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imated daily intake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33초

2009년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Research on Pesticides Residue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2009)

  • 이주영;최원조;이희정;신용운;도정아;김우성;최동미;채갑용;강찬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2-202
    • /
    • 2010
  • 국내 유통 농산물 16품목 (쌀, 조, 메밀, 강낭콩, 땅콩, 참깨, 오렌지, 자몽, 키위, 시금치, 들깻잎, 부추, 마늘쫑, 마늘, 생강,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다성분 분석농약172종을 분석하여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 510건 중 대부분의 농산물인 459건 (90.0%)의 농산물은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51건 (10.0%)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엇다. 들깻잎, 부추 등 엽채류의 검출빈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키위에서 phenthoate이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검출된 농약 24종에 대한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위해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통 농산물에 대한 농약의 검출량은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유통 농산물 조사 연구사업으로 농약 잔류허용기준 준수 여부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축적될 것으로 사료된다.

LC/MS/MS를 이용한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 김미옥;황혜신;임무송;홍지은;김순선;도정아;최동미;조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64-675
    • /
    • 2010
  • 국내 유통 농산물 16품목을 대상으로 LC/MS/MS로 분석 가능한 다종다성분 농약 60종을 검사하여 식품의 잔류농약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 510건 중 대부분의 농산물인 490건(96.1%)의 농산물은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8건(3.5%)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들깻잎, 부추 등 엽채류의 검출빈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시금치, 부추에서 각각 ethaboxam, fluquinconazole이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검출 농약은 9종이었으며, azoxystrbin과 dimethomorph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쌀 등 16품목의 다소비 농산물을 대상으로한 모니터링 결과 농약의 잔류량은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산물에 대한 농약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유통 식품용 유리제의 중금속 노출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Heavy Metals Migrated from Glassware on the Korean Market)

  • 김은비;황정분;이정은;최재천;박세종;이종권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1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되는 식품용 유리제 총 110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리제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납, 카드뮴 및 바륨에 대하여 이행량을 조사하고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납, 카드뮴 및 바륨은 ICP-OES로 측정되었고, 시험법은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정밀도 및 측정불확도 추정에 의해 검증되었다. 납과 바륨의 이행량은 각각 불검출 ~ 0.7949 mg/L 및 불검출 ~ 0.1823 mg/L 이었으며, 카드뮴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이를 통한 이행물질의 일일추정섭취량 및 위해도를 확인한 결과 국내 유통되는 식품용 유리제는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폐광지역에서 생산된 백미 중 비소오염도와 확률론적 기법을 이용한 인체 위해성 평가 (Arsenic Contamination of Polished Rice Produced in Abandoned Mine Areas and Its Potential Human Risk Assessment using Probabilistic Techniques)

  • 이지호;김원일;정은정;류지혁;김지영;백민경;박병준;임건재;홍무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1
    • /
    • 2011
  • 국내 15 지점의 폐광산 주변 지역에서 재배 생산된 백미 중 총 비소 오염도를 조사하였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평균일 일노출량(ADD)을 산정하여 발암위해확률 및 비발암독성영향을 평가하였다. 광산 인근에서 재배 생산된 백미 중 총 비소의 평균 농도는 0.09 mg/kg으로 조사되었다. ADD값은 총 비소 함량에 무기 비소의 비율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FAO/WHO에서 정한 2.1 ${\mu}g/kg$ b.w.-day의 PTDI 값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광산 지역 인근에서 재배한 백미를 섭취했을 경우, 연령 및 성별 인구집단의 발암위해확률은 허용수준인 $10^{-6}{\sim}10^{-4}$ 범위를 초과하였고, 특히 6세 이하 유아의 경우 평균 10,000 명당 5인 이상의 높은 발암위해확률이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비발암독성위험값 (HQ)은 모든 연령 및 성별 인구집단에서 1.0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폐광산 주변 지역에서 재배 생산된 백미를 장기간 섭취하더라도 비소에 의한 인체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현황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stimated flavonoid intak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of Korean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 김성아;흑양;전신영;위경애;신상아;홍은주;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91-40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행태와 그에 따른 식생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 4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2) 자료의 24시간 회상법 자료와 상용식품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1일 총 플라보노이드 및 개별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반-3-올, 안토시아닌, 프로안토시아닌,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 19세 이상 성인의 1일 평균 총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은 남자가 321.8 mg/d, 여자가 308.3 mg/d였으며, 남녀 모두에서 가구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플라본과 이소플라본을 제외한 개별 플라보노이드 및 개별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플라보놀, 플라반-3-올, 안토시아닌 등의 개별 플라보노이드와 총 플라보노이드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에 따라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에 가장 큰 차이가 있었던 식품군은 음료류로, 가구소득 수준과 교육수준이 가장 높은 군은 가장 낮은 군에 비해 음료류로부터 섭취하는 총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2.7~2.9배, 8.2~8.9배 가량 더 많았다. 가구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복합적으로 플라보노이드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이면서, 가구소득수준이 상, 중 상인 군은 교육수준이 '중졸 이하'이면서 가구소득수준이 하, 중하인 군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이 낮을 위험이 남자에서 63%, 여자에서 50%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량과 임상적 지표 혹은 질병의 유병률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유통 버섯 중 중금속 함량 조사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Edible Mushrooms)

  • 김지영;류지혁;이지호;김민지;강대원;고현석;홍수명;임건재;김두호;정구복;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버섯류 5품목에 대한 중금속 (As, Cd, Pb, Hg)의 함량을 조사하고 확률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버섯류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한 결과 98.03~104.06%의 회수율을 얻었다. 주산지역의 버섯류 5종을 각 품목당 30종씩 모니터링한 결과, 비소의 평균함량은 0.035 mg/kg, 카드뮴은 0.017 mg/kg, 납은 0.043 mg/kg, 수은은 0.004 mg/kg으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EU 기준 (Cd 0.2 mg/kg, Pb 0.3 mg/kg) 대비 모두 기준 이하였다. 버섯류 중 중금속 노출 기여도가 높은 버섯은 표고>느타리>양송이 순이었으며, 버섯류 5종 모두 위해성 평가 결과 위해지수 1.0 이하로 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소, 카드뮴, 납, 수은을 모두 합산하여 위해지수를 분석한 결과 일반인의 경우 0.003, 고섭취군인 경우 0.008로 인체 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모든 식품 중 중금속 노출량에 대한 버섯류의 기여도를 감안하면 식이를 통한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ce of dietary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centr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olstein steers

  • Ramos-Avina, Daniel;Plascencia, Alejandro;Zinn, Richar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6호
    • /
    • pp.859-863
    • /
    • 2018
  • Objective: Since very little information exists about the topic; in this experiment we compare, in a long-term finishing program, the growth-performance respons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olstein steers where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centration of the diet is reduced from 64% to 51% (dry matter basis). Methods: Sixty Holstein steer calves ($129{\pm}2.2kg$) were blocked by initial weight into five groups and randomly assigned within weight groupings to 10 pens. Calves were fed with a steam-flaked corn-based finishing diets containing 51% higher fiber (HF) or 64% lower fiber (L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Non-structural carbohydrates concentrations were manipulated substituting dried distiller grain with solubles and alfalfa hay for flaked corn. Cattle were weighed every 112 days an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day 308) when the cattle were harveste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Results: Steers fed the HF diet showed improvement (8.8%) in average daily gain (ADG) during the initial 112-d period. This effect was followed by a numerical trend for greater ADG throughout the remainder of the study so that overall ADG tended to be greater (4.9%, p = 0.06) for the HF than for LF.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on dry matter intake. Gain efficiency and estimated dietary net energy (NE) were greater 8.3% and 5.2%, respectively for HF during the initial 112-d period. Overall (308-d) gain efficiency and estimated dietary NE were similar for both dietary treatments. However, due to differences in tabular dietary NE, the ratio of observed:expected dietary NE tended to be greater (4.1%, p = 0.06) for the HF vs LF diet.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on carcass characteristics except for a tendency toward a slightly greater (0.5%, p = 0.09) estimated carcass yield. Conclusion: Reducing the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centration of a conventional steam-flaked corn-based growing finishing diet for Holstein steers can effectively enhance growth performance, particularly during the early growing and late finishing phases.

채소류 중 발암성 농약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n Carcinogenic Pesticides of Vegetables in Korea)

  • 윤재홍;정용;신동천;이종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2호
    • /
    • pp.155-161
    • /
    • 1999
  • Objectio ostinato the carcinogenic risks from the ingestion of some carcinogenic pesticides (CPs) in vegetables sampled at a local agricultural product market in Seoul. Methods: After applying a hazard identification step, we selected four pesticides, such as DDT, dieldrin, folpet, and heptachlor epoxide, for this risk assessment. Concentrations of each pesticide were measured from randomly sampled vegetables. In order to estimate the human exposure levels, we combined the concentration of pesticides in the vegetables with consumption rate of those vegetables. Three scenarios were hypothesized for human exposure assessment. Scenario I was the most conservative which supposed the undetected CPs would be the detection limit values. Scenario II was assumed that the undetected CPs would be a half of the detection limit values, and finally scenario III merely considered only values greater than the detection limit values. We finally presented the estimated carcinogenic risks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risk assessment procedure suggested by U.S. EPA. Results: Pesticides including DDT, dieldrin, folpet and heptachlor epoxide were detected in 9 samples (6%) in the range of $0.0006\sim0.09ppm$. The daily intake levels of carcinogenic pesticides were estimated in the range of $0.0009\sim0.0079{\mu}g/day$. As we expected, excess cancer risks based on scenario I was also the highest $(1.1\times10^{-8}\sim5.5\times10^{-5})$.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estimated risks from the pesticides we investigated were not serious. We, however, propose that a continuos monitoring is needed to make sure for the protection of public health.

  • PDF

여대생의 우유와 유제품 섭취실태 및 골밀도와의 관계 연구 (Relation between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 이정숙;유춘희;정진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5호
    • /
    • pp.451-459
    • /
    • 2006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an association between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dietary data of 1,410 Korean college students living in the vicinity of Seoul are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mean age, height, weight and 8MI of the subjects were 20.4 years, 162.1 cm, 52.7 kg, and $20.0\;kg/m^2$ respectively. The mean intakes of energy, protein, and phosphorus were 2,398.7 kcal, 95.2 g, and 1,302.9 mg respectively, which were above their EER or Recommended Intake (RI), but the mean intake of calcium was 657.8 mg which was below its RI, and 44.0% of the subjects did not meet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of calcium. The daily milk consumption was 131.1 g, and the total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 was 228.7 g. Forty five percent of the subjects consumed $50{\sim}200\;g$ of milk or dairy products. After the analysis of their dietary intak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quintiles of total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 which were considered as major source of dietary calcium. Ninety two subjects from the upper quintile (UQ) and 85 subjects from the lower quintile (LQ) were selected and their bone mineral densities (BMD) of lumbar spine (L1-L4) and the femur were examined by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BMD $(g/cm^2)$of L1, L2, L3, and average of femur were 1.065, 1.150, 1.187, and 0.988 for the UQ subjects,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Q subjects, 1.010, 1.090, 1.146, and 0.942 respectively. Moreover, the T-scores of the UQ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Q. The prevalence rates of osteopenia classified according to WHO's criterion were 12.0% in the UQ. and 20.0% in the LQ group which showed non significant. Blood levels of calcium, and phosphorus of UQ and LQ group were both within the normal range,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ur results showed that UQ group presented the better statu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health. Ther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consumption of more than one and a half cups of milk per day, which corresponds to the least amount of UQ group's consumption, would affect positively on the bone health of Korean adults.

서울시내 대중식사(大衆食事)로 부터 중금속의 총섭취량(總攝取量) 평가(評價) (Assessment of Total Dietary Intake of Some Heavy Metals from Common Restaurant Meals in Seoul Area)

  • 송미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58-467
    • /
    • 1986
  • 서울시내의 대중음식점에서의 판매되는 식사 유해 중금속 (Cd, Pb, Cu, Zn)의 오염정도를 분석하고 이들 식사로 부터 섭취하게 되는 중금속의 1일 총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시료는 설릉탕(또는 갈비탕), 육개장, 된장찌게백반, 비빔밥, 비빔냉면이며 이들을 다시 고형물과 국물로 분리하여 원자흡광분광광도계로 중금속 함량을 분석 하였다. 전 지역의 식사 105점중 고형물과 국물에서의 평균 농도는 각각 Cd 0.034ppm, 0.017ppm, Pb 0.179ppm, 0.073ppm, Cu 0.491ppm, 0.308ppm, Zn 4.624ppm, 1.403ppm이었으며 대중식사 1식당 중금속의 평균함량은 Cd $28{\mu}g$, Pb $145{\mu}g$, Cu $416{\mu}g$, Zn $3654{\mu}g$이었다. 대중식사로 부터 섭취하게 되는 중금속의 1인당 1일 총섭취량을 추정해보면 Cd $84\;{\mu}g$, Pb $434\;{\mu}g$으로 FAO/WHO의 허용량보다 약간 높았으나 Cu와 Zn은 유해한 수준이 아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