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rasian lineag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H7 아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자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of H7-subtype Avian Influenza Viruses)

  • 여지인;권혁무;성환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3-183
    • /
    • 2019
  •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7 subtype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 일부는 가금류에 감염할 경우 고병원성이 발휘된다. 또 H7 아형 AIV중 일부는 사람에 감염하여 사망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야생조류로부터 분리된 H7 아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6주(H7N7 아형 4주, H7N1 아형 2주)를 대상으로 8개 유전자 분절 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병원성, 사람 감염 가능성 등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국내에서 분리된 H7 아형 분리주들은 8개 유전자(HA, NA, PB2, PB1, PA, NP, M, NS) 모두 Eurasian lineage로 분류되었으나, Eurasian lineage 내에서도 각기 다른 sublineage로 분류되어 유전적 다양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분리주 6주는 HA 단백질 분절부위 아미노산은 두 종류(PEIPKGR 및 PELPKGR)의 motif를 가지고 있었으나, 모두 저병원성 바이러스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숙주세포 결합 특이성과 관련 있는 HA 단백질 receptor-binding site를 분석한 결과, 한국 분리주 모두는 사람 세포 수용체 결합특이성보다는 조류 세포 수용체 결합 특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감염 가능성을 높게 하는 부위에서의 아미노산 치환(PB2 단백질의 E627K 및 PB1단백질의 I368V)도 나타나지 않았고, 또한 NA stalk region에서의 결손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한국 야생조류에서 분리된 H7 아형 6주 모두는 저병원성 바이러스로 최근 중국에서 사람 감염이 나타나고 있는 H7N9 바이러스와는 유전적으로 다른 계열의 바이러스인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 유래 재조합 H7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자적 특성 규명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Avian-origin Reassortant H7N1 Influenza Virus)

  • 윤선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605-611
    • /
    • 2023
  • 최근에 재조합 H7Nx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산발적으로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는 조류 종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분리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에서 유래된 H7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A/wild bird/South Korea/sw-anu/2023로 명명하였고, 전장유전체 분석과 분자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A/wild bird/South Korea/sw-anu/2023는 유라시아 혈통에 속하는 H7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확인되었다. A/wild bird/South Korea/sw-anu/2023 바이러스의 polymerase basic 1(PB)2, PB1, polymerase acidic (PA), nucleoprotein (NP) 유전자는 야생 조류에서 분리되었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유전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hemagglutinin (HA), neuraminidase (NA), matrix (M), nonstructural (NS) 유전자는 집오리에서 분리되었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아시아-호주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야생 조류들 사이에서 새롭게 유전자가 재배열된 재조합 H7N1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순환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H7Nx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순환하며, 돌연변이된 H7N1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으므로 야생 조류 및 가금류에서 H7N1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에서 군집형 풀무치의 대발생과 그 집단의 유전적 계통 (An Outbreak of Gregarious Nymphs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idae) in Korea and Their Genetic Lineage Based on mtDNA COI Sequences)

  • 이관석;김광호;김창석;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23-528
    • /
    • 2016
  •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벼과 작물(벼, 옥수수 등)에 큰 피해를 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메뚜기목 해충의 하나로서 밀도요인에 따라 형태와 행동적으로 구별되는 단독형(solitaria)과 군집형(gregaria)을 나타낸다. 풀무치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적인 변이가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2가지 계통, 즉 남방계통(아프리카, 남유럽, 동남아시아, 호주)과 북방계통(동아시아, 유라시아)으로 나뉜다. 2014년 8월 전남 해남군 산이면에서 군집형 약충들이 대발생하여 주변 잡초 및 작물(벼, 기장)에 큰 피해를 주었다. 우리나라에서 군집형 풀무치의 발생에 대한 명확한 학술적 보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해남지역의 풀무치 대발생 지점에서 채집한 풀무치 12개체의 COI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0.0%-0.9%의 유전적 변이를 보였으며, 모두 북방계통에 속했다.

A Genetic Analysis of Taoyuan Pig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 to Eurasian Pig Breeds

  • Li, Kuan-Yi;Li, Kuang-Ti;Cheng, Chun-Chun;Chen, Chia-Hsuan;Hung, Chien-Yi;Ju, Yu-T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457-466
    • /
    • 2015
  • Taoyuan pig is a native Taiwan bre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the breed was first introduced to Taiwan from Guangdong province, Southern China, around 1877. The bree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aiwan's early swine industry. It was classified as an indigenous breed in 1986. After 1987, a conserved population of Taoyuan pig was collected and reared in isolation. In this study, mitochondrial DNA sequences and 18 microsatellite markers were used to investigate maternal lineage and genetic diversity within the Taoyuan pig population. Population differentiation among Taoyuan, Asian type, and European type pig breeds was also evaluated using differentiation indices. Only one D-loop haplotype of the Taoyuan pig was found. It clustered with Lower Changjiang River Basin and Central China Type pig breeds. Based on the polymorphism of microsatellite markers, a positive fixation index value ($F_{IS}$) indicates that the conserved Taoyuan population suffers from inbreeding. In addition, high $F_{ST}$ values (>0.2105) were obtained, revealing high differentiation among these bree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a clear geometric structure among 7 breeds.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ternally Taoyuan pig originated in the Lower Changjiang River Basin and Central China; however, since being introduced to Taiwan differentiation has occurred. In addition, Taoyuan pig has lost genetic diversity in both its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omes.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H5N3 Influenza Virus Isolated from Spot-Billed Duck

  • Lee, Jin Hwa;Kwon, Hyuk Moo;Sung, Haan Woo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52
    • /
    • 2013
  • Among the 16 hemagglutinin (HA) subtypes of avian influenza virus (AIV), only the H5 and H7 subtypes have caused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n poultry. However, most H5 or H7 subtype viruses are categorized as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Some AIVs, including the H5 and H7 HPAI viruses, have shown the ability to infect humans directly.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H5N3 AIV (SBD/KR/KNU SYG06/06) isolated from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in Korea.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eight viral genes showed that the SBD/KR/KNU SYG06/06 isolate belongs to the Eurasian lineage and that the SBD/KR/KNU SYG06/06 isolate was clearly different from HPAI H5N1 strains, including human isolates and the Italian HPAI H5N2 strains. Additionally,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BD/KR/KNU SYG06/06 and the Korean HPAI H5N1 isolates. The SBD/KR/ KNU SYG06/06 isolate had avian specific receptor binding site residues in the HA protein and the four C-terminal amino acids in the NS1 protein. The HA protein of the SBD/KR/KNU SYG06/06 isolate exhibited the typical LPAI motif at the cleavage site and this virus produced no cytopathic effects in MDCK cells without trypsin.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H5N3 AIV isolated from the spot-billed duck should be considered an LPAI virus and should have no pathogenic effect in humans.

2016년 한국 야생조류에서 분리한 H7N7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Genetic Analysis of H7N7 Avian Influenza Virus Isolated From Waterfowl in South Korea in 2016)

  • 베리훈;서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62-968
    • /
    • 2018
  •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야생조류에 존재하며, 사람, 돼지, 가금 및 다른 포유류등 다양한 숙주를 감염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한국 서쪽의 철새도래지에서 채취한 철새 분변에서 재조합된 새로운 H7N7 조류인플루엔자를 분리하였으며 이 바이러스의 8개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분리된 A/waterfowl/Korea/S017/2016(H7N7) 바이러스의 유전자 분석 결과 이 바이러스는 야생조류 및 가금 오리에서 유래한 조류인플루엔자로 구성된 재조합된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계통 분석결과 이 바이러스는 유럽과 아시아계에 속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계속 진화를 하고 H7 형 조류인플루엔자는 고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변하여 사람과 동물에게 커다란 위협이 될 수 있기에 계속 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

마이토콘드리아 유전자 2개를 이용한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발생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메뚜기목: 메뚜기과)의 계통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ae) in Haenam-gun, Jeollanam-do, Korea using Two Mitochondrial Genes)

  • 김영하;정진교;이관석;고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59-464
    • /
    • 2016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있는 간척지 중 친환경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2014년도 8월에 풀무치(Locusta migratoria)가 대발생을 하여, 식량작물과 사료작물에 커다란 피해를 주었다. 오랜 기간 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던 migratory locust가 어떠한 원인들에 의하여 대발생하여 해충화 되었는지에 아직까지 모르는 실정이다. 대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해남군 산이면에서 발생한 풀무치의 마이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16S ribosomal RNA와 D-loop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이들과 다른 지역계통간의 유전적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남군 산이면에서 대량 발생한 풀무치는 북방계통 중 유라시아 대륙지역형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2개의 표적 유전자는 국내외 유전적 집단 구조 비교에 활용할 수 있으며 대발생 풀무치의 대발생 원인을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