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thylene copolymer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2초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Fabrication 연구 (Ⅵ) -PET/PETG 공중합체 블렌드의 연신조건에 따른 물리적 특성- (A Study on Fabrication of Polyester Copolymers (Ⅵ) -Physical Properties of PET/PETG Copolymer Blend by the Drawing Conditions-)

  • 현은재;이소화;김기영;제갈영순;장상희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335-343
    • /
    • 2002
  • 블렌드 (PET/PETG 70/30 블렌드)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PETG)을 무게 비 70/30으로 혼합하여,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미연신 필름은 이 블렌드와 순수 PETG 수지를 압축성형기로 각각 용융 압축시켜 제조하였고 연신 필름은 미연신 필름을 모세관 레오메타를 사용하여 연신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 연신 필름과 PETG 연신 필름의 결정성, 수축율, 열적, 동역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X-선 회절분석기, 오븐기, DSC, 및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블렌드와 PETG필름의 결정화도와 밀도는 연신비와 연신 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나 반면 연신 온도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또한 블렌드 필름의 결정화도와 밀도는 PETG 필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은 연신비 및 연신 속도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연신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블렌드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PETG 필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필름의 수축율은 연신비와 연신 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미연신 블렌드 필름의 수축율이 순수 PET 필름보다 600% 증가함을 보였다.

수용액 내 폴리스티렌-폴리에틸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 미셀 구조에 대한 소각중성자산란 연구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tudy of the Structure of Micelles Formed by a Polystyr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 in Aqueous Solution)

  • 강병욱;최미주;황규희;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85-489
    • /
    • 2009
  • 중수소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dPS-PEO)로 형성된 미셀의 구조에 대한 온도 의존성을 소각중성자산란(SAN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ANS 데이터는 코어-쉘 모델의 form factor와 hard-sphere structure factor를 결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곡선 맞춤을 이용하여 미셀 응집수와 코로나 반경을 구하였다. 온도가 $25^{\circ}C$에서 $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서 미셀 응집수는 229에서 240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코어 반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셀의 쉘 두께는 6.2 nm에서 5.8 nm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온도 증가에 따라서 PEO 블록의 소수성이 증가함으로써 코로나 내의 친수성 그룹 당 수화 부피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Topical Delivery of Budesonide Emulsion Particles in the Presence of PEO-PCL-PEO Triblock Copolymers

  • Cho, Jin-Hun;Baek, Hyon-Ho;Lee, Jung-Min;Kim, Jung-Hyun;Kim, Dae-Duk;Cho, Heui-Kyoung;Cheong, In-W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12호
    • /
    • pp.969-975
    • /
    • 2009
  • This article describes the topical delivery and localization of budesonide through the hairless mouse skin. Two poly(ethylene oxide)-block-poly($\varepsilon$-caprolactone)-block-poly(ethylene oxide) (PEO-PCL-PEO) triblock copolymers (T 222 and T 252) having different CL:EO ratios were added in the preparation of budesonide particles stabilized with poly(vinyl alcohol) (PVA) and Tween 80 under ultrasonication. For comparison, a commercial PEO-PPO-PEO triblock copolymer (F68) was studied under the same condition.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triblock copolymer, the particle size of budesonide emulsion, entrapment efficiency, and in vitro relea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budesonide particles stabilized by the triblock copolymers had a diameter of ca. 350 nm with entrapment efficiencies of 66-76%. The In vitro release profiles of all samples showed an initial burst followed by sustained release. The skin penetration and permeation of budesonide were analyzed by using a Frantz diffusion cell. T 222 and T 252 exhibited higher total permeation amounts, but lower budesonide penetration amounts, than F68.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titioning of budesonide in each skin layer can be adjusted in order to avoid skin thinning and negative immune response arising from the penetration of budesonide in blood vessels.

4-Fluorostyrene을 포함하는 안의료용 고분자 합성 및 물리적 특성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Ophthalmic Copolymer Containing 4-fluorostyren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17-322
    • /
    • 2010
  • 본 연구는 4-fluorostyrene을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19.98 ~ 31.08%, 굴절률 1.443 ~ 1.475, 가시광선 투과율 87 ~ 93%, 인장강도 0.246 ~ 0.311 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4.14 ~ $66.9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4-Fluorostyrene 첨가한 콘택트렌즈 재료의 경우, 기본적인 콘택트렌즈의 물성을 만족하였고, styrene 비교하여 함수율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습윤성과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 굴절률과 습윤성을 지닌 콘택트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N-Dimethylacrylamide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렌즈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le Lens Containing N,N-Dimethylacrylamid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61-765
    • /
    • 2010
  • Poly (N,N-dimethylacrylamide)는 수용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N,N-dimethylacrylamid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6 - 42%, 굴절률 1.433 - 1.426, 가시광선 투과율 90 - 91%, 산소전달율 13.1 - $21.29{\times}10^{-11}(cm^2/sec)$ ($mlO_2/mL{\times}mmHg$)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polarographic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산소전달율을 측정한 결과 N,N-dimethylacrylamid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11.0% - 80.5%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산소투과성을 지닌 하이드로젤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nylanisole을 포함한 고굴절률 안의료용 렌즈 재료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hthalmic Lens Materials with High Refractive Index Containing Vinylanisol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55-760
    • /
    • 2010
  • 본 연구는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496 - 1.4894, 함수율 22.93 - 35.50%, 가시광선 투과율 88.8 - 90.8%를 나타내었다. 또한,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을 15%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UV-A 52.8 - 82.2%, UV-B 13.2 - 26.2%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자외선 차단성과 고굴절률을 가진 안의료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탄성체-Clay 나노복합재료 막의 기체투과 특성 (Gas Permeable Properties of Elastomer-Clay Nanocomposite Membrane)

  • 남상용;박지순;임지원;정연석;이영무
    • 멤브레인
    • /
    • 제16권2호
    • /
    • pp.144-152
    • /
    • 2006
  • 일반적으로 탄성체는 특히 고무는 단일성분으로 충분한 물성과 gas barrier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카본블랙과 실리카 등 보강제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체 투과성을 낮추기 위해 층상구조를 갖는 점토광물의 일종인 유기실리케이트와 NBR, Ionomer,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 styrene Copolymer)의 유기탄성체를 이용하여 유기탄성체-clay 나노복합재료 막을 용융법으로 제조하였다. 유기탄성체-clay 나노복합재료 막의 기체 투과 특성은 가압 기체투과장치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일정 압력을 유지하며 이산화탄소($CO_2$), 산소($O_2$), 질소($N_2$)가스의 기체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유기탄성체-clay 나노복합재료 막은 clay자체의 도입과 층간거리의 확대로 기체분자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기체투과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PCL/PCL-g-PEG 생분해성 블렌드에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조성에 따른 상용성의 영향 (Effect of Graft Copolymer Composition on the Compatibility of Biodegradable PCL/PCL-g-PEG Blend)

  • 조국영;이기석;박정기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48-253
    • /
    • 2009
  • 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카프로락톤(PCL)과 양친성 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이 그래프트된 PCL을 이용하여 생분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는 PCL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을 변화시키며 열적 그리고 결정화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함량 변화에 따라 결정화 온도의 변화 및 결정화 속도가 변화하였고 이를 통해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PCL의 결정화 거동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는 광학현미경을 통한 결정의 교대 소광 밴드의 관찰을 통하여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방출시스템과 같은 의료용 응용을 고려하여 블렌드 필름의 흡수거동과 단백질 흡착에 대한 특성도 평가하였다.

Glycerol dimethacrylate를 포함한 고습윤성 안의료용 고분자의 중합 및 특성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hthalmic Polymer Containing Glycerol dimethacrylate with High Wettability)

  • 조선아;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83-289
    • /
    • 2011
  • 본 연구는 glycerol dimethacrylate를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methyl methacrylate), MA(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2~32%, 굴절률 1.442~1.463, 가시광선 투과율 90.0~90.5%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6~$6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sessile drop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glycerol dimethacryla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9.89~$18.99^{\circ}$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습윤성이 높은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장재를 달리한 고춧가루의 저장조건에 따른 capsaicinoids와 색상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Capsaicinoids and AST A Color Value of Red Pepper Powder Packed with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 이선미;박재복;김선아;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39-446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pepper powder using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and various storage conditions. Red pepper powders with 11 and 15% initial moisture content were packed with five different materials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0, 20, and 30 C) for a one year period. Over the storage period, each combination was periodically sampled, and examined for composition changes. The five packaging materials wer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nylon/LLDPE(Ny/LLDPE), saran coate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B650), nylon/Tie/nylon/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nylon/Tie/LLDPE(RDX-2787) and oriented polypropylene/alumimum/LLDPE(OPP/Al/LLDPE), and the three storage conditions were (28.3${\pm}$1.0)$^{\circ}C$ with (15.5${\pm}$2.8)% relative humidity, (18.6${\pm}$0.5)$^{\circ}C$ with (46.6${\pm}$4.9)% RH, and (0${\pm}$2)$^{\circ}C$ with (80${\pm}$10)% RH,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sample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storage humidity, except those of the samples packed with OPP/Al/LLDPE, which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capsaicinoids content of the red pepper powde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or 6 months, but gradually decreased after that until about 85% of the original amount remained at the final stage of storage. The ASTA color values of all samples decreased gradually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higher the storage temperature, the more severe the deterioration. The color deterioration seemed great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oxygen, as the deterioration was especially severe in the samples packed with LLDPE and B650, where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were highest among the five packag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