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uarine tidal fla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새만금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최재웅;안순모;권수재;구본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361-368
    • /
    • 2006
  • The Saemangeum tidal flat with an area of approxirnately $233km^2$ is one of the biggest estuarine tidal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Because of its location in the estuary of Mangyeong and Dongjin Rivers, the tidal flat receives large amount of sediments. A 33-km long sea dyke, enclosing a coastal zone of $401km^2$, was constructed to reclaim tidal flat in the Saemangeum area. The dyke construction radically changes the local tidal current regime and estuarine circulation. These have an effect on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tidal flat. On the tidal flats of the study area net deposition occurred, but net erosion occurred near tidal channel in 2004. The comparison of topography and surface sediments in summer 2004 with those in summer 1988 before the dyke construction showed that elevation increased with maximum 80cm and mean grain sizes were fining at Gwanghwal tidal flats. Sedimentary facies of two cores from Gwanghwal tidal flat revealed homogeneous layers in the upper part suggesting rapid deposition after the dyke construction. The sedimentation rate in Gwanghwal tidal flat(GW 6) using $^{210}Pb$ analysis was about 5.4cm/yr which is well matched with the sedimentation pattern revealed by change in topography.

하구역 모래갯벌인 봉암갯벌(경남 마산)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봄철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During Spring Season in the Estuarine Sandy Tidal Flat of Masan Bay, Korea)

  • 서진영;안순모;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11-218
    • /
    • 2007
  • 본 연구는 하구역 모래갯벌인 봉암갯벌(경남 마산)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 3월에 12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수행되었다. 총 출현 종수는 13종이었고, 서식밀도는 $20,267\;ind./m^2$, 생물량은 $228.1g/m^2$였다. 봉암갯벌에서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인 Prionospio japonicus로 $11,716\;ind./m^2$의 서식 밀도를 보였고 전체 출현개체수의 57.8%를 차지하였다. 다모류인 Polydora ligni($3,929\;ind./m^2$, 19.4%), Neanthes succinea($3,425\;ind./m^2$, 16.9%)도 우점하였다. P. japonicus는 모든 정점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고, 특히 해안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대량으로 출현하였다. N. succinea는 갯벌중앙의 상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종다양성지수(H')는 $0.6{\sim}1.2$의 범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봉암갯벌의 낮은 H'값은 정점당 출현 종수가 6종 내외로 적었고, 다모류인 P. japonicus를 포함한 2-3종의 우점종이 대량 출현한 현상에 기인하였다. 집괴분석 및 MDS배열법 결과 봉암갯벌은 크게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이 되었으며, 봉암갯벌의 대형저서동물은 조위에 따른 노출시간의 차이에 의해 군집조성과 우점종 분포에 차이를 보였다.

서해안 염하구 습지 퇴적물의 지화학적 분석 (C/N 및 ${\delta}^{13}C$)에 기반한 동아시아 몬순 변동 연구 (East Asian Monsoon History as Indicated by C/N Ratios and ${\delta}^{13}C$ Evidence from the Estuarine Tidal Flat Sedimen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정재;신영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41-552
    • /
    • 2010
  • 후기 플라이스토신 및 홀로신 시기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변화를 밝히기 위해 지화학적 분석 방법(탄소동원원소(${\delta}^{13}C$), 탄질율(C/N), 대자율, 입도 분석 등)을 활용하여 서해안 염하구 습지 퇴적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여름 몬순은 7,700-7,800년 전에 정점이었고 7,400년 전 경부터 약화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빙하 최성기 중 24,000-24,500년 전 경에는 몬순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18,500-19,500년 전 경에는 상대적으로 강했다. 염하구 습지 퇴적물의 지화학적 분석 자료는 과거 여름 몬순의 변동을 밝힐 수 있는 새로운 고환경 자료로서 가치를 갖는다. 특히 고환경 자료가 부족한 한국 학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강화 동검도 동부 갯벌의 퇴적 특성 변화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Tidal Flat of Donggum Island in Ganghwa,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장석;권수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12
  • 강화 갯벌의 퇴적작용은 주변의 대규모 건설로 인하여 지난 20여년 동안 변화되어 왔다. 강화 갯벌 동부와 염하수로 하류에 위치한 동검 갯벌의 퇴적환경은 조류와 하구 순환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동검 갯벌에 급격한 퇴적이 일어났다. 두 개의 코어 퇴적물 상부에 나타나는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퇴적상은 동검 갯벌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퇴적이 있었음을 나타냈다. $^{210}Pb$ 분석에 의한 두 개 코어 시료의 퇴적률은 정점3에서 3.25cm/year와 정점 5에서 3.47cm/year 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단기 퇴적률은 대부분 1cm/year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퇴적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검 갯벌의 퇴적물은 2000년대에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하여 급격히 퇴적되었다. 현재 동검 갯벌의 고도 증가는 계절 변화를 가진 상대적으로 낮은 퇴적률을 보여 주고 있다.

하구역 간석지 퇴적물 대자율의 통합과 주기성 검토 (Integration and Periodicity of Magnetic Susceptibility Data on Estuarine Tidal Sediment)

  • 신영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93-607
    • /
    • 2015
  • 모산만 하구역 간석지 12개 주상시료의 22개 OSL 연대 자료와 1039개 대자율 자료를 활용해 통합 시계열 대 자율 자료를 구축한 후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홀로세 중후반의 환경 변화와 대비하였다. 대자율의 변화는 강수량 변화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웨이블릿 변환을 통하여 250년의 주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0년의 주기성은 태양활동도, 대기-해양순환과 관련된 ENSO의 장주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동아시아 여름 몬순, 여름철 강수 패턴의 변화, 엘니뇨 현상 등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대기-해양순환과 관련되어 증가하게 되는 강수량으로 인해, 하천유역에서 다량의 퇴적물이 침식 운반되어 하구역 간석지에 퇴적되어 대자율의 값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ransverse variability of flow and sediment transport in estuaries with an estuarine dam

  • Steven Figueroa;Minwoo So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5-125
    • /
    • 2023
  • Estuarine dams are dams constructed in estuaries for reasons such as securing freshwater resources, controlling water levels,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These estuarine dams alter the flow of freshwater to the coastal ocean and the tidal properties of the estuaries which has implications for the estuaries' circulation and sediment transport. A previou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estuarine dams on 1D (along-channel) circulation and sediment transport. However, the effect of estuarine dams on the transverse variability of along-channel and across-channel circulation and sediment transport has not been studied and is not known. In this study, a coupled hydrodynamic-sediment dynamic numerical model (COAWST) was used to analyze the transverse variability of along-channel and across-channel flow and sediment transport in estuaries with estuarine dams. The estuarine dam was found to change the 3D structure of circulation and sediment transport, and the result was found to depend on the estuarine type (i.e., strongly stratified (SS) or well-mixed (WM) estuary). The SS estuary had inflow in the channel and outflow over the shoals, consistent with estuarine circulation. Longer discharge interval reduced the estuarine circulation. The WM estuary had inflow over the shoals and outflow in the channel, consistent with tide-induced circulation. As the estuarine dam was located nearer to the estuary mouth, the tide-induced circulation was reduced and replaced with estuarine circulation. The lateral circualtion was the greatest in the tide-dominated estuaries. It was reduced and changed direction due to differential advection change as the dam was located nearer the mouth. Overall, the WM estuary transverse flow structure changed the most. Lateral sediment flux was important in all estuaries, particularly for transporting sediments to the tidal flats.

  • PDF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 Lie, Heung-Jae;Cho, Cheol-Ho;Lee, Seok;Kim, Eun-Soo;Koo, Bon-Joo;Noh, Jae-H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475-484
    • /
    • 2008
  • The word 'Saemangeum' indicates an estuarine tidal flat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as a national project in 1991 to reclaim a large coastal area of $401\;km^2$ by constructing a 33-km long dyke. The final dyke enclosure in April 2006 has transformed the tidal flat into lake and land. An integrated oceanographic study has been conducted since 2002 as a part of the Government Action Plan to monitor and assess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Prior to the dyke enclosure,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was a complex system governed by tidal motion, estuarine processes, and coastal circulation of the Yellow Sea. The dyke construction has radically changed not only the estuarine tidal system inside the dyke, but also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utside the dyke. Post to the dyke enclosure, subsequent changes such as red tide, hypoxia, and coastal erosion/deposition occur successively. Red tides appear almost the year round in the inner area.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luice gates are fully open, the water quality does not improve as much as the developers would expect, mainly due to the critical reduction of the hydrodynamic stirring power. We will introduce details of our monitoring program an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aemangeum marine environment, based on observations and model results.

蟾津江 河口 干潟地 水質의 年間變化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tuary Water in Guang Yang Inlet from Mar. 1961 to Feb. 1962)

  • 원종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6-197
    • /
    • 1962
  •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estuarine water at a definite station of the tidal flat in Guang Yang inlet have been determined for two days a month. The range and mean of the annual variations are as follows:Tidal variations through a year are as follows:1. Although the tidal value of pH is almost constant during one tidal cycle, it raises abruptly 0.1-0.2 intervals of pH value during the first period of flood.2. The lower values of chlorinity, magnesium and calcium contents have been determined the nearer the slack after ebb, and slightly higher during the first period of flood tide than the last of ebb. The tidal change of calcium contents is more remarkable than of magnesium.3. The higher per cent saturation values of dissolved oxygen, sometimes higher than 100 per cent, re determined the nearer the slack after ebb.4. The total nitrogen contents, relatively poor, varies accidentally during one tidal cycle, whereas phosphate-P and silicate-Si are rich at the slack after ebb and increase proportionally to the mixing percentage of fresh water. The average values, 52.2 and 18.5 of Si/P and N/P are greater than of the normal.5. The acid soluble iron contents, lower in winter than in summer, is also varies accidentally during one tidal cycle and the magnitude of the variation is large.6. The chemical composition considered from the value of Ca/Cl or Mg/Cl of estuarine water varies according to the chlorinity even at the high chlorinity of 18-19%.

  • PDF

영산강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Tidal Flat of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길;이명선;장진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7-697
    • /
    • 2019
  • 하굿둑과 좁고 깊은 수로형 하구의 특성을 갖는 영산강 하구에서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6년 동안(2005~2011)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조간대 바닥의 높이 변화(침·퇴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2008년 9월에는 하구 조간대에서 수리관측을 수행하였다. 전체 갯벌의 82 %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 ~ 94 %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6 cm/y의 침식이 이루어졌고, 2010년경에는 특이하게 연평균 4 cm/yr의 퇴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하구 조간대의 침식은 하굿둑 및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 이후에 이루어진 조석의 진폭 증가와 낙조 우세 조류의 비대칭성 강화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며, 2010년의 퇴적은 하구 준설에 따른 부유물의 대량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in Nanakita Estuarine Tidal Flat: Estimation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Origin by Stable Isotope and Fatty Acid

  • Shin, Woo-Seok;Aikawa, Yoshio;Nishimura, Osamu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77-82
    • /
    • 2012
  • The spatial variation of organic matter sources in tidal flat sediment of the Nanakita River estuary, involving Gamo lagoon on the north-east coast of Honshu Island, Japan, was examined using carbon stable isotopes and fatty acid biomarkers. The spatial vari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s and ${\delta}^{13}C$ values were highly variable in between the stations, such as sandy flat (1.3 mg/g, -21.0‰), sand-muddy flat (2.6 mg/g, -21.9‰), and muddy flat (24.9 mg/g, -25.9‰), respectively. Particularly, at the muddy flat, high TOC content and low ${\delta}^{13}C$ value of the sediments indicated that the surface sediment was composed largely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Whereas, at the sandy flat and sand-muddy flat, the high ratios of diatom and bacteria biomarkers indicated the high contribution of abundant microorganism along with marine organic matter in sediment composition. From these results, it considered that the amount and origin of transported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dica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s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