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전자상거래에서 충성고객 가치에 대한 이해: 기대 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Towards Understanding the Value of a Loyal Customer in Electronic Commerce: An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 구철모;고창은;이대용;이청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2호
    • /
    • pp.129-146
    • /
    • 2008
  • Customers' evaluation of Website with satisfaction is critical in electroniccommerce. Previous research has studied in a distinct approach; especially IT oriented constructs-perceived usefulness, easy of use and marketing oriented constructs-product, shopping experience, service quality. Despite those important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usage and the purchase of goods and services, how consumers are satisfied and why consumers leave Web sites without purchasing have not been extensively researched. This study explored those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with Web site using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EDT). The present paper extends the range of EDT from antecedents of expectation to consequence of satisfac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experience and familiarity has an impact on expectation as well as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econd, higher expectation makes a negative impact on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 Third, positiv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 makes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Forth. satisfaction produces loyalty and repurchasing intention. Finally, loyal customer has stronger intention to repurchase than satisfied customer.

  • PDF

기대불일치 분석기법을 적용한 온라인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품질 측정 (A Study on Online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Using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nalysis)

  • 김완종;김혜선;이혜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분야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만족하는 정도를 기대불일치 이론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사이트인 NDSL의 서비스 품질 측정 모형인 NDSLQual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가 기대불일치와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기대불일치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기대불일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대불일치가 전반적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기대불일치는 전반적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가지 회귀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매우 낮았다. 셋째,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가 전반적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가 전반적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NDSL에 대한 전반적인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높이고, 기대불일치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기대, 시스템의 지각된 성능, 기대불일치가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on Information Systems User Satisfaction)

  • 김종욱;신승균;김병곤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101-123
    • /
    • 2004
  • User satisfaction has been widely used by information system(IS) researchers as the most appropriate surrogate variable for the systems success since Bailey and Pearson(1983) provided their user satisfaction measurement. Because user satisfaction is a perceived performance measure by users, not a real or objective measure for systems success, however, perceived user satisfaction by users may not be exactly identical with the real systems performance. In this regard, if the user's ultimately perceived satisfaction is different from the real systems performance, we need to investigate why these two measures are different and which factors may cause the 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nfirmation of user expecations, this study examined why user satisfaction and real systems performance may not be identical each other. Expectaion-disconfirmation theory which has had a central role in marketing in explaining the effects of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was similarly adopted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role of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in user satisfaction in the IS environment. Based o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the current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ctation, system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on us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Six research hypotheses derived from the research model were empirically test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system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were fairly strong on user satisfaction, while the user's expectation has shown insignificant influences on user satisfaction.

소비자의 규범적 기대와 예언적 기대가 소비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성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s'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Regulatory Focus)

  • 박도형;정재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62-8471
    • /
    • 2015
  • 소비자 만족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등의 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구전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서 고객 충성도를 향상시킨다. 기존의 소비자 만족 연구는 기대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기대, 지각된 성능, 이에 따른 기대불일치 정도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대를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이 "어느 정도는 되어야 한다" 는 규범적 기대와 "어느 정도는 될 것이다" 의 예언적 기대로 구분하여 조절초점 이론에서 제안하는 소비자의 성향 (향상초점 vs. 예방초점) 에 따라 어떤 기대불일치가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규범적 기대 불일치보다는 예언적 기대 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예방초점 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예언적 기대 불일치보다는 규범적 기대 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기대 (예언적 기대) 뿐만 아니라 규범적 기대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밝힌 점과 기대불일치 하에서 조절초점의 조절 역할을 밝힌 점에서 이론적인 공헌을 가지며, 고객들의 기대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가진다.

기대불일치이론에 의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만족 및 재방문 결정경로 (Determinant Paths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by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 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91-298
    • /
    • 2006
  • 본 연구는 운문산 자연휴양림 이용객을 대상으로 이용객의 기대, 성과, 그러고 여기서 추론된 기대불일치가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만족은 재방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현재의 자연휴양림 경영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정보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대불일치 및 재방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기대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방문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불일치 요인으로는 체험시설, 자연성, 접근성 및 계곡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만족에서는 자연성이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만족과 선택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시설, 자연성, 접근성 및 계곡의 이용객 기대불일치를 긍정적 기대불일치로 전환하는 노력을 통하여 고객만족을 극대화하면, 재방문과 같은 기존 고객확보 및 유지라는 방어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공유경제서비스의 이용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자전거공유서비스를 중심으로 (Users' Experience of Sharing Economy Service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Focused on Bicycle-Sharing Service)

  • 윤아영;김성민;구철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4호
    • /
    • pp.87-106
    • /
    • 2017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xpectations and outcomes of the bicycle-sharing service significantly influence users' expectation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we will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in bicycle-sharing serv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Design/methodology/approach Based on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determinants of bicycle use, users' expectations and outcomes of the bicycle-sharing service were measured by three variables;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afety. To collect the data, we conducted a survey of undergraduate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for three weeks, beginning March 6. Participants completed the first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expectations of the bicycle-sharing service based on the attributes and social interaction before using the BSS. After a few weeks, the same participants completed the second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outcomes of the outcom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e BSS. Only participants who completed both surveys received monetary compensation. In order to test hypothesis, the Smart Partial Least Square (SmartPLS) modeling technique was applied. Findings In terms of main effects, based on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expectation, performance, 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verified that disconfirmation completel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was examine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for leisure purpose.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resource sharing in the field of tourism and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규범적 기대와 예언적 기대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정적 vs. 이성적 기대불일치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nsumers' Should-expectation and Will-expectation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Emotional and Rational Expectancy Disconfirmation)

  • 박도형;이동원;정재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45-255
    • /
    • 2016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은 이성적인 관점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창출하였는지와 감정적인 관점에서 어떤 느낌을 제공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이러한 두 가지 차원의 기대를 이성적 기대와 감성적 기대의 독립적인 기대들로 간주하고,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동시에 기존의 기대불일치 이론을 확장한 예언적 기대와 규범적 기대도 함께 고려하여, 소비자의 이성적인 판단과 감정적인 느낌의 기대불일치가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이성적인 관점에서는 소비자의 기대를 뛰어넘는 성능이나 경험을 했을 경우, 만족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 효과는 예언적 기대를 충족했을 때 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감성적인 관점에서는 소비자가 규범적으로 사전에 기대한 느낌보다 더 좋은 느낌을 얻을수록, 만족이 증가하지만, 자신이 실제로 일어날 것이라고 예언한 기대에 불일치하는 것은 오히려 만족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영향정도의 절대 크기 측면에서 감정적인 느낌 하에서는 규범적 기대불일치가 소비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예언적 기대불일치의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교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만족 모델구축 (Consumer Satisfaction Model with Educational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 김미라;황덕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6호
    • /
    • pp.17-3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l of consum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on the basis of expectation-disconfirmatiom theor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was low.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the educational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with 'education' and lowest with cost. 2. In the model of national university,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core service, the disconfirmation of the core service,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the disconfirma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had a casual effec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had the greatest casual effect among them. 3. In the model of private university,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core service, the disconfirmation of the core service,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the disconfirma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had a casual effec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core service had the greatest casual effect among them.

쾌락적 정보시스템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Users' Continuing Use of Hedonic Information Systems)

  • 강희택;김승운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153-174
    • /
    • 2006
  • 초기의 정보시스템 연구들은 사용자들의 정보시스템 수용(혹은 초기 사용)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최근에는 정보시스템의 장기적인 생존을 의미하는 정보시스템 사용의 지속성에 보다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신념이 정보시스템 사용을 경험한 이후 변화된다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술수용모형과 기대불일치이론을 결합한 모형을 제시하고, 쾌락적 정보시스템의 상황에서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쾌락적 정보시스템으로서 블로그를 직접 운영하고 있는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기술수용모형의 주요 신념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기대불일치이론의 주요 변수인 기대불일치,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간의 영향력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쾌락적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기대불일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대불일치는 사용자 만족에 대한 가장 큰 영향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서는 사용자 만족과 지각된 유용성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ecedents of Accepting Disruptive Innovation: The Perspective of Value Congruence

  • CUI, Yuan;ZHANG, Tingting;KIM, Seungwoon;FENG, Sh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353-364
    • /
    • 2021
  • Originating in value congruence theory, this study aims to gi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consumers from incumbent technology to 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y.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process of consumers' switching to disruptive innovation is investigated. This study combines value congruence with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technology-switching theory, and the personal innovativeness of the disruptive innovation product, explaining why consumers have transformed from an incumbent product into a disruptive innov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280 smartphone users in China. The respondents were mainly potential consumers who had never bought Redmi phones, namely, a smart product owned by the renowned Chinese company Xiaomi.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example of the Redmi smartphone, which has been confirmed by existing smartphone users in China. Through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e decisive variables that influence consumer intentions, and we analyze the role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moderating between dissatisfaction with the incumbent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of a product based on disruptive inno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certain reference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Xiaomi and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