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mental plot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5초

옥수수-연맥 헤어리벳치 작부체계에서 옥수수에 대한 헤어리벳치 녹비효과 (Effect of Hairy Vetch Green Manure on Corn Growth and Yield Cropping System of Corn-Oats/Hairy Vetch)

  • 서종호;이호진;허일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9-194
    • /
    • 2001
  • 추파연맥-옥수수 이모작 작부체계에서 헤어리벳치 녹비 이용의 가능성 및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1999년 및 2000년의 2년간 작물시험장 발포장에서 옥수수 수확 후 9월 초순 연맥과 헤어리벳치를 혼파하여 11월 초순 일차적으로 사초를 수확하고 난 후 월동한 벳치를 옥수수의 녹비로 이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옥수수 단작에서 벳치단파에 따른 옥수수에 대한 2년 평균 벳치녹비량 6.7cm/ha의 효과는 연맥이모작의 옥수수 질소표준비와 거의 동일하였다. 연맥과 혼파시의 벳치의 녹비 및 녹비질소량은 벳치 단파시의 40%에 불과하여 옥수수 6엽기에 조사한 토양질산태 질소량도 벳치-녹비구 및 연맥-표준질소구보다 반 이하로 감소하였고 식물체 질소함량이 많이 감소하여 출사기 옥수수 질소흡수량이 40-50kg/ha 감소하였다. 그러나 옥수수 6엽기에서의 토양질산태 질소가 무질소비료구의 2배 정도였으며 시험 2년차에는 추비질소가 필요없이 토양 질산태 질소수준인 25mg/kg에 거의 접근하였으며, 출사기에서의 옥수수 질소흡수량이 무질소비료구보다 약 30-40kg/ha 증가하였다. 시험 1년차 연맥+베치-녹비구의 옥수수 전건물중은 벳치-녹비구 및 연맥-표준질소구보다 종실중이 다소 감소하여 약 2 ton/ha 정도의 수량 감소가 있었지만 시험 2년차는 동일하였다. 옥수수 1년차에 약 60kg/ha, 2년차에 20kg/ha 감소하였으며, 연맥-무질소구에 비해서는 1년차 30kg/ha, 2년차 45kg/ha 정도 증가하여 질소화학비료 50-100kg/ha 대체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뚜렷한 녹비의 2년 누적효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옥수수의 단작시의 헤어리벳치녹비보다는 효과가 적지만 연맥 이모작시에도 연맥과의 혼파에 의한 헤어리벳치의 녹비 및 질소비료 절감효과도 충분히 크며 녹비의 누적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일원 식생복원지 회복 평가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taion Works at the Nogodan Area, Jirisan National Park)

  • 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3-1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복원사업후 경과년수에 따라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일원의 식생구조의 회복수준을 평가하는 데 있다. 1992년(23년 전)에 시행한 헬기장 주변 훼손지 복원연구 시험지역, 1996년(19년 전)에 시행한 노고단 정상부 훼손지 복원사업지역, 2008년(7년전)에 시행한 군시설 이전지 복원사업지역에 모니터링 시험구 14개소, 복원지 인근 자연림에 대조구 12개소등 총 26개소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복원사업지와 인근 자연림간 식물상,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유사도지수 등을 분석하여 식생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23년이 경과된 훼손지복원시험지역은 시험구와 대조구 간 종구성의 유사도지수 평균치가 35.2%이었고, 관목층 수고는 20%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9년이 경과된 정상부 식생복원사업지역은 종구성의 유사도지수 평균치가 17.6%로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털진달래가 출현하는 관목층의 수고는 20%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7년이 경과된 군시설이전지역의 유사도지수는 34.3%로 비교적 높았으며, 관목층의 피복도는 대조구의 20% 수준을 나타냈다. 국립공원지역의 생태복원평가기법과 생태복원기술개발을 위하여 복원사업지역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native Indonesian rice progenies and its relationship with root development during dry-season

  • Zakaria, Sabaruddin;Fitrya, Farid;Kurniawan, Trisda;Hereri, Agam Ihsan;Maulana, Teuku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8-338
    • /
    • 2017
  • One of the problems in increasing rice production is getting lines or varieties that have high adaptability so that able to produce maximum production in a varie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e strategy that can be done to get adaptive varieties is through the improvement of native variet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rain fed paddy field, Aceh province, Indonesia from June to September 2014. The texture of the soil was clay-loam with the soil pH ranged from 6.5-6.7. Five potential progenies of rice from crossing between native Indonesian rice with introduced rice varieties consist of C3, C4, S3, S5, S6 were used in this study. Besides that, one national rice variety Ciherang also used as a comparison. The plants were growth in the plot with the size of $2m{\times}1.4m$ with plant distance was $20cm{\times}20cm$. The fertilizers used in this study were Urea, NPK, and KCl.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6 rice progenies/variety and 3 replica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There were 18 experimental units and each experimental unit had 10 samples for the sources of data. The variables that were observed in this study including plant height at harvesting time, number of productive tiller, the percentage of empty grains and filled grain per panicle, weight of filled grains per hill, weight of filled grain per plot and yield potential per hectare. Analyzed were also conducted for the depth of root penetration, dry-root weight, dry-shoot weight, shoot-root weight ratio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weight of filled grain per hill.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plant height at harvesting time, number of productive tillers, the percentage of empty grains and filled grain per panicle, weight of filled grains per hill, weight of filled grain per plot and yield potential per ha (p>0.01) among the treatments. In addition, depth root penetration, dry-root weight, dry-shoot weight, shoot-root weight ratio also ha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mong the treatment. The highest plant at harvesting time was found in S6, reaching 129.8 cm and the shortest plants was found in C3 reaching 107.5 cm. The largest number of productive tillers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filled grains per panicle were found in Ciherang reaching 10.5 tillers and 80.7% respectively. Ciherang also had the heaviest weight of filled grains per hill and per plot reaching 21.1 g and 2.18 kg respectively. Whereas, S6 had the lowest number of tillers and the lowest percentage of filled grain per panicle.. The highest yield potential per ha was found in Ciherang reaching 7.79 tons. Among the progenies, S5 had the highest yield potential reaching 5 tons/Ha. The result also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hoot-root weight ratio with weight of filled grains per hill. The highest value of shoot-root weight ratio (1.57) in Ciherang is thought had closed relationship with its yield potential.

  • PDF

통일계벼의 침수피해요인에 관한 실험적 연구(II) - 침수가 벼수량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amages of Submerged Rice Plants in Tong-il Variety Plots (II) -Emphasis on the Effects of Submergence Treatment on the Grain yields of Rice Plants-)

  • 김철기;박명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41
    • /
    • 1983
  • This research is mainly to deal with the effects of submergence treatment on the grain yields of two rice plants, local variety, "Akibare" and Tongil line variety, "Milyang 23".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ice products of each plot the grain yield index was smallest in the plot treated at the early heading stage. The index of the next order became smaller in order of late flowering stage, late reduction division stage, milk ripe stage and dough ripe stage etc. The submerged stage at which the damages were smallest was tillering stage. Under the condition of two thirds or one third submerged depth of plant height, few differences in the grain yield index between Milyang 23 and Akibare was found, but except rooting stage, the damages of milyang 23 by whole submergence during growing period were mostly greater than those of Akibare. Especially the grain yield index of early heading stage at which the damages by whole submergence was most serious showed 45 percentage for one day submergence, 31 percentage for 3 days and 0.7 percentage for 7 days in Akibare plots, and 26.7% percentage for one day submergence, 7.9 percentage for 3 days and none for 7 days in Milyang 23 plots. 2. All the factors such as submerged stage, submerged depth and submerged period in this experimental test were highly recognized significance. The factors of the submerged depth and duration influenced on greater damages than the oth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grain yield between plots, the larger the submerged depth and duration were, the larg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And between the treated levels at other submerged stages except both early tillering stage and most active tillering stage, the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s in grain yield was recognized, while only the submergence at early heading stage showed the most serious damages. 3. The decreased rate of grain yield for one day submergence at early heading stage indicated that in case of whole submergence of plant height it was 73 percentage in Milyang 23 plot and 55 percentage in Akibare plot, and in the event of two thirds and one third submergences of it, 20 percentage and 10 percentage in both Mulyang 23 and Akibare plo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current criteria for planning project that restricted allowable submergence duration of more than 30cm submerged depth to 24 hours, should be amended not to exceed the submerged depth of 60cm when the duration of more than allowable submerged depth of 30cm will be limited to 24 hours, or within the limits of 12 hour submerged duration for locai variety and of less than 12 hour duration for Tong-illine variety as long as possible in case that submerged depth will be allowed to more than 60cm depth.ore than 60cm depth.

  • PDF

일조량이 참비비추(Hosta claus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development of ground cover plant in Hosta clausa.)

  • 김광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7
    • /
    • 2004
  • 내음성 지피식물의 생리, 생태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3월 부터 10월 까지 참비비추를 재료로 하여 차광을 달리한 상태에서 이들 인공군락의 물질생산과 생장특징을 분석하였다. 3반복 완전임의배열법에 의하여 각 시험구 공히 식물별 전일광(비교구) 30%, 50%, 70% 차광율의 시험구를 설치하였으며 10일 간격으로 주변효과(Edg effect)를 고려한 Sampling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하였다. 1. 8월 초순이후부터 9월 말경까지의 생육과정 차광조절구가 비교구에 비하여 엽수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전시험기간 중 30%차광구에서 9월 10일경 생엽수가 평균 10.1로서 최고치를 보였다. 2. Cont.구는 조절구에 비하여 시험기간 중엽의 신장과 신장율도 공히 낮은 경향을 보였다. 30% 차광구에서 9월 20일경에 엽장이 25.87cm로서 최고치를 보였다. 3. 시험기간중 생육경과에 따른 엽폭의 증가는 각 조절구 공히 8월 중순경까지는 완만한 경향을 보였으나, 8월 22일경부터 9월 10일경의 생육과정에서 엽폭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4. 엽병길이의 증가는 8월 초순경에서 8월 말경 사이의 생육과정에서 현저히 높은 신장율을 나타냈다. 6. 참비비추의 생육경과에 따른 엽수, 엽장 및 엽폭, 엽병길이의 생장은 30%, 50% 구에서 시험기간중 생육과정에서 비교구와 70%의 조절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고, 비교적 적은 광조건에서도 안정된 생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음지식물로서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초제 처리 과수원 포장에서 강우 사상의 효과. 1. 토양 물리성과 화학성의 변화 (Effects of Rainfall Events on Soil in Orchard Field under Herbicide Treatment. 1. 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정덕영;김필주;박미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5-35
    • /
    • 2010
  • 약간 경사가 있고 침식 가능성이 높은 배나무 과수원 포장에서 2가지 종류의 제초제를 처리하여 유거수와 토양침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1)발아 전 처리 제초제 - Glyphosate; (2)발아 후 처리 제초제 - Paraquat. 조사지 포자의 고도는 125 m 경사도는 5.5% ~ 10.2%의 분포를 보였다. 한편 조사기간인 2006년 6월과 2008년 11월 사이의 강우 횟수는 각각 47, 52, 52회로 조사되었다. 정상적인 침투율은 보통 잡초가 모두 제거된 맨땅에서 증가하지만 제초제가 처리된 땅에서는 감소했다. 대조구에서 유거수는 항상 제초제를 처리한 땅과 맨땅에서 보다 더 적었다. 같은 강우강도에서 유거수는 대조구, glyphosate 그리고 paraquat 순으로 증가하였다. 강우의 강도가 센 경우에 유거수 차이는 조사 첫해에 약간 더 높았다. 토양 유실은 연구기간 3년 동안 약간씩 다르나 조립질 토양보다 미세질토양에서 유실이 더 많았다. 하지만 토양유실은 총강우량과 유거수와는 밀접한 연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일 강우강도에서 토양침식률은 대조구, glyphosate, paraquat 그리고 glyphosate가 처리된 맨땅 순으로 증가하였다. 상대적으로 30 mm $day^{-1}$보다 낮은 강우량에서 제초제 처리와 상관없이 토양유실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토양침식에서 중요한 요인은 강우강도이다.

자연림 복원을 위한 모듈군락식재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odular Community Planting for Natural Forest Restoration)

  • 한용희;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8-349
    • /
    • 2022
  • 다양한 수종의 묘목을 고밀도로 심는 모듈군락식재가 기존의 성목식재보다 자연림 복원 효과성이 뛰어난지 알고자 야외 실험을 했다. 또 모듈군락식재의 식재밀도 차이에 따라 생장이 촉진되는지, 또 식피율이 높아지는지를 알아보았다. 큰나무를 넓게 띄어 심는 성목식재구(대조구)와 다종의 묘목을 고밀도로 심는 모듈군락식재구(처리구)로 구분했고, 다시 식재밀도에 따른 3주/m2와 1주/m2 모듈군락식재구로 나눠 실험을 설계했다. 2019년 5월부터 26개월간 공시재료의 생존율, 생장량(수고, 수관폭, 근원직경), 식피율을 측정했고, 측정 수고값을 활용하여 장래 수고생장을 예측했다. 모듈군락식재구의 생존율과 상대생장량이 성목식재구보다 높았다. 모듈군락식재구의 식피율은 23개월 이전에 지표면을 완전히 덮었지만, 성목식재구는 이식스트레스로 인해 오히려 식피율이 낮아졌다. 고밀도로 심은 모듈군락식재구의 묘목이 자라서 식재 후 5~6.5년 만에 성목식재구보다 더 높이 자랄 것으로 예측됐다. 이런 결과를 이끈 원인은 다종(多種)·묘목·고밀도 식재와 토양개량·멀칭 등의 식재기반 개선 때문이라 본다. 즉, 모듈군락식재구에 심은 묘목은 큰나무를 심은 성목식재구보다 식재 후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생존율이 높고, 초기 생장량이 많았을 것이다. 다양한 자생수종의 고밀도 혼식은 상호보완적 환경압을 완화하는 동시에 개체간 경쟁을 유발해 생장 촉진을 이끌었다. 더불어, 식재기반 개선은 묘목의 활착율 상승과 생장량 증가에 유효했다고 본다.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식피율이 급격히 늘어나, 제초 등의 사후관리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모듈군락식재구(3주/m2, 1주/m2)의 식재밀도가 높았을 때 수고생장이 촉진되었고, 수관폭·근원직경은 식재밀도가 낮았을 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인공산성우에 대한 조경수목의 내성 비교 (A Study on Resistant Comparisons of Landscape Trees by Simulated Acid Rain)

  • 정용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8-218
    • /
    • 1991
  • To compare the resistance of landscape trees by acid rain, simulated acid rain was treated on the seeds of 6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Cedrus deodara, Thuja occidentalis) and 6 broad-leafed species (Ligustrum obtusifolium, Acer Buergerianum, Acer Ginnala, Styrax obassia, Cornus Kousa, Magnolia obovata). The experimental design of randomized block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was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Yesan National Agri-Tech Junior College. The seeds of 12 tree species were planted on the nursery soil in the early spring of 1991. The regime of artificial acid rain, in terms of spray frequency per monthly and spray amount at year records. Simulated acid rain (pH 2.0, pH 4.0, pH 5.6 as control) containing sulfuric and nitric acid in the ratio of 3:2 (chemical equivalant basis) diluted ground water, were treated on the experimental plants under condition of cutting off the natural precipitation with vinyl tunnel, during the growing season (April 8 to August 31) in 1991. Seedling establishment, seedling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in needles and leav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e treatment.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In general, coniferous species were more resistant than broad-leafed species in the resistant comparisons of landscape trees by simulated acid rain. But there were resistant tree species to acid rain among the broad-leafed species. 2. Among 6 coniferous species used in this experiment,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Cedrus deodara and Pinus thunbergii revealed the resistant tree species to acid rain. But Thuja occidentalis was very susceptible to acid rain, because of no germination in pH 2.0 treatment plot of acid rain. 3. Among 6 broad-leafed species used in this study, Magnolia obovata, Styrax obassia and Ligustrum obtusifolium showed relative resistant tree species to acid rain. But Acer Buergerianum, Acer Ginnala and Cornus Kousa were very susceptible to acid rain, because of no germination in pH 2.0 plot of acid rain treatment.

  • PDF

반복측정의 이가반응 자료에 대한 로짓 모형 (A Logit Model for Repeated Binary Response Data)

  • 최재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2호
    • /
    • pp.291-299
    • /
    • 2008
  • 동일 개체가 여러 시점에서 반복되어 측정될 때, 측정값들 간에 종속성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 개체의 이가 반응변수가 g개 시점에서 관측될 때, 종속적인 g개 이 가변수들의 다변량 분포로부터 각 시점에서의 주변분포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한 로짓모형을 제시하고 자료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형과 관련된 가정으로 반복측정이 행해지는 g개 시점은 각기 서로 다른 요인 또는 공변량의 결합수준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모형에서 고려된 처치들이 반복측정에 기인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실험 단위들에 행해질 때 모수들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중최소제곱법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가중최소제곱법은 반응변수들의 종속성으로 인한 공분산 구조에 근거한 모형내 모수들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추론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시된 모형은 주변로짓을 이용함으로써 단순히 주변확률분포의 동질성에 대한 검정뿐만 아니라 모형의 타당성 및 요인들의 수준변화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효과적인 모형임을 보여준다.

볏짚거적과 토양개량제를 활용한 경사지 밭의 비점오염원 저감평가 (Evaluations of NPS Reduction using the Rice Straw Mats and Soil Amendments from Steep Sloped Field)

  • 원철희;신민환;최용훈;신재영;박운지;이수인;최중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2호
    • /
    • pp.29-36
    • /
    • 2013
  •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describe the effect of straw mat cover and soil amendments on the reduction of runoff and non-point source load from steep sloped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Four $5{\times}30$ m plots on sandy loam soil with 28 % slope were prepared.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bare (control), rice straw mat cover (3,000 kg/ha) (S), PAM (5 kg/ha)+Gypsum (1 ton/ha) (PG) and rice straw mat cover+PAM+Gypsum (SPG). A variety of lettuce was cultivated and runoff was monitored during a growing season in 2011. Natural monitoring was conducted to three times. Runoff rate of S, PG and SPG plo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lot. Especially, the runoff rate is zero in SPG plot at a first rainfall events. The reduction rate of runoff from the S, PG and SPG plots was 30.8 %, 29.0 % and 81.8 % compared to control plots, respectively. The reduction rate of NPS pollution load of S, PG and SPG was ranged of 50~90 %, 30~70 % and 90~100 %, respectively. Yield of lettuce from S, PG and SPG plots was respectively 400 (567 kg/ha), 320 (453 kg/ha) and 760 (1,067 kg/ha) that of compared to control plots greater than that from control plots (140 kg/ha). We speculated that the experimental treated plots could hold more nutrients and moisture than the control and helped the crop grow healthier. When analyzing the above results, in terms of reduction of runoff and NPS pollution load and crop yields, SPG experimental treatment had the best effect.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rice straw mats cover and soil amendments on soil surface could not only reduce the NPS pollution loads in receiving waters but also help increase the crop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