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perience store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중국 관광객의 한국 화장품 점포속성 평가가 브랜드 체험을 통하여 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of Chinese Tourists in regards to Korean Cosmetic Store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ased upon Brand Experience)

  • 장정정;이영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87-500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attributes of cosmetic stores that Chinese tourists considered when purchasing cosmetics in Korea and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of attributes in regards to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ased upon brand experience.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January 1-14 in 2014 through a Chinese professional online survey channel-www.sojump.com. A total of 338 data from female and male respondents who visited Korea and purchased Korea brand's cosmetics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rist, cosmetic store attribute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salespersons, price and promotion, service. Second, all the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xperience. Among them,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and salespersons were the highest. Third, brand experience influenced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lso had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hat appeal to customers is as important as improving product quality when maintaining long-term customer relationships and loyalty.

점포내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소비자 감정체험과 접근/회피행동 -지각된 놀라움의 조절효과- (Consumer Emotional Experience and Approach/Avoidance Behavior in the Store Environment with Digital Signag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rprise-)

  • 김은영;성희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66-280
    • /
    • 2017
  • This study predicted consumer approach/avoidance behavior through consumer emotional experiences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rprises in the context of digital signage in store environmen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nsumer emotional experience (e.g.,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approach-avoidance behavior and perceived surprise by digital signage. A total of 278 usabl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consumers who experienced digital signage at fashion retail stores. The findings support the Mehrabian-Russell model in the context of digital signage. Approach behavior was predicted by pleasure and arousal emotional experience, while avoidance behavior was predicted by domin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rprise was also indicated in the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on approach or avoidance behavior. In the high level of perceived surprise, pleasure and arous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approach behavior, whereas domina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avoidance behavior.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creating emotional experiences and developing strategic store management by utilizing new digital technology within the fashion retail environments.

팝업스토어의 점포속성이 브랜드 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op-up Store Attributions Toward Brand Attitude and Revisiting Intention - Focus on Sports Brands -)

  • 채희주;최현영;장진희;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0-412
    • /
    • 2012
  •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a pop-up store based on how the store attributions of a pop-up store influence brand attitude and brand patronage inten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instruments: store attributes, brand attitude, and brand revisiting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18.0. We surveyed 123 males and females, who had an experience of a pop-up store, and interviewed five experts who work in the fashion related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VMD has positive impacts on brand patronage intention, but with no significant relationship to brand attitude. Second, a brand culture's experience of a pop-up store has a strong influence on brand attitude and brand patronage intention. Third, products in the stor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brand attitud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motion of diverse attributes of apop-up store is critical to make customers perceive brand attitude and brand patronage intention that are expected to be used to establish advanced marketing strategies.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난 퍼놀로지(Funology) 공간 특성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unology Spatial of the Fashion Flagship Store)

  • 오혜린;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91-201
    • /
    • 2017
  • In th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paradigm of environment with advancement of advanced technology and improving income levels. Such a paradigm reflected in modern design and emerged as a new spatial aspect through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xpressions, thus becoming a crucial role in commercial space. Reflecting on this phenomenon, fashion brands have expanded the concept of a variety of cultural, artistic, and experience cultures with a variety of cultural and artistic sectors in each of the world's major cities. The fashion companies began to focus on fashion programs featuring "Funology" as the fun which creates a sense of curiosity rather than a meaningless space and a fun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flagship store sites using characteristics of fashion flagship store presented in the expressions of fashion, and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flagship store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scene.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Flagship and the Funology. Design Aspects of the Fashion Flagship Store with Elements of Fun and We expect continuous research as a strategic factor that provides limitless ideas for many design and creative activities.

국내 무인매장 쇼핑경험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 세븐일레븐 시그니처 매장을 중심으로 - (Guideline for Improvement of Unmanned Shopping Experience - Focusing on Seven Eleven Signature -)

  • 이은주;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89-39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무인 매장, 그중 세븐일레븐 시그니처 매장을 중심으로 더 나은 사용 경험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미국과 중국의 무인 매장에 대한 특징을 조사하였고, 세븐일레븐 시그니처 매장과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무인 매장 쇼핑 경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주요한 7가지 항목인 Easy, Simplified, Accessible, Findable, Informative, Flexible, Credible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국내 최초의 무인 편의점 세븐일레븐 시그니처를 중심으로 국내 무인 매장의 쇼핑경험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국내 무인매장 개선 방안을 보완하고, 경험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패션브랜드 메타버스 가상현실매장 체험이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지각된 즐거움, 소비자-브랜드 자아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ence of Fashion Brand Metaverse Virtual Reality Store on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Perceived Fun, and Consumer-Brand Self-Congruity)

  • 이은정;전지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87-395
    • /
    • 2022
  •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의 메타버스 속 가상 매장에서의 소비자 경험의 특성이 해당 매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된 효용 및 자아 일치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연구했다. 분석 결과, 패션 브랜드 메타버스 가상현실 매장 체험특성의 세 요인(사실성, 편재성, 익명성)은 모두 지각된 아바타 일치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사실성과 편재성은 지각된 재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익명성이 지각된 재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은 지각된 소비자-브랜드 자아 일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패션브랜드 가상현실 매장에서 지각된 재미는 통계적으로 지각된 소비자-브랜드 자아 일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erceived Shopping Value Dimensions on Attitude toward Store, Emotional Response to Store Shopping, and Store Loyalty)

  • 안광호;이하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137-164
    • /
    • 2011
  • 본 연구는 경험가치척도(EVS; Experiential Value Scale)를 바탕으로 측정된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가 백화점과 할인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했다. 실증분석결과 점포에서 제공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용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서비스우수성, 효율성, 경제적 가치가 증가할수록,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쾌락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시각적 매력, 오락적 가치, 일상탈출, 내재적 즐거움이 높은 것으로 지각할수록, 쇼핑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는 소비자들이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직접적 영향이 아닌 점포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형성은 점포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보다 할인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ce and Environment Factors in Offline Stores on the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 진의토;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67-178
    • /
    • 2019
  • 본 연구는 애플(Apple), 화웨이(Huawei), 샤오미(MI), 오포(Oppo), 삼성(Samsung), 비보(Vivo) 등의 오프라인 매장을 체험한 258명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체험요소와 환경요소가 제품과 관련된 지각된 가치를 창출해내는지, 이러한 가치가 매장의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체험특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에서는 교육적 체험 및 미적 체험이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오락적 체험이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특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에서는 조명, 직원 서비스 및 매장 배치가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조명 및 직원 서비스가 감정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모두 오프라인 체험매장의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라인 체험매장을 관리하는 기업들이 소비자들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체험매장 특성이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메타버스와 오프라인 스토어의 브랜드 체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and Experiences of Metaverse and Offline Stores)

  • 이광호;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53-66
    • /
    • 2023
  • 최근 패션 브랜드들이 사용자들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자사의 브랜드 접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와 오프라인 스토어에서의 브랜드 체험을 비교하고자 한다. 패션 브랜드 젠틀몬스터의 오프라인 스토어과 이를 메타버스 공간에 그대로 재현한 제페토(ZEPETO) 스토어의 브랜드 체험을 비교하였다. 실험 참가자 집단을 메타버스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집단과 오프라인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집단으로 구분하여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전체 체험 반응에서 감성 보다는 새로운 정보에 반응하는 감각 체험이 주를 이루었다; (2) 메타버스보다는 제품을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체험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3) 네 가지의 테마공간 유형 중에서는 제품 공간에서 가장 많은 체험 반응이 나타났다; (4) 오프라인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두 번째 그룹보다 메타버스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첫 번째 그룹에서 보다 활발한 체험 반응이 일어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가상공간에서의 메타버스 브랜드 스토어가 현실 공간의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스토어의 경험을 더욱 의미 있고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전략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외 유통업체의 옴니채널 전략 활용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Omni-Channel Strategy of Distribution Enterpris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 오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11-120
    • /
    • 2016
  • Unlike the past, brick-and-mortar is no longer on the priority list for the shopping activity. Instead, it is replaced by various non-store shopping alternatives, such as Internet, TV, catalog, mobile, etc. As consumers engage digitally, they made fewer trips to stores. Especially, as mobile shopping made the price comparison possible while shopping in the store, new shopping trend of 'showrooming' came to the fore as the serious issue. In order to cope with the this crisis, many brick-and-mortar retailers utilize omni-channel strategy for their countermeasure.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omni-channel strategy that is applicable for the brick-and-mortar retai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t up the connected-channel shopping environment, consumers have to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n deliver the continuous brand experience under the same price policy, brand and store management, etc, as integrating the various purchasing channels into one. Especially, in-store environment needs to change for the place where consumer experience is stressed for the most as using virtual reality devices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so, the online digital kiosk, and tablet that consumer can order the products through the online channel while shopping in-store Second, the barrier-free in-store environment should be off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er convenience. This change will allow consumer communicate with the store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Lastly, brick-and-mortar should extend the physical territory as utilizing the offline's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rough setting up the digital interactive wall or pop-up store for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customer interaction with the store. Moreover, visiting service for the elderly, housewife with the baby, or disabled person will be one of the effective sub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