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ogen receptor의 발현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17 $\alpha$-ethinylestradiol 과 nonylphenol에 노출된 송사리에서 vitellogenin 및 estrogen receptor의 발현

  • 이철우;박응로;류지성;남규찬;남성숙;구자민;전성환;나진균;최덕일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32-132
    • /
    • 2001
  • Vitellogenin은 난황단백질의 전구체로서 생체내 발현은 에스트로젠과 에스트로젠 수용체가 반응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류의 경우 간에서의 vitellogenin의 합성 및 분비는 성숙된 암컷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나, 과거 여러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수컷이나 미성숙한 암컷에서도 에스트로젠성 물질에 의해 합성이 유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컷 또는 치어 plasma에서 vitellogenin의 측정은 외인성에스트로젠에 대한 노출을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중략)

  • PDF

자궁내막 염증에 대한 지엽적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매개 수용체의 역할 (Roles of Local Estrogen and Progesterone Mediated Receptors in the Regulation of Endometrial Inflammation)

  • 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2-113
    • /
    • 2023
  • 본 총설에서는 지난 수년 동안 자궁내막 염증 관련 새롭게 밝혀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기능 중 지엽적 에스트로겐의 합성, 특이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조절, 프로게스테론 저항성 그리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자궁내막 조직세포의 염증반응, 분화 및 생존에 대한 세포 및 분자적 조절기전들을 고찰한다. 자궁내막 조직 기질세포의 비정상적인 후성유전체적 변화는 자궁내막증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들의 차별적 메틸화는 기질세포내 ERα로부터 ERβ로의 발현 우세도 전환을 유도하여, ERβ-매개 염증반응, 프로게스테론 저항성 및 레티노이드 합성장애 등의 비정상적인 에스트로겐 반응을 초래한다. 이 기질세포는 또한 PGE2 및 SF-1 매개에 의한 스테로이드 합성효소의 발현유도를 통하여 지엽적 에스트로겐의 생성을 촉진하며, 증가된 에스트라디올은 다시 ERβ에 피드백으로 작용하여 COX-2 촉진을 통한 염증반응의 악순환을 야기한다. 높은 ERβ의 발현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염색질 구조변화릉 야기하여 프로게스테론 저항성을 획득하고, 이는 반복적 생리에 따른 지속적 노출로 자궁내막 조직의 염증을 형성하며, 이후에는 ERβ-매개 에스트로겐과 TNF-α 및 TGF-β1을 포함한 염증 유발 인자들이 작용하여 염증 조직세포의 부착, 혈관생성 및 생존과 기질세포의 분화조절장애를 유도한다. 따라서, 생리주기의 역동적인 호르몬 변화와 이에 따르는 자궁내막 조직의 핵수용체 신호전달 조절기전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정상적인 생식기능을 유지하면서 자궁내막증과 같은 비정상적 염증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안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돼지 Cytochrome P450 Aromatase의 새로운 기능

  • 최인호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5
    • /
    • 2003
  • 여성호르몬으로 잘 알려진 estrogen은 난소의 granulosa 세포와 정소의 Sertoli 세포에서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엔 사람의 지방, 근육, 뇌, 뼈세포 등에서의 합성 가능성과 각 조직에서 생성되는 estrogen 의 생리학적인 기능에 관해 많은 관심이 모여져 왔다. 다른 steroid처럼 지방친화적인 (lipophilic) estrogen은 세포막과 핵막을 쉽게 통과하여 목표세포 (target cell)의 핵에 존재하는 estrogen receptor (ER)에 결합하여 특정 유전자를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ytochrome P450 Aromatase (간략히, aromatase)는 steroid hormone을 합성하는 마지막 단계에서 androgens을 estrogens으로 전환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이다. Aromatase의 substrate (기질)로 사용되는 androgen에는 androstenedione과 testosterone 등이 있으며, 최종 산물로써 estrone(E1)이나 17$\beta$-estradiol(E2) 등의 estrogen이 생성된다. Aromatase는 steroidogenic tissues의 세포내 골지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와 함께 복합체로써 존재한다.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는 다른 steroid hormone에 관여하는 효소들과도 복합체를 형성하여 다른 steroid hormone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어떤 조직에서 여성호르몬이 만들어질 수 있느냐 하는 것은 그 조직에서 aromatase 단백질이 만들어지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 PDF

유방암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성장인자 수용체 사이의 양방향 상호작용 (Bidirectional Cross-talk Between Estrogen Receptor and Growth Factor Receptors in Breast Cancer Cell)

  • 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5-273
    • /
    • 2018
  • 에스트로겐(E2)은 유방암의 발달과 진행에 관여하며, 에스트로겐 수용체(ER)에 의해 매개된다. ER은 유방암세포에서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와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의 신호전달경로들 사이에서 다양한 cross-talk을 통하여 세포의 증식, 이주, 침습 및 약물에 대한 저항성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방암은 내분비신호전달의 항상성 붕괴에 의해 주로 발생되며, 특히 E2/IGF-1/EGF와 ER/G-protein estrogen receptor (GPER)/IGF-1R/EGFR, 그리고 이들의 세포내 신호전달 매개인자들의 통제되지 않는 발현과 활성증가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변화는 E2와 성장인자 신호전달 사이의 복잡한 cross-talk에 영향을 주어 결국 암의 진행과 내분비조절인자들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E2와 성장인자들 사이의 cross-talk에 관한 분자적 기전을 단계별로 규명하는 것은 유방암의 다양한 유형에 따른 맞춤형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다양한 유전형 및 표현형을 가진 유방암의 치료를 위한 전략으로서, ER+ 호르몬의존성 유방암세포에 대한 aromatase 억제제 및 E2작용 차단제의 사용과 E2와 성장인자들 사이의 cross-talk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억제를 위한 IGF-1R/EGFR 활성차단제의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ER과 EGFR/IGF-1R 사이의 cross-talk에 의해 조절되는 ECM 분자들의 발현변화는 유방암세포의 전이에 대한 표적치료제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암의 진행과 관련된 ER, GPER, IGF-1R 및 EGFR 매개에 의한 신호전달경로들 사이의 cross-talk에 관한 보다 더 자세한 분자적 수준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의 부정소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조절 단백질, Basigin과 Embigin의 생후 발달 과정 동안 발현 양상 (Postnatal Ontogeny of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Two Regulatory Proteins, Basigin and Embigin, in The Epididymis of Male Rat)

  • 이기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45-56
    • /
    • 2008
  • 본 연구는 생후 발달 과정 동안 monocarboxylate transporter(MCT) isoform과 MCT의 발현 조절 단백질로 알려진 basigin(Bsg)과 embigin의 mRNA 발현을 흰쥐의 부정소에서 부위별로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으며, 에스트로젠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의 작용에 의해 MCT1 발현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estrogen receptor α knockout(αERKO) 마우스를 이용하여 immunohistochemistry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MCT isoform(MCT1, 2, 3, 4와 8), Bsg과 embigin의 mRNA 발현이 부정소의 부위별로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부정소에서 MCT1 단백질 발현은 corpus와 caudal 부위에서 apical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부정소에서 MCT1 단백질 발현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의 존재 여부와 상관 없음이 보여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MCT가 남성 생식기관인 부정소에서 정자 성숙과 저장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남성 생식력의 유지에 관여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색인어 : Epididymis, Monocarboxylate transporter, Basigin, Embigin)

에스트로겐 수용체 ${\beta}$ 발현과 유방암 재발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beta}$ and Recurrence in Breast Cancer)

  • 강수환;최정은;이수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153-164
    • /
    • 2011
  • Background: It has been reported that estrogen receptor beta ($ER{\beta}$) mRNA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during carcinogenesis and was inversely related to estrogen receptor alpha ($ER{\alpha}$) expression in breast cancer. The association of $ER{\beta}$ mRNA expression to tamoxifen resistance has also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ER{\alpha}$ and $ER{\beta}$ via immunohistochemistry (IHC)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prompt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R{\beta}$ expression and recurrence in the hormonal therapy group, and between $ER{\beta}$ expression and known prognostic factors. Methods: Tumor specimens were obtained at surgery from 67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1995 to December 2000. All the specimens were frozen in liquid nitrogen and kept at $-70^{\circ}C$ until they were used. The medical record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expressions of ER were analyzed using IHC and RT-PCR method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at 93.0 months (range: 14-157 months). The percentage of $ER{\alpha}+/ER{\beta}+$, $ER{\alpha}+/ER{\beta}-$, $ER{\alpha}-/ER{\beta}+$, and $ER{\alpha}-/ER{\beta}$ group were 35.9% 9.4%, 47.2%, and 7.5%, respectively, in 53 patients with hormonal therapy. $ER{\beta}$ was positive in 42 (82.3%) of 51 ER-positive patients. In the hormonal therapy group, the recurrence rates of each group was 15.8%, 0%, 40.0%, and 0%, respectively. In this group, the $ER{\beta}$ expression tended to recur, but there was no clinical significance (p=0.084). Conclusion: The $ER{\beta}$ expression may be a predictive marker of a poor response to endocrine 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although this needs to be confirmed in additional studies.

  • PDF

뱀장어 Vitellogenin과 Estrogen 수용체 유전자 발현에 대한 성장호르몬 및 웅성호르몬의 영향 (Effect of Growth Hormone and Androgen on Vitellogenin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권혁추;최성희;김은희;권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97-103
    • /
    • 2006
  • Vg은 난생 척추동물의 성숙한 암컷 혈청에 존재하는 성 특이 단백질로서 $E_2$에 의해 합성이 유도된다. 본 연구는 뱀장어 Vg과 ER 유전자 발현에 대한 androgen과 성장호르몬(G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뱀장어($200{\sim}250g$)에 $E_2(5{\sim}5,000\;{\mu}g/kg\;bw)$, 뱀장어 recombinant GH(eGH, $1{\sim}10\;{\mu}g/kg$) 또는 methyltestosterone(MT, $1{\sim}5\;mg/kg$)를 각각 단독 또는 eGH 또는 MT와 혼합하여 주사한 후 10일 후에 샘플을 채취하였다. 간 ER과 Vg mRNA는 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_2$에 의해 발현된 Vg 유전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E_2(500\;{\mu}g/kg)+MT(5mg/kg)$ 또는 $E_2(500\;{\mu}g/kg)+eGH(10\;{\mu}g/kg)$의 처리는 각각 $E_2$ 단독처리에 비해 높은 Vg mRNA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eGH($10\;{\mu}g/kg$) 또는 MT(5mg/kg) 단독 처리는 Vg mRNA 발현을 유도하지 못했다. 한편 ER mRNA의 발현은 호르몬 처리에 관계없이 관찰되었다. Vg mRNA와 마찬가지로 ER mRNA의 발현도 $E_2(5{\sim}500\;{\mu}g/kg\;bw)$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E_2(500\;{\mu}g/kg)$와 MT(5mg/kg) 또는 eGH($10\;{\mu}g/kg$)의 혼합투여 또한 $E_2$에 의해 유도된 ER mRNA 발현을 증가시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Vg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 $E_2$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요소이지만 $E_2$ 자체만으로는 충분한 Vg 유전자를 발현하지 못하고 GH 또는 웅성호르몬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MT 또는 GH는 ER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다른 경로를 통해 Vg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궁 내 insulin-like growth factor-I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에스트로겐의 영향 (The Effect of Estrogen on the Transcription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I Gene in the Uterus)

  • 곽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3-597
    • /
    • 2009
  • 자궁은 임신에 필수불가결한 기관으로, 에스트로겐(E2)과 프로게스테론(P4)은 태아와 자궁 사이의 상호 신호전달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임신을 확립하게 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임신 초기 E2는 배아의 안정적인 착상을 위하여 자궁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시기 자궁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IGF-I)와 E2/P4 간의 상호 신호전달이 임신 확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E2는 에스트로겐 수용체(ER)에 의해 그 작용이 결정되어지는데, 임신 돼지 자궁에서는 ER-${\alpha}$만이 발현됨을 증명하였다. 자궁에서 ER-${\alpha}$의 발현은 임신 중기나 말기보다 임신 초기 단계에서 높게 발현됨이 관찰되었다. 이는 배아에서 분비되는 E2가 ER-${\alph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IGF-I이 E2 표적 유전자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난소를 제거한 쥐에 E2/P4를 처리한 후 IGF-I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E2를 처리한 샘플에서는 IGF-I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P4를 처리한 샘플에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E2가 자궁에서 IGF-I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을 직접적으로 증명하였다. 임신한 돼지의 자궁에서 임신 시기별로 IGF-I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임신 초기에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고, 이 양상은 ER-${\alpha}$의 발현 형태와 아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는 임신 자궁에서 ER-${\alpha}$와 IGF-I의 발현이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ER-${\alpha}$와 IGF-I은 E2에 의해서 조절되어지는 유전자이며, 임신초기 배아에서 분비되는 E2가 자궁에서 ER-${\alpha}$의 발현을 증진시키고, 나아가서 이 ER-${\alpha}$가 자궁에서 IGF-I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개의 에스트로겐과 프로케스테론 수용체 발현이 되지 않은 자궁 선암종 증례 (A Case of Canine Uterine Adenocarcinoma with Negativ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Expression)

  • 조향미;김현욱;김혜진;최지혜;장재영;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3-306
    • /
    • 2011
  • 프로게스테론 제제를 복용해 오던 12세령의 암컷 잡종 견이 복부 종괴의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복부 초음파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장된 자궁과 관련된 종괴를 확인하였다. 혈청 화학 검사에서는 고글로불린혈증이 나타났으며, 전기영동 검사상 급성 염증 패턴으로 판단되었다. 초음파 유도하에 종괴의 세침흡인을 실시하였으며 세포학검사를 통해 선암종이 진단되었다. 탐색적 개복을 실시하였으며 장구체의 종괴를 발견하여 자궁과 함께 종괴를 제거하는 수술을 실시하였다. 조직병리 검사결과 자궁 선암종이 진단되었으며 종양세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발현 여부 평가를 위해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면역염색결과 종양세포는 두 항체에 대해 음성 결과를 보였으며, 정상 간엽세포에서만 양성 결과가 나타났다. 수술 후 1주일에 재검을 위해 내원하였는데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결과 폐 전이가 확인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40일경에 폐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