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avator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38초

퇴적층 암석의 픽 커터 절삭성능 평가를 위한 선형절삭시험 (Linear cutting machine test for assessment of the cutting performance of a pick cutter in sedimentary rocks)

  • 정호영;전석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61-1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퇴적층 암석에서 픽 커터의 절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형절삭시험을 수행하였다. 중국에서 채취된 Linyi사암과 역암을 모사한 콘크리트를 시험체로 사용하였다. 소규모 선형절삭시험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절삭조건하에서 절삭조건에 따른 커터작용력과 비에너지의 변화양상을 평가하였다. 커터작용력은 두 가지 재료 모두에서 압입깊이와 커터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재료의 강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대작용력과 평균작용력의 비율은 재료의 강도에 영향을 받기 보다는 재료의 구성 물질과 절삭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절삭계수는 암석과 픽 커터의 마찰 특성에 영향을 받으나 절삭조건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절삭계수와 픽 커터 작용력의 합력방향에 따라 암석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절삭각도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절삭조건에 따른 비에너지의 변화양상으로부터 최적 절삭조건을 규명하였다. 두 가지 재료에서 최적 s/p비는 2~4 범위로 도출되었고, 압입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비에너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픽 커터의 절삭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으며, 픽 커터를 사용한 기계굴착장비의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점성토 지반 수직구 굴착 중 히빙 안정성 증가에 대한 관내토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effect of soil plug on the basal heave stability for the vertical shaft excavation in clay)

  • 강석준;조계춘;김정태;차요한;홍은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83-195
    • /
    • 2018
  • 최근 공동구 및 지하터널의 수요증가와 함께 수직구 굴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공동구 연구단은 국토교통부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직구 외주면 선행 굴착공법 및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현재 성능 검증 중에 있다. '수직구 외주면 선행 굴착공법'은 수직구 굴착 시 굴착면의 외주면을 먼저 굴착하고 굴착기 벽체를 관입시켜 연약지반의 히빙에 대한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히빙을 모사하고 관내토의 유무에 따른 지반면의 히빙과 지반침하, 그리고 주변지반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내토가 지반침하와 히빙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수직구 외주면 선행 굴착공법이 히빙에 대한 지반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주식(自走式)퇴비교반기 개발을 위한 제조방법별 양송이 퇴비배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mushroom compost produced by different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propelled compost turner)

  • 유병기;이성현;이찬중;김영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0-154
    • /
    • 2017
  • 야외발효 양송이 퇴비배지를 저비용 고효율로 제조하기 위하여 자주식교반기를 개발하여 굴삭기와 퇴비혼합기, 자주식교반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퇴비의 균일도와 기계류의 특징과 성능을 비교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의 재료는 볏짚과 계분을 건물기준 3:1로 혼합하고 사용하고 마지막 교반이 끝난 후 퇴비더미 단면의 내부 온도 분포, 배지의 함수율과 건물에 대한 회분비율 및 균일도를 조사하였다. 퇴비가 제조된 후 관행, 배지혼합기, 자주식교반기에서 함수율은 $69.9{\pm}0.54$, $72.1{\pm}0.15$, $74.5{\pm}0.82%$였고, 제조된 각각의 퇴비에서 볏짚의 길이를 측정했을 때 $47.5{\pm}15.4cm$, $24.9{\pm}10.1cm$, $31.0{\pm}10.6cm$로 나타났다. 부숙도의 기준으로 표시한 건물 중 회분은 $25.0{\pm}6.2%$, $33.6{\pm}4.2%$, $28.2{\pm}1.1%$였다. 볏짚의 길이 부숙도의 편차 등은 퇴비혼합기와 자주식교반기에서는 회전날개의 타격 선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자주식교반기는 9 m/s, 퇴비혼합기는 21.5 m/s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장 균일하게 양송이 퇴비배지를 만드는 기계는 자주식교반기로 판단되었다.

전라북도 민유임도의 시기별 공종변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Change of Construction Type for the Non-national Forest Road in Jeollabuk-do)

  • 손재호;박종민;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52-660
    • /
    • 2007
  • 1989년부터 2005년까지 시공된 전라북도 내의 민유임도 216개 노선의 설계도서를 대상으로 임도 설계상의 주요 공종변화를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의 연평균 민유임도 시설거리는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전단계에 비해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후 대폭 감소하였다. 토사절취작업은 1990년부터 블도저에서 블도저와 굴삭기 혼용으로 바뀌었다. 비탈면 녹화공은 초기에는 잔디심기와 족제비싸리심기가 주종을 이루었는데, 녹색임도정책 시행단계(2단계)부터 종자뿜어붙이기와 줄파종의 혼용, Coir net 또는 볏짚거적 덮기 등으로 발전하였다. 횡단배수관의 경우, 배수관의 설치 간격은 3단계에 평균 92 m로 감소하였고, 규격은 2단계 이후에 대부분 600 mm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재료는 모두 파형강관으로 설계되었다. 콘크리트포장은 1단계의 평균 40 m/km에서 3단계에는 240 m/km로 현저히 증가하여 임도의 안정성과 기능성이 제고되었다. 비탈안정구조물은 석축이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1993년 이후부터 콘크리트옹벽과 돌망태옹벽 등도 많이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공종을 대상으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 예측을 위한 모델링과 해석 (Modeling and Simulation for Predicting the Impact of Hydraulic Breaker)

  • 김성현;정재호;백동천;박종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41-749
    • /
    • 2019
  • 굴삭기에 부착되는 유압 브레이커는 건물의 파괴 및 분해, 도로 포장재의 파손, 채석장에서의 암석 파단 등에 사용되고 있는 부착작업기의 일종의 건설 장비이다. 따라서 유압브레이커의 성능은 주로 충격량 및 충격 효율에 의해 평가되며, 이는 제조사 및 사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20톤급 유압브레이커를 대상으로 상용 프로그램인 SimulationX를 사용하여 유압밸브 및 피스톤의 수압 면적 또는 작동 조건에 따라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 예측을 위한 모델링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모델링 및 해석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실험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비교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작 이전의 설계 단계에서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을 예측하고 충격량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또한 제조사 측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하여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을 미리 예측함으로서, 시행 착오 방지를 통하여 개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Bleeding control of an injury to the infrarenal inferior vena cava and right external iliac vein by ipsilateral internal iliac artery and superficial femoral vein ligation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in Korea: a case report

  • Hoonsung Park;Maru Kim;Dae-Sang Lee;Tae Hwa Hong;Doo-Hun Kim;Hangjoo Ch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4호
    • /
    • pp.441-446
    • /
    • 2023
  • Inferior vena cava (IVC) injuries, while accounting for fewer than 0.5% of blunt abdominal trauma cases, are among the most difficult to manage. Despite advancements in prehospital care, transportation, operative techniques,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the mortality rate for IVC injuries has remained at 20% to 66% for several decades. Furthermore, 30% to 50% of patients with IVC injuries succumb during the prehospital phase. A 65-year-old male patient, who had been struck in the back by a 500-kg excavator shovel at a construction site, was transported to a regional trauma center. Injuries to the right side of the infrarenal IVC and the right external iliac vein (EIV) were suspected, along with fractures to the right iliac bone and sacrum. The injury to the right side of the infrarenal IVC wall was repaired, and the right internal iliac artery was ligated. However, persistent bleeding around the right EIV was observed, and we were unable to achieve proximal and distal control of the right EIV. Attempts at prolonged manual compression were unsuccessful. To decrease venous return, we ligated the right superficial femoral vein. This reduced the amount of bleeding, enabling us to secure the surgical field. We ultimately controlled the bleeding, and approximately 5 L of blood products were infused intraoperatively. A second-look operation was performed 2 days later, by which time most of the bleeding sites had ceased. Orthopedic surgeons then took over the operation, performing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Five days later, the patient underwent definitive fixation and was transferred for rehabilitation on postoperative day 22.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사탕무씨스트선충의 물과 토양을 통한 포장 간 분산 (Dispersal of sugar beet cys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by water and soil in highland Chinese cabbage fields)

  • 권오경;신진희;;이재국;이동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95-205
    • /
    • 2016
  •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은 전세계적으로 십자화과 작물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시키는 선충으로 2011년 우리나라의 고랭지 채소 재배지에 최초 발생이 확인되었다.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 사탕무씨스트선충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피해 확산에 대한 실제적 원인 규명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작업화와 작업차량, 물을 통한 사탕무씨스트선충의 확산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탕무씨스트 선충 감염지에서 작업 할 경우 신발에 묻은 흙에 사탕무씨스트선충이 존재하였는데 부착 된 씨스트선충의 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사탕무씨스트선충에 감염된 배추 밭 농로를 주행 한 차량의 바퀴에서도 사탕무씨스트 선충의 부착이 확인 되었다.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배추 수확시 사용하는 굴삭기의 궤도에서는 41kg의 흙이 부착되었으며 장거리 수송용 5톤 트럭의 바퀴 네 개에서도 223.7g의 흙이 채취되어 수확 작업 시 다량의 사탕무시스트선충이 부착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강우 시 사탕무씨스트선충 감염 포장에서 작업할 경우를 가정하여 관주량별(2, 4, $8L{\cdot}m^{-2}$)에 따른 작업화 부착 흙 양과 사탕무씨스트선충 부착량을 조사한 결과 관주량이 많을수록 장화에 부착되는 흙의 양은 많았으나 사탕무씨스트선충의 밀도는 차이가 없었다. 강우 시, 사탕무시스트선충 감염지에서는 유거수를 통해 사탕무씨스트 선충이 이동하였다. 우리나라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신규 도입 선충인 사탕무씨스트선충은 작업자의 작업화와 수확 작업에 이용되는 굴삭기와 차량의 바퀴 및 물을 통해 확산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구명하였다. 따라서 사탕무씨스트선충 감염지역에서는 작업자의 개인 위생과 작업 차량에 대한 토양 제거를 통해 감염 확산을 막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ow effective has the Wairau River erodible embankment been in removing sediment from the Lower Wairau River?

  • Kyle, Christense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7-237
    • /
    • 2015
  • The district of Marlborough has had more than its share of river management projects over the past 150 years, each one uniquely affecting the geomorphology and flood hazard of the Wairau Plains. A major early project was to block the Opawa distributary channel at Conders Bend. The Opawa distributary channel took a third and more of Wairau River floodwaters and was a major increasing threat to Blenheim. The blocking of the Opawa required the Wairau and Lower Wairau rivers to carry greater flood flows more often. Consequently the Lower Wairau River was breaking out of its stopbanks approximately every seven years. The idea of diverting flood waters at Tuamarina by providing a direct diversion to the sea through the beach ridges was conceptualised back around the 1920s however, limits on resources and machinery meant the mission of excavating this diversion didn't become feasible until the 1960s. In 1964 a 10 m wide pilot channel was cut from the sea to Tuamarina with an initial capacity of $700m^3/s$. It was expected that floods would eventually scour this 'Wairau Diversion' to its design channel width of 150 m. This did take many more years than initially thought but after approximately 50 years with a little mechanical assistance the Wairau Diversion reached an adequate capacity. Using the power of the river to erode the channel out to its design width and depth was a brilliant idea that saved many thousands of dollars in construction costs and it is somewhat ironic that it is that very same concept that is now being used to deal with the aggradation problem that the Wairau Diversion has caused. The introduction of the Wairau Diversion did provide some flood relief to the lower reaches of the river but unfortunately as the Diversion channel was eroding and enlarging the Lower Wairau River was aggrading and reducing in capacity due to its inability to pass its sediment load with reduced flood flows.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2,000,000m^3$ of sediment was deposited on the bed of the Lower Wairau River in the time between the Diversion's introduction in 1964 and 2010, raising the Lower Wairau's bed upwards of 1.5m in some locations. A numerical morphological model (MIKE-11 ST) was used to assess a number of options which led to the decision and resource consent to construct an erodible (fuse plug) bank at the head of the Wairau Diversion to divert more frequent scouring-flows ($+400m^3/s$)down the Lower Wairau River. Full control gates were ruled out on the grounds of expense.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erodible bank followed in late 2009 with the bank's level at the fuse location set to overtop and begin washing out at a combined Wairau flow of $1,400m^3/s$ which avoids berm flooding in the Lower Wairau. In the three years since the erodible bank was first constructed the Wairau River has sustained 14 events with recorded flows at Tuamarina above $1,000m^3/s$ and three of events in excess of $2,500m^3/s$. These freshes and floods have resulted in washout and rebuild of the erodible bank eight times with a combined rebuild expenditure of $80,000. Marlborough District Council's Rivers & Drainage Department maintains a regular monitoring program for the bed of the Lower Wairau River, which consists of recurrently surveying a series of standard cross sections and estimating the mean bed level (MBL) at each section as well as an overall MBL change over time. A survey was carried out just prior to the installation of the erodible bank and another survey was carried out earlier this year. The results from this latest survey show for the first time since construction of the Wairau Diversion the Lower Wairau River is enlarging. It is estimated that the entire bed of the Lower Wairau has eroded down by an overall average of 60 mm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rodible bank which equates to a total volume of $260,000m^3$. At a cost of $$0.30/m^3$ this represents excellent value compared to mechanical dredging which would likely be in excess of $$10/m^3$. This confirms that the idea of using the river to enlarge the channel is again working for the Wairau River system and that in time nature's "excavator" will provide a channel capacity that will continue to meet design requir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