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sive blasting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7초

대단면 철근콘크리트 특수구조물 발파해체 시공 사례 (Execution Case Study on the Explosive Demolition of a Large-Section RC Special Structure)

  • 박훈;석철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5호
    • /
    • pp.397-406
    • /
    • 2009
  • 최근에는 구조적 노후화 및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해체되는 산업구조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체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적, 공간적 환경위해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파해체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시공 사례는 구조적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대단면 철근콘크리트 특수구조물인 Crusher & Screen 구조물의 발파해체를 기술하였다. 대단면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다양한 사전취약화 및 발파패턴을 적용하였으며 발파진동 및 충격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일한 기둥 내에서의 발파시차 및 발파구역간의 발파시차를 설정하였다. 대단면 철근콘크리트 특수구조물의 해체에 발파해체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주변 시설물에 대한 피해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해체가 완료되었다.

다이너마이트와 미진동파쇄기 발파에 의한 지반진동속도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Ground Vibration Velocity by Dynamite and Finecker Blasting)

  • 김일중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6권1호
    • /
    • pp.39-47
    • /
    • 1996
  •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y between 120 vibration events by dynamite blasting and 68 vibration events by finecker blasting which were monitored in the test blasting are as follows: The ground vibration velocity of dynamite blasting of 0.12 kg charge weight per delay at 7.4 m above the explosive is higher than that of finecker blasting of 0.96 kg charge weight per delay. In the case of 0.12 kg charge weight per delay, the ground vibration velocity of finecker blasting is equal to 5.5% of that of dynamite blasting at the 10 m distance from explosive. The decrement of ground vibration velocity of dynamite blasting of above 0.12 kg charge weight per delay is larger than that of finecker blasting of below 0.96 kg charge weight per delay. The rate of ground vibration velocity of the finecker blasting to that of dynamite blasting decreases with the distance from explosives, but increases with the decrease of charge weight per delay. The increment of ground vibration velocity of finecker blasting is less than that of dynamite blasting with the increase of charge weight per delay at the same distance from explosives. Under the condition of the constant critical ground vibration velocity or use the same charge weight per delay, the blasting working by finecker rather than by dynamite is able to be performed at the nearer place to structures.

  • PDF

터널발파로 인한 굴착선주변 암반거동의 확률론적 연구 (Probabilistic Analysis of Blasting Loads and Blast-Induced Rock Mass Responses in Tunnel Excavation)

  • 이인모;박봉기;박채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89-102
    • /
    • 2004
  • 디커플링장전조건의 화약 폭발시 발생하는 발파압력은 최대압력, 최대압력 도달시간, 압력파형의 함수로 나타난다. 발파 최대압력과 최대압력 도달시간은 화약과 암반 특성의 함수이다. 화약과 암반특성시험 결과로부터 그 특성치의 확률분포를 산출하였다. 화약과 암반 특성치의 확률분포가 정규분포로 나타났으므로 발파 최대압력과 최대압력 도달시간의 확률분포도 정규분포로 추정되었다. 발파 최대압력과 최대압력 도달시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변수분석과 불확정성분석을 실행하였다. 최대압력과 최대압력 도달시간은 매개변수분석결과 화약특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지만 불확정성분석결과 화약보다 암반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발파로 인하여 굴착선주 변 암반에 발생하는 손상을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였다. 암반손상을 산정하기 위하여 연속체손상역학에 기초하여 사용자 부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이 부 프로그램을 ABAQUS 주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해석하였다. 동적 해석결과는 확대공 발파에 의한 손상이 외곽공보다 크게 나타났다. 확대공 배치, 암반분류 세분화 등 여굴방지 방안이 제안되었다 손상계수의 파쇄기준이 불명확하므로 fuzzy-random 확률이론을 적용하여 파쇄기준과 파쇄영역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원자력 증기발생기 결함 세관 보수용 폭발 Plugg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ve Plugging of A Repair for Defective Tube/Tubeplate on the Nuclear Steam Generator)

  • 이병일;심상한;강정윤;이상래
    • 화약ㆍ발파
    • /
    • 제17권4호
    • /
    • pp.18-31
    • /
    • 1999
  • The explosive forming has been used for many year to expand tubes into tubesheets. this process has demonstrated ability to direct carefully the energy of an explosive to expand tubes into tubesheet holes without damaging the tubesheet and without causing the excessive cold work at the tube I.D. that is normally associated with mechanical expansion. The success of explosive tube expansion provided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losive tube plu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optimum explosives and explosive qualities are PETN, RDX, HMS and about 18~31gr/ft of explosive plugging in nuclear steam generator. (2) Explosive plugging's thickness is 0.9~1.8mm. If groove of 0.4 mm formed in plug outside, For the hydraulic leakage is go up, explosive plugging of formed groove are applicate tube and tubrplate. (3) Sheath is designed on the polyethylene of low density, In thermal impact test of the $430^\circ{C}$, hydraulic leakage is $300kg/cm^2$. (4) About 10~60mm oxide inclusions are existed on the space of explosive plug and tube protect to the leakage.

  • PDF

Numerically and empirically determination of blasting response of a RC retaining wall under TNT explosive

  • Toy, Ahmet Tugrul;Sevim, Baris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5권5호
    • /
    • pp.493-512
    • /
    • 2017
  • Blast loads may considerably affect the response of structures. In previous years, before computer analysis programs, the parameters of blast effects were calculated with empirical methods, consequently some researchers had proposed equations to find out the phenomenon. In recent year's computer analysis programs have developed already, so detailed solutions can be made numeric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blasting response of the structures using numerical and empirical methods. For the purpose, a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is modelled using ANSYS Workbench software, and the model is imported to ANSYS AUTODYN software to perform explicit analyses. In AUTDYN software, a sum of TNT explosive is defined 5,5 m away from the wall and solution is done.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obtained from empirical equations. Similar study is also considered for equal explosive which is the 4 m away from the wall. The results are represented by graphics and contour diagrams of such as displacements and pres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distance of explosive away from the wall is highly affected the structural response of it.

보일러동 철골구조물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Boiler Building of Steel Frame Structure)

  • 박훈;남성우;노유송;석철기
    • 화약ㆍ발파
    • /
    • 제40권3호
    • /
    • pp.66-76
    • /
    • 2022
  • 최근 오래된 산업단지의 해체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체된 산업부지를 원래 자연환경으로 복원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시공사례는 오래된 산업단지 내의 대형 철골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해 발파해체공법 중 전도공법을 적용하였다. 철골구조물을 절단하기 위해 금속 제트가 발생하는 장약용기를 사용하였다. 발파구간 중 철골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가스와 산소 불꽃 또는 아크열에 의해 깊은 홈을 파는 방법인 가우징을 적용하여 두께를 조절하였다. 발파해체 결과, 철골구조물은 예측된 방향으로 정확히 전도하였으며, 주변 시설물에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고위력 폭약의 화강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 Caused by Blast Hole Explosion of High Explosives in Granite)

  • 김경규;신찬휘;김한림;양주석;배상호;윤경재;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41권4호
    • /
    • pp.29-40
    • /
    • 2023
  • 암반발파는 광업, 터널공사, 지하 구조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암반발파 기술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암반발파 시 발파공에서 발생하는 발파공의 압력은 파쇄도, 발파진동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폭약의 성능 평가 및 발파 결과 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발파공 압력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지만, 폭약의 종류, 폭약량, 발파조건 등 실험조건으로 인하여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공 압력센서와 관측공 압력센서를 제작하여 단일공 발파 시 발파공과 관측공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발파공 주변 압력 전파특성과 발파진동 전파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