as the remaining bone is decreased, the average of maximal biting force is decreased. Especially, at 3/5 bone level, maximal biting force is decreased significantly(p<0.01). 2. In the canine group, as the remaining bone is decreased, the average of maximal biting force is decreased. Especially, at 2/5 bone level, maximal biting force is decreased significantly(p<0.01). 3. In the premolar group, as the remaining bone is decreased, the average of maximal biting force is decreased. Especially, at 3/5 bone level, maximal biting force is decreased significantly(p<0.05).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linicians could utilize these efficiently when they have to determine the proper restorative materials, time for tooth extraction, treatment plan, prognosis.

복부 MDCT 영상으로부터 간혈관 자동 추출 알고리즘 (Auto-Segmentation Algorithm For Liver-Vessel From Abdominal MDCT Image)

  • 박성미;이유진;박종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30-437
    • /
    • 2010
  • 간이식 수술을 함에 있어서 간 내부의 혈관의 형태를 알고 시작하는 것이 수술의 성공률을 매우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조영제를 투여한 정상 환자의 복부 MDCT를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을 다른 여러 장기부분은 제거하고 간 영상만을 추출한 후 간 내의 혈관들의 기본형태를 파악하여 몇몇 구조단위들을 만들고 Morphological filtering을 이용하여 주요 혈관인 좌, 우, 중간정맥을 찾아낸다. 중간정맥을 기준으로 간 실질을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의 크기를 예측하고 수술전에 전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간의 추출 방법은 명암값의 범위와 분포 샘플링 과정에 의한 명암값 분포비율을 가지고 배경과 근육층을 제거하였다. 간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와 몸통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매쉬영상과 일치되는 영상을 찾은 후 결과 영상을 조합하고 8방향 연결성을 이용하여 확장하고 화소간의 채우기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간영상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간 영상에서 간 영역의 특징적인 명암값과 다양한 구조단위를 가지고 Morpological Filtering을 수행 한 후 나타난 결과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영상에서 각 슬라이스 별로 크기순으로 큰 부분들을 남겨두어 굵은 혈관만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영상들을 3D로 구성 시 자연스럽게 보여지도록 인터폴레이션을 수행한 후 3D Reconstruction 을 수행하여 3D 형태의 간 혈관을 보고 중간 정맥을 파악하여 간 실질의 절단 위치를 예측하게 된다. 절단되어진 간 실질의 크기를 확인하고 계산에 의하여 수술 성공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단일 시점 축구 비디오의 3차원 영상 변환을 위한 깊이지도 생성 방법 (2D-to-3D Stereoscopic conversion: Depth estimation in monoscopic soccer videos)

  • 고재승;김영우;정용주;김창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27-43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일반 단일 시점의 축구 비디오를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축구 비디오 분석 과정을 통하여 축구 비디오를 일정한 종류의 샷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샷 종류에 따른 깊이지도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원거리 샷의 경우에는 운동장 영역 추출을 통하여 운동장 영역에 깊이기도 (Depth Map)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비 원거리 샷의 경우, 운동장 영역 블록 수와, 간단한 피부색 발견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한 스킨 블록의 수에 따라 다시 3가지로 샷을 분류하고, 각 종류의 샷에 따른 깊이지도 생성 방식 1) 오브젝트 영역 추출을 통한 깊이지도 생성, 2) 스킨 블록을 이용한 전경 영역 추출과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한 깊이기도 생성, 그리고 3) 스킨블록이 없는 상황에서의 깊이기도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생성한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생성한 실험영상을 결과로 제공한다. 그리고 주관적 깊이감 품질 평가를 통해서, 제안된 방법을 통해 생성된 영상이 원본 영상에 비해 깊이감이 향상됨을 증명한다.

산화아연 투명전극의 패터닝 및 나노막대 구조를 이용한 질화갈륨계 LED의 광추출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

  • 박지연;손효수;최낙정;이재환;한상현;이성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3-313
    • /
    • 2014
  • GaN계 물질 기반의 광 반도체는 조명 및 디스플레이 관련 차세대 광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효율 증대를 위한 에피, 소자 구조 및 패키지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투명 전극을 이용한 광 추출 효율의 증가에 대한 연구는 전체 외부양자효율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투명전극은 가시광 영역의 빛을 투과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기능성 박막 전극으로 산화인듐주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인듐 가격의 상승과 산화인듐주석 전극 자체의 크랙 특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GaN계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산화인듐주석 투명 전극의 대체 물질들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투명전극 층으로 사용되는 산화인듐주석 대체 박막으로 산화아연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효율 증가를 위해 발광소자에 표면 요철 구조 형성과 나노구조체 형성 등 박막 표면의 구조 변화를 통한 광추출효율 향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아연 박막을 투명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해 산화아연 투명전극에 패터닝을 형성하고, 그 위에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형성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산화아연 투명전극보다 우수한 추출효율 및 전류 퍼짐 향상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따른 LED 소자의 광추출효율 향상을 연구하였다. 금속유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c-면 사파이어 기판에 n-GaN, 5주기의 InGaN/GaN 다중양자우물 구조 및 p-GaN의 간단한 LED구조를 성장한 후, p-GaN층 상부에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투명전극인 산화아연 박막을 6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산화아연 투명전극만 증착한 LED-A와 이후 0.1% HCl을 이용한 습식식각을 통하여 산화아연 투명전극에 육각형 모양의 패턴을 형성한 LED-B, 그리고 LED-B위에 전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1.0{\mu}m$의 산화아연 나노 막대를 증착한 LED-C를 제작하였다. LED-A, -B 및 -C에 대한 표면 구조는 SEM이미지를 통하여 확인한 바 산화아연의 육각 패턴과 그 상부에 산화아연의 나노막대가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I-L 분석으로부터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산화아연 투명전극으로만 구성된 LED-A에 비하여 산화아연 투명 전극에 육각 패턴을 형성한 LED-B의 전계 발광 세기가 더욱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육각 패턴에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시켜 융합구조를 형성한 LED-C에서는 LED-B와 -A보다 더 큰 전계 발광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가 전류가 고전류로 갈수록 LED-C의 발광세기가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효율저하현상 또한 나노융합구조의 LED-C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산화아연 투명전극에 육각형의 패턴 및 나노막대융합구조를 형성할 경우 전류퍼짐현상을 극대화 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광추출효율 향상 효과에 의해 질화갈륨 기반LED 소자의 광효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장수버섯 자실체의 열탕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teoglycans Extracted from Fruiting Bodies of Fomitella fraxinea)

  • 윤상홍;임재현;김양섭;김창한;조준형;황영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11-518
    • /
    • 1998
  • 국내에 자생하는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수용성 다당체의 약리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수버섯 자실체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체는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1종의 중성다당체(FF-NP)와 2종의 산성다당체(FF-AP1, FF-AP2)로 분리되었다. 3종의 다당체중 FF-AP1이 $20\;{\mu}g/ml$ 농도에서도 약리적으로 유효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다. Clonogenic assay에 의한 9종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각 다당체의 저해효과검정에서, FF-AP1은 $500\;{\mu}g/ml$ 농도에서 인체 위암 세포주(Snu-1)에 대해 86%, FF-AP2는 동농도에서 인체 후두암(Hep-2)과 구피암(KB)에 대해 각각 71%와 77%의 생존억제율을 보여주었다. 장수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조다당체에 대한 mouse의 급성독성 검정시험결과에서 반수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이었으며, 육안이나 조직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국내 핀테크 동향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 분석: 텍스트 마이닝 기법 활용 (Fintech Trends and Mobile Payment Service Anlaysis in Korea: Application of Text Mining Techniques)

  • 안정국;이소현;안은희;김희웅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26-42
    • /
    • 2016
  • 최근 O2O 시장의 급성장과 더불어 금융과 ICT 기술이 융합된 핀테크가 "금융의 O2O"화를 이끌 혁신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핀테크 기반의 결제, 인증, 보안 기술 및 관련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핀테크와 같은 신기술 산업에는 기술적인 원천과 더불어 관련 제도 및 규제가 중요한데, 아직은 국내 핀테크 산업의 제도와 기술동향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핀테크 동향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국내 대표적 모바일 결제서비스인 카카오페이와 삼성페이를 비교하여, 향후 국내 핀테크 산업의 기술과 제도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핀테크가 언급된 트윗들을 2014년 8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전수 조사하여, 토픽 추출, 감성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들을 시각화 하였다. 분석한 결과,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에 기술과 제도에서 다양한 주제들이 생성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카카오톡과 같은 "서비스" 기반의 카카오페이와 갤럭시와 같은 "기기" 기반의 삼성페이의 토픽들 간에도 서로 다른 키워드들과 반응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마이닝을 이용하여 소셜미디어의 비정형 데이터를 기간 별로 분석하고, 감성분석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와 반응을 정량화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핀테크 관련 실무자들에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핀테크 산업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폴리(옥시메틸렌)/개질 폴리[스티렌-b-(에틸렌-1-부텐)-b-스티렌] 삼블록 공중합체 블렌드의 물성 (Properties of Poly(oxymethylene)/Modified Poly[styrene-b-(ethylene-1-butene)-b-styrene] Triblock Copolymer Blends)

  • 전현욱;김승우;김규현;김일;하창식
    • 폴리머
    • /
    • 제28권2호
    • /
    • pp.162-169
    • /
    • 2004
  • 0-0.3phr의 디큐밀 퍼옥사이드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0-3.0 phr 말레산 무수물에 의해 폴리[스티렌-블록-(에틸렌-1-부텐)-블록-스티렌] 삼블록 공중합체 (SEBS)는 관능화되었다. 개질 SEBS의 젤 함량은 자일렌 추출에 의해 결정되었고, 폴리(옥시메틸렌)이 개질 SEBS와 혼합되었다. 혼합물의 충격, 인장, 굴곡강도 그리고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폴리(옥시메틸렌)의 충격강도는 개질 SEBS와의 블렌드를 통하여 향상되었다. 그러나 개질 SEBS가 5% 보다 더 많아지면 블렌드의 충격강도가 감소하였다. 충격강도에 대한 디큐밀퍼옥사이드 농도의 영향을 살펴보면, 폴리(옥시메틸렌)이 디큐밀 퍼옥사이드 0.1phr을 사용하여 제조된 개질 SEBS와 블렌드시 최대 충격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에 의하면 폴리(옥시메틸렌)/개질 SEBS블렌드의 개질 SEBS 입자크기가 폴리(옥시메틸렌)/SEBS블렌드의 SEBS 입자 크기보다 작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