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of everyday lif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및 배경요인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Practice, and Background Factors in Us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in Teaching Science)

  • 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35-645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교수과정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과 관련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그 배경요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교직경력, 성별, 성장지역, 연령 등 각각의 특성이 다른 네 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을 하기 위해 수업의 도입부에 일상경험을 상기하도록 학생들에게 발문하였다. 교사들은 과학수업에 일상경험을 도입하는 것에 우호적이었고 더 높은 수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일상경험을 소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외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기억', '자녀교육 경험', '유년기의 성장환경', '개인의 학습양식', '불충분한 지식 열정', '일상생활의 과학 교육적 의미', '교사의 의무에 대한 인식', '평가결과의 중요성', '실험의 어려움', '일상경험 도입 시 학생의 반응', '교과용 도서의 체계', '교수학습 시간 부족', '국민공통기본 교육 구현', '담당 학생의 특성', '타 교육주체의 요구', '일상경험 도입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직무관련 외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인식과 다른 실행을 하고 있으며, 일상경험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하여 교과용 도서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관광과 일상의 결합에 관한 소고 (An Issues on the Nexus of Tourism and Everyday Life)

  • 오정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28
    • /
    • 2021
  • 관광은 일상의 대척점으로 간주되어 왔다. 일상은 매일 반복되는 시간에 일상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평범한 경험이고, 관광은 한시적 시간에 비일상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색다른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본고는 관광과 일상을 바라보는 이분법적 사고를 뛰어넘어 각각의 경계를 초월한 결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광공간에서 나타나는 일상의 평범함을 분석하고, 역으로 일상공간에서 표출되는 관광적인 색다름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일상생활의 루틴은 관광 실천에 영향을 주고, 수행을 통한 가족여행은 관광공간을 일상화시키며. 현지 주민의 평범한 일상을 경험하기 위한 비전형적 관광공간이 글로벌 도시의 근린에서 나타난다는 점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은 더욱 관광화되고, 관광은 보다 일상화된다는 점을 파악했으며, 궁극적으로 일상과 관광 간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었다.

현대 포르투갈 건축의 공간적 톤에 관한 연구 - 일상성의 건축적 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Ton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Everyday-ness -)

  • 이길호;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00-108
    • /
    • 2012
  • Modern architecture tends to split the everyday life and the space of human. Position of architecture should b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need. It will be study on the everyday life of architecture from architecture and everyday life of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his study, it makes clear the visual aspects of architectural experience to acquire spatial tones for analyzing architectural Everyday-ness. In this case, Portugal's modern architectural space was impressing,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local color and architectural vocabulary of the Everyday-ness. Therefore, the Everyday-ness of Architecture by relationship analysis reveals the space of these spatial ton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ness of architecture be analyzed of simplicity, purity, locality, reminiscent, continuity, and transition, etc. Expression elements of spatial tones can be derived into five classes such as light, color, material, pattern (texture), and depth. In conclusi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ness and expression elements of spatial tones consist of configuration matrixes to analyze the spatial tone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tone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are background-ness, one-ness, and inherence. I hope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basic data of the architectural Everyday-ness.

  • PDF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Meaning and Practic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Everyday Life in Geography Subject Matter)

  • 장의선;김일기;이민부;박승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47-261
    • /
    • 2002
  • 본 논문은 지리과 교수-학습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용과 방법이 지리지식과 접목되었을 때, 지리과 교육의 목표성취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에서는 지리학과 지리교육과정에서 도출된 과학적.체계적인 비일상적 지리개념이 내용선정의 범위를 이루고, 그러한 개념들의 체계적인 위계가 내용조직의 계열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용 구성의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학습자들의 생활세계에서 경험되는 자연발생적이고도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지리적 요소로부터 이해될 수 있도록 선정.조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준거로는 일상적으로 학습자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공간을 토대로 한 내용, 체계적인 지리개념을 효과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구체적 내용, 변화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리적 생활경험을 반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준거를 바탕으로 지리과 교육과정의 '환경문제와 지역문제'단원을 선정하여,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실제내용을 선정 개발하였다.

조형예술에서 가구를 활용한 행위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Behavior Using Furniture in Visual Arts)

  • 김소현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8-285
    • /
    • 2017
  • The meaning and context of objects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imes. Functionality of objects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of the objects. Objects have been used as mediums to realize art in daily life, and to realize the relational forms. Based on this, it is confirmed that furniture can be an appropriate medium to articulate everyday life and to derive relational form. The 'furniture as a behavior'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functions to make daily life unfamiliar. By doing something unfamiliar in everyday life, users experience similar experiences as when they entered the surreal world of art museum. In this way, the possibility of everyday arts is acquired. Second, the mental and behavioral functions of furniture are continuously changed by interaction with the user. Behavior does not occur unconsciously, but involves changes in consciousness that the user intentionally does. Therefore, as the user's level of consciousness grows, personal experience changes, and the behavioral function of the household changes. The study of 'furniture as a behavior' is suggested as one approach to design furniture.

출산을 경험한 여성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패션스타일 (Recognition of the appearance and fashion style of women who experience childbirth)

  • 김고운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3호
    • /
    • pp.453-470
    • /
    • 2021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odern Korean women who experience childbirth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body and appearance in everyday life and how fashion provides a means of self-expression. The study utilizes focused ethnograph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ultural technology magazines, conducted to observe women's behavior and language, and to explore their life values, such as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s in fashion style in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ctual meaning of childbirth, the resulting change in appearance, and patterns of specific style expression. This will enabl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with children in Korea using vivid language, by whic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lives may be promoted. A survey of 24 women (aged 25~40) who had experienced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included in the study, categorized as early pregnancy, pre-birth, and post-birth parenting. Subcategories were derived as "unfeasible pregnancy," "unpredictable and unprepared anxiety," "self-awareness of changing bodies," "pressure on healthy bodies," "opportunity to let go of pressure on appearance management," "pressure on hard parenting," and "experience of change in unmanaged areas." Pregnant women and women with children demonstrated tastes and preferences in style suitable for differentiated situations and roles, along with perceptions of appearance.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일상생활 연구의 방법론적 함의 - 최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Everyday Life Research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With Special Reference to Current Research Trends -)

  • 김정근;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5-75
    • /
    • 1999
  • 문헌정보학의 연구방법이 지나치게 실증주의 쪽으로 경도되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근래, 이것이 국내외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기도 하다. 오늘날 연구자들은-문헌정보학은 인간학의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현상학적인 관점에 따라 주관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문헌정보학이 사서, 이용자, 관리자 둥의 형태로 다분히 '인간적' 요소와 관련이 있다는 정에 주목한다. 이 글에서는 관련 질적연구의 성과를 검토하고 특히 문헌정보학에서 일상생활 연구의 함의를 심도있게 따진다.

  • PDF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 이명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7
    • /
    • 2001
  •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교육철학이 도입되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학문중심교육과정보다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표출된 배경, 성격 그리고 목표에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의의를 찾고 그 과제와 전망을 논의하였다. 7차 과학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서 구체적인 교육활동이 실생활 소재로 이루어져서 적용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성과를 위해서는 현대과학이 가지는 사회적인 요소를 고려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실생활 맥락을 교육적이고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과학과 일상생활 맥락의 차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구명이 요청된다.

  • PDF

화병을 가진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재편성 경험 (The Experience of Reorganization of the Everyday Lives among Middle-aged Women with Hwabyung)

  • 박영숙;채선옥;양진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39-249
    • /
    • 2017
  • 본 연구는 화병을 가진 중년여성의 일상생활이 어떠한 양상으로 재편성되는 지를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관하여 이들의 시각에서 심층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이 과정에서 어떠한 간호중재가 요구되는지를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7명이며,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화병을 가진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재편성은 가족집단에 대한 인식과 위기의식으로부터 출발되었으며, 먼저 자신의 삶에 대한 인식을 재조정하면서 실제적인 재편성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가족관계를 정리하고 강화하였으며, 가족 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고 가장의 빈 역할을 대신할 뿐 아니라 자신의 역량을 강화해 나감으로써 일상생활을 재편성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도모해 나갔다. 이 연구 결과는 화병을 가진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재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자와 그 가족들에게 실제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간호중재개발의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장애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Everyday life difficul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CQR) research)

  • 이현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61-570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에서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재가 장애인 8명을 심층면접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4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8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은 자신감 결여, 건강문제 염려, 결혼(재혼) 및 이성문제, 가족관계 어려움, 외로움, 노후문제 염려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관계의 어려움, 생계문제, 출산 양육문제, 직장생활 어려움, 외출 시 번거로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종교기관 모임, 지역사회체계 이용,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