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ror correcting cod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3초

PBCA를 이용한 단일 오류 정정 부호의 설계 (Design of Single Error Correcting Code Using PBCA)

  • 조성진;황윤희;김한두;표용수;최언숙;허성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29-233
    • /
    • 2003
  • 오늘날 많은 양의 데이터가 디지털 논리 회로와 상호 연결에 의해서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과 서브시스템 사이에서 전송된다. 데이터가 전송될 때 전자적 잡음, 장치 결함, 시간 오류 등에 의해서 오류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비트 오류가 발생했을 때 패리티 검사회로가 사용된다. 시스템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패리티 검사회로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PBCA의 특성행렬을 이용하여 거리가 3인 부호를 생성하는 방법과 오류 정정에 사용되는 행렬을 구성하는 방법 및 복호기법을 제시한다.

  • PDF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의 이중 오류정정부호 (Double-Error Correcting Code based on Cellular Automata)

  • 조성진;허성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04-309
    • /
    • 2003
  • 오류정정부호는 메모리 시스템 설계,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통신 시스템 설계 등에 널리 이용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통신망의 확대와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한 대용량 데이터의 교환과 처리가 요구되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 시스템 설계에서는 통신 채널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오류정정부호 장치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라 오토마타의 간단하고, 규칙적이며, 모듈화한 특성을 이용하여 이중 오류정정부호의 효율적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PBCA의 상태전이행렬을 이용한 이중 오류정정부호의 설계 (Design of Double-Error Correcting Code using the Transition Matrix of PBCA)

  • 조성진;허성훈;김석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561-1564
    • /
    • 2004
  • 초고속 유무선 통신망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통신 및 저장 시스템 설계 시 통신채널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오류정정부호 장치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셀룰라 오타마타 기반의 오류정정부호를 개선시킨 이중 오류정정부부호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단일 오류정정부호의 설계와 검사어 압축 (Design and Reduction of Check Bits of Single Error Correcting Code)

  • 조성진;황윤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9-1212
    • /
    • 2004
  • 현대사회에서 정보 전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부호이론에 대한 연구가 빠른 속도로 진척되었다. 따라서 잡음이 있는 통신로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정정부호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특별한 행렬을 이용하여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단일 오류정정 부호로 부호화, 복호화하고, 또 부호화과정에서 검사어를 압축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 PDF

5중 오류정정(31, 21) RS 부호의 효율적인 복호 알고리즘과 VHDL 시뮬레이션 (Efficient Decoding Algorithm of 5-error-correcting(31, 21) RS Code and VHDL Simulation)

  • 강경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3-106
    • /
    • 1998
  • RS부호의 복호 기법은 전체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복잡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RS부호의 복호 기법은 다양한 방법에 있으나Euclid알고리즘과 변환복호기법을 이용한 복호 기법은 오류정정능력이 큰 복호 기법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류정정능력이 5이상인 RS부호의 복호 알고리즘에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복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5중 오류 정정(31, 21)RS 부호기 및 복호기를 설계하고VHDL을 사용한 컴퓨터 시뮬레션을 통해서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5중 오류정정 (255, 215) BCH 부호의 효율적인 복호 알고리즘과 이의 VHDL 시뮬레이션 (Efficient Decoding Algorithm of 5-error-correcting (255, 215) BCH Code And Its Simulation with VHDL)

  • 강경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45-5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무선 통신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255,215) BCH부호의 효율적인 복호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5중 에러 정정 부호기 및 복호기를 설계하였다. peterson의 복호기보다 곱셈기, X-or 게이트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역원계산기가 필요 없음이 입증되었고, VHDL을 사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Optimization of a Systolic Array BCH encoder with Tree-Type Structure

  • Lim, Duk-Gyu;Shakya, Sharad;Lee, Je-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1호
    • /
    • pp.33-37
    • /
    • 2013
  • BCH cod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error correcting code for th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random errors in the moder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The conventional BCH encoder that is operated in bit-serial manner cannot adequate with the recent high speed appliances. Therefore, parallel encoding algorithms are always a necessity. In this paper, we introduced a new systolic array type BCH parallel encoder. To study the area and speed, several parallel factors of the systolic array encoder is compared. Furthermore, to 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using tree-type structure, the throughput and the area overhead was compared with its counterparts also. The proposed BCH encoder has a great flexibility in parallelization and the speed was increased by 40% than the original one. The results were implemented on synthesis and simulation on FPGA using VHDL.

Link-Level Performance of Cooperative Multi-Hop Relaying Networks with MDS Codes

  • Sakakibara, Katsumi;Ito, Daichi;Taketsugu, Jumpei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4호
    • /
    • pp.393-399
    • /
    • 2011
  • We evaluate the link-level performance of cooperative multi-hop relaying networks with an maximum distance separable (MDS) code. The effect of the code on the link-level performance at the destination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outage probability and the spectral efficiency. Assuming a simple topology, we construct an absorbing Markov chain. Numerical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improvement can be achieved by incorporating an MDS code. MDS codes successfully facilitate recovery of the message block at a relaying node due to powerful error-correcting capability, so that it can reduce the outage probability. Furthermore, we evaluate the average number of hops where the message block can be delivered.

고품질 통신 시스템을 위한 LDPC 부호의 UEP 성능 분석 (UEP Effect Analysis of LDPC Codes for High-Quality Communication Systems)

  • 유석근;주언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6호
    • /
    • pp.471-478
    • /
    • 2013
  • 미래의 고품질 통신 시스템을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오류제어기법과 메시지 심볼 당 비트수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메시지 비트들은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EEP(equal error protection) 보다는 UEP(unequal error protection)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리고 LDPC(low-density parity check) 부호는 Shannon 한계에 근접하는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 메시지 데이터에 대한 LDPC 부호의 UEP 효과를 분석한다. MSE(mean square error)와 BER(bit error rate)과 심볼당 비트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증명한다. 이를 위하여 전체 메시지비트를 중요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눈 후 전체 부호율과 부호어 길이를 고정시키고 각 그룹의 메시지 비트수를 변화시켜가며 모의실험을 통하여 UEP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심볼당 비트수, 전체 메시지비트에서 각 그룹의 비율, 그리고 각 그룹의 보호정도에 따른 LDPC 부호의 UEP 성능을 분석하였다.

디지탈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오류정정 알고리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ror Correction Algorithm for Digital Audio Systems)

  • 전경일;김남욱;김용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90-97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최소거리 5를 갖는 C1(32, 28) 및 최소거리 7를 갖는 C2(32, 26) 의 RS부호를 사용하여 2중부호를 구성하고 본부호의 오류정정 알고리듬을 R-DAT를 모델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오류정정 능력의 평가를 행한 결과 심볼당 오류률이 0.05 정도로 감소되었다. 복호알고리듬을 주파수 영역에서 실현하는 과정에 제안된 방법이 최근 개발되고 있는 디지탈 신호처리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