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d violenc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3초

가족 폭력의 세대간 전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폭력 행동과 아동의 공격성 관계 (A Study 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the Family Viol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Violent Behavior and Child's Aggression)

  • 노치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9-23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the family violence.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effect of the parental violent behavior on the child's aggression. For this purpose, 266 6th grade children in Seoul are classified into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ggression rated by their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re are social clas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child's aggression, experience of parent-to-child violence and parental marital violence. 2. Experiencing parent-to-child violence and parental marital violence great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child's aggression. The effects are greater for the children who observed parental marital violence than who experienced child violence. 3. Father-to-mother violence rather than mother-to-father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the child's aggression, especially for the boys.

  • PDF

고등학생이 인지하는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 분석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of Sexual Violence)

  • 염영희;이규은;윤양소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47-55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and education of sexual viole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9 to July 14, 2000 using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60 high school students in six provinces(Seoul, Incheon, Daegu, Kyunggi, Kangwon, Kyungbuk).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bout sixty-three percent of the subjects was educated for sexual violence. 2. About thirty-four percent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22.3%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erious sexual contact and 0.8% of the subjects was raped. 3. The mean score of misconception related sexual violence was $2.71{\pm}0.45$. 4. The mean score of misconception related sexual viol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ayed time of education(F=8.90, P<.0001), in reading of pornomagazine (F=2.58, P<.01) and in taken lecture from physical education teacher. 5. The mean score of misconception related sexual viol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t=-2.63, P<.01) and in experience of serious sexual contact(t=-2.78, P<.01). 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sconception related sexual violence between boy and girl(t=6.69, P<.0001).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realistic and future-directed sexual violence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useful data to promote a more systemic and desirable sexual violence education.

  • PDF

Conjugal Violence and Mental Health of Korean Elderly Women

  • Kim Jae-Yop;Yang Hae-Won;Kim Hee-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2호
    • /
    • pp.11-23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conjugal violence among elderly wom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jugal violence and the mental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largest proportion (44.9%) of elderly women experienced verbal violence, followed by minor physical violence (35.5%), severe physical violence (13.1%), and sexual violence (5.6%); (2) the mental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who have been exposed to violence was worse than that of elderly women who have not. In conclusion, this article argues that interventions for better marital relationships among elderly couples are needed and comprehensive programs for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re also needed for elderly women in general.

배우자의 가해자 교정·치료 프로그램 이수에 대한 피해자의 경험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victim about spouse who completed domestic violenc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 강진아;신지영;이현숙;제오복;조명숙;진희경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5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phenomenon of spouses experienced by offenders after completing th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Method: For this purpose, among the offenders who received the decision of counsel (counseling order) accused by domestic violence, who the other spouse selected case without counseling. After the in - depth interviews with the 9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zzi '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Results: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ategory 1 was "Experiences about causes of violence", category 2 was "Experiences with forms of violence", category 3 was "What I wanted about my spouse when I called the police", category 4 was "What I wanted for myself when I reported to the police", category 5 was "the situation of the offender after completing th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category 6 was "what I experienced after completing the offender intervention program" and category 7 was "Experiences for Follow-up consultation need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unseling for perpetrators who are violent actors needed a therapeutic approach not only to strengthen the temporary punishment but also to help the family recovery on a continuous and sustainable level.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policy intervention for domestic violence were suggested.

병원종사 간호 인력의 직장폭력 경험 실태 (Violence Experiences of Clinical Nurses and Nurse Aids in Hospitals)

  • 김숙영;안혜영;김현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6-8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s and to analyze differences of violence experiences based on the department and harmers to nurses in hospital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elf-reported survey of 496 nurses and nurse aids in three hospitals in D area in Korea from April to May in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Result: The nurses in hospitals experienced offensive verbal abuse (88.4%), verbal threat (36.5%), physical violence (24.5%), serious physical violence (2.2%), and sexual harrassment (25.7%) during last one year in hospitals. Nursing staffs in hospital demonstrated different violent experiences by age and service areas. Conclusion: These findings revealed high rates of violence experiences of nursing staffs in hospital. Thus, hospitals should develop policies, guidelines, and program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workplace violence.

  • PDF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민자여성의 경험과 지원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and experience of immigrated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장온정;박정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221-234
    • /
    • 2010
  • This study reviews domestic violence characteristics, violence factors, and violence solving from survey reports, to find ideas that support shelter or counseling centers.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l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mmigrant women experienced emotional, physical, sexual and econom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factors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korea husbands, culture gaps, communication problems and attitudes of mother-in-laws. Second, coping attitudes for immigrant women were passiveness and overt patience of violence situations. Third, professional social workers or counselors were lacking. There was no network link between related service agencies; in addition. Service content was limited, was a lack support for independence.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의학적 후유증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ANALYSIS OF THE PSYCHIATRIC SEQUELAE IN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 육기환;이호분;노경선;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32-241
    • /
    • 1997
  •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은 경우,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정신적인 문제가 더 클 수 있다. 폭력을 당한 이후에 공포심, 우울감, 분노감, 자존심의 저하, 자살, 그리고 만성적으로는 인격장애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학교폭력과 연관하여 사회심리적인 위험요인을 조사하고, 동시에 폭력에 노출된 후에 나타나는 정신의학적 후유증을 알아보는 일은 학교폭력 예방과 해결에 주요한 임상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교폭력의 실태조사만큼이나 중요하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5월 사이에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고 정신과에 내원한 청소년 환자 13명을 대상으로하여 임상자료와 사회심리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임상자료는 폭력의 정도와 동기, 기간과 방법, 폭력후의 정신과적 증세, 심리검사 소견 및 치료경과 등을 포함하였고, 사회인구학적 자료는 대상들의 성장과정과 가족적 특성, 그리고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였다. 13명의 전체대상 중 8명은 만성적인 정신장애를 겪은 반면, 5명은 $1{\sim}3$개월동안 불안, 우울, 및 자살기도등의 일시적인 정신과적 증상을 겪은 후에 학교와 가정생활에 복귀할 수 있었다. 만성 정신장애를 보인 8사례 중, 4명은 폭력을 경험한 후에 $3{\sim}6$개월 이상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및 우울장애를 나타냈으며, 다른 4명은 폭력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일정기간 겪은 후 피해에 대한 강한 보상심리 또는 가해자에 대한 동일시 등에 의하여 공격적인 행동장애 내지 폭력가해 사례가 되었다. 만성적 정신장애를 보인 사례들은 일시적인 급성스트레스장애를 나타낸 사례에 비하여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신체적인 약점이나 질환, 자아기능의 결손, 가족적 지지체계의 결핍 등을 특징적으로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 피해사례들의 임상적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심각하고 만성적인 정신장애가 나타난 한편, 임상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일부가 가해 사례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정 폭력 경험이 남자 범죄 청소년의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경호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82-309
    • /
    • 2003
  • 본 질적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영하는 것이 남자 청소년의 성정체성, 특별히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다. 지금까지의 이론적 문헌들은 폭력 가정의 부정적인 남성 모델이 남자 청소년의 성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한다고 지적하고 나아가 남자 청소년은 종종 남성적 유능감을 입증하기 위안 방편으로 범죄를 저지른다고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청소년들의 범죄가 그들의 남성성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남자 청소년들이 어떻게 가정폭력을 경험 하는지, 그 경험이 어떻게 그들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들의 남성성이 어떻게 범죄와 연관되는지에 관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안 청소년 교정 기관에 입소했던 남자 범죄 청소년 12명에 대해 행해진 최소 3회 이상의 인종학적 심층 면접 자료, 주당 1-2회 참여 관찰 후의 현장 기록, 그리고 교정기관의 공식 문서로 구성된 2차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열린 부호화, 표를 이용한 자료 축소, 주제별 분석을 위한 재부호화, 주요 범주와 하위 범주들의 발견, 표를 이용한 자료 재축소화, 그리고 집단 간과 집단 내 유사점과 차이점 발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아동기 가정 폭력 경험이 사춘기 동안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 폭력에 노출된 남자 범죄 청소년은 폭력 가정에서 무기력감을 경험했고 폭력의 피해자로서 억압된 어머니와 애착 관계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가정 폭력물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과 가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은 전반적인 성정체성의 표현에 있어 공통점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관계적 성정체성의 형성과 연관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은 그들의 관계적 성정체성에도 불구하고, 기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처럼 남성적 유능감을 보여 주기 위해 폭력과 범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노인경비원의 폭력피해 경험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lderly private security guards about their victimiz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their perception of occupational stress)

  • 홍국표;오규철;이창배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469-492
    • /
    • 2013
  • 전반적인 사회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민간경비에 종사하는 노인근로자의 비중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경비원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특히, 노인경비원이 폭력피해를 당할 위험에 상당 부분 노출되어 있어 그들의 폭력피해 경험에 대한 실태조사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전국의 55세 이상 노인경비원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그들이 경험한 신체적 언어적 폭력피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폭력피해 경험의 여부가 노인경비원들이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노인경비원들은 신체적 폭력피해보다 언어적 폭력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직장 내 상사나 동료보다는 고객으로부터의 폭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언어적 폭력피해를 경험한 노인경비원이 그렇지 않은 경비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신체적 폭력피해의 경험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근로자를 대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언어적 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 PDF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클라이언트 폭력 연구: 아동보호서비스 현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Child Protection Services)

  • 신준섭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7호
    • /
    • pp.37-68
    • /
    • 2008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활동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아동보호서비스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아동의 부모 및 보호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와 폭력의 부정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전국 43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근무하는 207명의 종사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는 2007년 한 해의 경우 아동의 부모와 보호자에 의한 폭력 경험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2.8%(n=130)로 나타나 다른 서비스 영역의 종사자와 유사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은 현장실무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종사자에게 좀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폭력을 경험한 종사자는 불쾌감, 지침, 소진, 당황 등과 같은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어려움은 여성 응답자에게서 좀 더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폭력 경험은 응답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 같은 업무 관련 요인에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