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cuation capacit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BRI2002를 중심으로 한 건축물의 연기유동과 피난용량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ke behavior and set-up of evacuation capacity in buildings at BRI2002)

  • 서동구;김동은;홍해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87-492
    • /
    • 2010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등으로 변모하고, 더나아가 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화재 발생 시 기존의 건축물보다 큰 인재로서 다가오며, 특히 연기로 인한 피해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연기의 피해에 따른 피난용량설정 및 계획 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하여 일본의 BRI2002 모델의 알고리즘분석에 따른 피난 안전과의 연계성 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의 연기를 중심으로한 피난용량설정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 PDF

On the Chinese Code on fire safety design of steel building structures

  • Li, G.Q.;Guo, S.X.;Jiang, S.C.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5권5호
    • /
    • pp.395-405
    • /
    • 2005
  • This work introduces to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unity the Chinese Code on fire safety design of steel building structures. The aim of the Code is to prevent the structure of a steel building subjected to fire from collapsing, ensure safe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and reduce the cost for repairing the damages of the structure caused by fire. The main contents of the Code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cluding the fire duration requirements of structural components, fundamental requirements on fire safety design of steel components, temperature increasing of atmosphere and components in fire, loading effect and capacity of various components in fire, and procedure for fire-resistant design of steel components. The analytical approach is employed in the Cod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de is validated through experiments.

국내 PBD기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IV) (A Investigation study on the evaluation of evacuation capacity for egress safety design in Korea(IV))

  • 서동구;김동은;황현배;황은경;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67-73
    • /
    • 2009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성능적인 피난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성능설계, 화재영향평가, 초고층 및 지하연계 방재관련 특별법 등 많은 제도가 시행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능적인 피난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난행동 중 수직적인 피난속도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지하공간의 계단을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 PDF

한국 인명안전기준 구축을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Development of Korea Life Safety Code)

  • 구인혁;김혜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5-46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the crowd walking speed, one of the factors for calculating the evacuation capacity of a building. The experiment was measured the crowd walking speed by factor of corridor width and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The result of experiment, it saw the decrease of crowd walking speed due to rate of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In the future, using this as basic data,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is need to development Human Safetay Standards in Korea.

  • PDF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시 피난절차 최적화 방안 연구 - 멀티플렉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timization Method for Evacuation Procedure on Fire in Public Facilities - Focusing on Multiplex -)

  • 신영민;임유리;안용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13-120
    • /
    • 2019
  • 점차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여유로운 삶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대중의 니즈를 반영하여 국내에는 여러 개의 상영관으로 구성된 멀티플렉스가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 시 피난안전 측면에 있어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건물의 공간 형태에 익숙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관객은 피난으로 인한 입장 및 퇴장 동선의 충돌로 혼잡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상영관별 단계적 피난을 적용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 전 상영관이 동시 피난하는 것보다 상영관별로 단계적인 피난하는 것이 피난시간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PSD가 설치된 지하철 역사 내 화재 시 최적 배연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ventilation and smoke exhaust systems in case of fire in subway stations installed with PSD)

  • 김효규;유지오;김두영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527-539
    • /
    • 2018
  • 다수의 승객들이 이용하는 지하철은 안전과 공간의 쾌적한 환경관리가 필수적이며, 2003년 이후 기준 강화로 승강장 내에 스크린도어(PSD)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하철 화재 시에 화재연기의 배연을 위해 배연설비의 설비용량 최적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3차원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PSD가 설치된 승강장 내에서 화재발생 시 배연시스템 별로 CO가스와 Smoke의 유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상시 상부 배연설비만 가동한 경우에는 CO 가스와 Smoke 농도는 653.8 ppm과 $768.4mg/m^3$로 피난 시 승객들의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든 배연설비를 가동하고 화재측 PSD만을 개방한 경우 CO 가스와 Smoke 농도 36.0 ppm 및 $26.2mg/m^3$를 보이며 화재연기의 전파범위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배연설비를 가동하고 화재측 PSD를 미개방한 경우에는 화재연기 유입이 발생하지 않아서 대피환경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배연모드로 분석되었다.

실내공간에서의 시간 가변적 최적경로 탐색 (Time-Dependent Optimal Routing in Indoor Space)

  • 박인혜;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61-370
    • /
    • 2009
  • 최근 몇 년 사이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실내공간데이터 모델링 및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실내공간에서 방재 알고리즘 및 실시간방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재난 발생 시 요구될 수 있는 최적경로는 대피자를 위한 것과 구조자를 위한 것,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자를 위한 최적경로를 산출하였는데 이는 실내의 어떠한 공간에서 출구까지의 경로가 아닌 출구에서 구조대상지역까지의 경로를 의미한다. 실시간 방재시스템에 적합한 최적경로는 시간에 대해 가변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최적경로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최적경로 산출에 필요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복도 또는 방과 같은 공간의 수용능력 및 흐름정도 등을 포함하는 동적인 공간적 엔티티를 관리 할 수 있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있어야 한다. 공간상에서 동적객체의 흐름을 측정하고 분석을 통해 추정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최적경로 산출과 대피상황에서의 병목현상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방재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공간 데이터를 적용한 최적경로 산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표현하는 네트워크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PDF

대형 지하시설물에서 화재발생 시 USN정보를 이용한 피난 유도 방안 (A Guidance Methodolog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Information in Large-Sized Underground Facilities in Fire)

  • 서용희;이창주;정점래;신성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D호
    • /
    • pp.459-467
    • /
    • 2008
  • 토지이용 밀집에 따른 지상공간의 부족으로 점차 지하공간의 활용이 늘어가고 있다. 단지 건축물 지하공간의 활용이 아닌 이동공간으로서, 저장창고로서, 밀집상가로서의 지하시설물의 공간적 크기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하공간은 지상에 비해 화재에 취약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상가의 경우 대부분 불에 타기 쉬운 옷가지가 많고,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유독가스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폐쇄적인 구조로 피난 및 접근이 어려워 대형인명피해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구조의 지하시설물에서 화재시 연기 및 불길을 피해 안전하고 빠르게 피난자들을 대피시키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첨단기술의 발달로 저렴한 비용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주변환경의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피난 유도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연기, 온도 등의 화재정보는 기존의 지하시설물의 정보와 통합가공되어 유도 프로세스에 의해 유도매개체로 전송되는데 정보의 가공은 통로의 용량과 거리를 고려하여 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소시간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미흡한 부분을 찾아보았다.

화재손상 건축 구조물에서 내화설계 이론을 활용한 소방관 안전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관에 의한 실시간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의 제안을 중심으로 - (Study for the Method to Secure the Safety of Fire-fighters in the Building Damaged by a Fire by Using Fire-resistant Design Theories - Mainly about Suggesting the Process and the Method for a Real-time Safety Evaluation by a Fire-fighter -)

  • 권영배;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86-95
    • /
    • 2016
  • 화재는 건축구조물을 손상시키고, 궁극에는 붕괴될 수 있어 재실자 및 소방관의 생명을 위협한다. 따라서 화재 시에 구조물 내부의 재실자 및 소방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물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화재현장에서 화재손상 건축구조물에 대한 실시간 구조물 안전성 평가, 소방활동 안전구역 설정, 붕괴 우려시 소방관 철수 결정 등에 관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평가 절차 및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내화설계 및 화재저항성평가 이론 등을 활용하여 화재손상 건축구조물에 대한 실시간 안전성평가에 관한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러한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은 화재초기부터 실시간 화재건물 내부 상황을 가장 잘 파악 가능한 소방관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되어 소방관이 활용가능한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파라과이 농촌지역의 보건소 건립 후 접근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of health centers in rural area, Paraguay)

  • 김지언;정민아;남은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7-2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health faciliti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examining the case of establishing a health care delivery system using a public health center in a rural area of Paraguay. Methods: Firstly, to map the capacity of the 20 public health centers that were studied, we used the WHO Capacity Mapping tool to select and analyze relevant items. Secondly,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we conducted a direct visit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M-survey tool. Results: The floor plan of each public health center, the structure of the health center, the size of the population served by each health center, the number of monthly visitors, medical human resources, and the budget were classified by health center for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M-survey tool, w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ir perceptions of the purpose and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s, their satisfaction with using public health centers, and the level of demand for public health centers to play a role in promoting community health.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cess to public health facilities for residents in the research area was improved. By classifying public health centers into two types, these centers can perform the functions and roles of primary health facilities. A patient request and evac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research area. Finally, a network, such as a social prescribing program, is needed so that public health centers can function as a "setting" for community members to live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