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cotyl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호도나무 대목촉성재(臺木促成材) Plastic원통(圓筒)을 이용(利用)한 유경녹기(幼莖綠技) 접목(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Juvenile Grafts with Plastic Tubes for Forcing Stock Growth in Juglans sinensis)

  • 윤기식;구관효;조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89-197
    • /
    • 1989
  • 호두나무(Julans sinensis)의 접목묘(接木苗) 생산(生産)을 위(寫)하여 생장(生長)이 왕성(旺盛)한 유조직(幼組織)을 접합(接合)시키는 방법(方法)으로 종자(種子)에서 발아(發芽)된 유경(幼莖)을 태목(台木)으로 하고 접수(接穗)는 신초녹지(新稍綠枝)로 하여 영지(露地)에서 유경녹지접목(幼莖綠枝接木)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띤 다음과 같다. 1. 태목(台木)의 유경(幼莖)을 비대(肥大)하게 육성(育成)코자 plastic 원통(圓筒)을 설치(設置)하고 파종복토량(播種覆土量)은 6cm높이로 하는 것이 유경(幼莖)굵기를 10.0mm까지 키우는데 효과(効果)가 있었다. 2. 접수(接穗)는 경화이전(硬化以前)의 유지(柔枝)로 정아(頂芽)가 달린 결과지(結果枝) 및 도장지(徒長枝) 8-12cm 깊이로 사용(使用)할 때 90%의 높은 활착율(活着率)을 얻었다. 3. 유경녹지접목(幼莖綠枝接木) 시기(時期)는 5월(月)20일(日)이 적기(適期)이고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은 평균(平均) 86.0% 높게 나타났다. 4. 접목묘(接木苗)의 초기발순(初期發荀)은 접목일(接木日)로부터 25일(日) 후(後) 6월(月)15일(日)에 전체(全體) 72% 활착(活着)하였다. 5. 접목묘고생장(接木苗高生長)은 7월말(月末)로 완료(完了)하고 비대생장(肥大生長)은 10월말(月末)까지 계속(繼續)하였다. 6. 묘고(苗高)와 근원직경간(根元直徑間)의 정(正)의 상관(相關)(r=0.276**)이 있었다. 7. 휴안지접목(休眼枝接木)은 2년간(年間)에 걸쳐 생산(生産)하나 유경녹지접목묘(幼莖綠枝接木苗)는 작업방법(作業方法)이 쉽고 당년(當年)에 생산(生産)되므로 경제적(經濟的)인 효과(効果)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임목(林木)의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발근(幼茎揷穗発根)의 해부학적(解剖学的) 연구(研究) (Anatomical Studies on Root Formation in Hypocotyl and Epicotyl Cuttings of Woody Plants)

  • 최만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0
    • /
    • 1981
  • 임업적(林業的)로 또는 조경적(造景的)으로 이용가치(利用価置)가 높은 24속(屬) 34종(種)의 목본식물(木本植物)을 대상(対象)으로 하여 배축(胚軸) 또는 유경삽수(幼茎揷穗) 발근현상(発根現象)을 해부학적(解剖学的)으로 관찰(觀察)하였다. 사용(使用)된 재료(材料)의 제반특성(諸般特性)과 각종(各種) 실험조건(実驗條件)들의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Table 1과 같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횡단면상(橫断面上)에서 본 외형(外形)은 원형(圓型), 타원형(楕圓形) 및 부정형(不定形) 등(等)으로 삼대별(三大別) 할 수 있으며, 또한 부정형(不定形)은 원형(圓型)에 가까운 것, 타원형(楕圓形)에 가까운 것, 4각형(角形)에 가까운 것 그리고 삼각형(三角形)에 가까운 것 등(等)으로 구분(区分)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외형(外形)은 속간(属間)에는 현저(顕著)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으나, 동속내(同属內)의 종간(種間)에는 대체적(大体的)으로 유사(類似)한 경향이었으며, 속(属)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FAA액(液)에 고정(固定)시킨 조직(組織)에서 관찰(觀察)되는 사실(事実)에 입각(立却)한다. 2.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기부(基部) 횡단면(橫断面)에서 본 유관속(維管束)은 대부분(大部分) 병립유관속(並立維管束)으로서, 배열(排列)은 6 가지의 기본형(基本形)으로 종합(綜合)할 수 있었고, 속간(属間)에는 현저(顕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나 동속내(同属內)의 종간(種間)에는 대체(大体)로 유례(類例)한 경향(傾向)이었으며 간혹 예외(例外)도 있었다. 3. 공시수종(供試樹種)의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부위(発根部位)는 아래와 같이 6가지 부위(部位)로 종합(綜合)할 수 있다. 1)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 : 측백나무(Photo. 4), 천지백(5), 아기단풍나무(6), 단풍나무(7), 은단풍나무(8), 박태기나무(16), 싸리나무(24), 일본목련(28), 함박꽃나무(29), 예덕나무(30), 고추나무(46). 2) 형성층(形成層) 및 사부조직(篩部組織) : 편백(Photo. 1), 화백 2), 자귀나무(12), 회양목(13), 박태기나무(16), 사철나무(17), 벽오동(18), 배롱나무(22), 쥐똥나무(25), 버들쥐똥나무(26), 목련(27), 일본목련(28), 예덕나무(30), 뽕나무(31), 탱자나무(33), 가시나무(40), 찔레나무(44), 때죽나무(47), 쪽동백(48). 3) 제일차방사조직(第一次放射組織) : 사철나무(Photo. 17), 때죽나무(47). 4) 엽(葉) 적(跡) : 상수리나무(Photo. 37), 갈참나무(39). 5) 피층유조직(皮層柔組織) : 가중나무(Photo. 10) 6) 유합조직(癒合組織) : 밤나무(Photo. 15), 배롱나무(23), 갈참나무(39), 가시나무(41), 졸참나무(43). 4. 일반적(一般的) 경향(傾向)으로 배축삽수(胚軸揷穗)의 발근(発根)은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으로 부터, 그리고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発根)은 엽적(葉跡)과 유합조직(癒合組織)으로 부터 근원기(根原基)가 각각(各各) 시원(始源)되었다. 그러나 특수(特殊)한 예(例)로서 가중나무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피층유조직(皮層柔組織)으로부터 근원기(根原基)가 시원(始源)되었으며, 벽오동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타수종(他樹種)에서의 일반적(一般的)인 양상(樣狀)과는 달리 유관속간(維管束間) 유조직(柔組織)과는 관계(関係)없이 유관속계(維管束系)의 목부외위(木部外圍)에 존재(存在)하는 사부유조직(篩部柔組織)으로 부터 근원기(根原基)가 기원(起源)됨을 볼 수 있었다. 5. 발근난이수종별(発根難易樹種別)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発根)은 모두가 증류수(蒸溜水)를 채운 수관병내(水管甁內)에서 가능(可能)하였으나, 발근(発根)이 곤란(困難)한 수종(樹種)에 있어서는 대개 후막조직(厚膜組織)이나 사부섬유조직(篩部纖維組織) 등(等)이 발달(発達)하고 있어 발근(発根)이 늦어진듯 하며, 용이(容易)한 수종(樹種)에서는 그러한 조직(組織)이 없이 발근(発根)이 빨랐다. 그리고 발근난이수종간(発根難易樹種間)의 발근부위(発根部位)는 뚜렷하게 구분(区分)되지 않았고, 각수종별(各樹種別)로 다양(多樣)하였다. 6. 유관속(維管束)의 수(数)가 많은 수종(樹種)은 적은 수종(樹種)에 비(比)하여 대체(大体)로 발근(発根)이 늦었고, 배축(胚軸)의 유관속(維管束) 구조(構造)가 근계(根系)의 유관속체계(維管束体系)를 아직 탈피(脱皮)하지 않은 단계(段階)의 삽수(揷穗)에서는 완여(完余)히 정상적(正常的)인 줄기의 유관속체계(維管束体系)를 갖춘 것에 비(比)하여 발근(発根)이 빨랐다. 발근(発根)이 더 용이(容易)하였다는 사실(事実)은 이 경우 삽수하단조직(揷穗下端組織)이 근경전이부(根茎転移部)에 접근(接近)해 있었다는 가능성(可能性)을 암시(暗示) 할 수 있다. 7. 침활엽수(針濶葉樹) 공(共)히 배축(胚軸)을 삽수(揷穗)로 사용(使用)하였을 경우엔 성숙지(成熟枝)의 삽수(揷穗)와는 달리 대체(大体)로 유관속(維管束) 부근(附近)의 유조직(柔組織)이 근원기형성(根原基形成)의 주요(主要) 위치(位置)가 되며, 침활엽수간(針濶葉樹間)에 뚜렷한 구별(区別)이 어렵다. 8. 유경삽수(幼茎揷穗)에서는 엽적(葉跡)에서 인접(隣接)한 사부(篩部) 및 형성층세포(形成層細胞)들과 관련(関聯)하여 또는 유합조직(癒合組織)으로부터 근원기(根原基)가 형성(形成)되는 예(例)가 많으며,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주(主)로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이 근원기형성(根原基形成)의 주요위치(主要位置)가 되었다가 조직(組織)이 점차 발달(発達)되어감에 따라 그 위치(位置)가 유관속형성층(維管束形成層)으로 바꾸어져 간다.

  • PDF

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으로부터 體細胞胚發생을 통한 식물체 獲得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신종희;손재근;김경민;박소득;김규원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91-294
    • /
    • 1997
  • 작약의 체세포 조직배양에 의한 기내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완숙종자의 접합자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유묘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부위에 관계없이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높은 캘러스 형성률을 나타내었지만 체세포배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2,4-D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자엽을 배양했을 때는 경우는 27.2%의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NH$_4$NO$_3$가 3.3g/L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배양으로 얻은 자엽을 NH$_4$NO$_3$1.65 g/L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체세포배발생률이 80.0%로 가장 높았다. 탄소원의 경우, 30~40 g/L의 sucrose나 40 g/L의 fructose가 참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발생률이 높았다. 자엽은 15~30일 간격으로 3~9회 새배지로 이식한 것이 39.6~41.4%의 높은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으며, 자엽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0.3 mg/L의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39%의 상배축신장율을 나타내었다. 체세포배에서 발아한 유묘의 상배축휴면 타파를 위해서는 4$^{\circ}C$에서 3주 이상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Regulation of Plant Growth by Light-Growth Hormone Interactions

  • Park, Chung-Mo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94-97
    • /
    • 2002
  • Ligh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t does not function independently but exerts its role through coordinated interactions with intrinsic developmental programs, such as hormonal regulation. One typical example is hypocotyl growth in which light signals are modulated through growth hormones. However,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are largely unknown. We demonstrated that brassinosteroi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ight signal transduction in etiolated hypocotyl growth. A light-responsive Ras-like G-protein, Pra2 from pea, physically and functionally interacts with a cytochrome P450 that specifically catalyzes C-2 hydroxylation in brassinosteroid biosynthesis. The cytochrome P450 expression, along with Pra2, is induced in the dark and predominantly localized in the rapidly elongating zone of etiolated pea epicotyls. Transgenic plants with a reduced level of Pra2 exhibit a dark-specific dwarfism, which is completely rescued by brassinosteroid application. On the contrary, overexpression of the cytochrome P450 results in enhanced hypocotyl growth even in the light, which phenocopies the etiolated hypocotyl growth. It is therefore envisioned that Pra2 is a molecular switch that mediates the crosstalk between light and brassinosteroids in the etiolation process.

  • PDF

Influence of Illumination with Xenon or Sulfur Lamp on Growth of Tomato Seedlings

  • Chen, Qilin;Yu, Xinjian;Weng, Jun;Chen, Jinxing;Liu, Yuequn;Gao, Jinpeng;Xu, Chunhe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391-393
    • /
    • 2002
  • Effects of illumination with xenon or sulfur lamp on growth of tomato seedlings were studied. Results showed no obvious differences in net photosynthetic rate and apparent quantum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xenon lamp, illumination with sulfur lamp slightly reduced ChI a and ChI b content in leaves, relatively shortened epicotyl and hypocotyl length, but significantly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 of leaves and promoted root growth of tomato seedling plants.

  • PDF

Effect of Antimitotic Agent Colchicine on In Vitro Regeneration of Watermelon

  • Jaskani Muhammad J.;Raza H.;Khan M. M.;Kwon Sung W.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47-252
    • /
    • 2004
  • In vitro cultures of watermelon were treated with antimitotic agent colchicine to induce ploidy alterations, particularly the induction of tetraploids. Explants cotyledon, embryonic end of seed, transverse sections of epicotyl and hypocotyl were cultured on MS media supplemented with BA ($1{\mu}M$) and colchicine ($0.01\%,\;0.05\%\;and\;0.1\%$). Explants were subcultured on colchicine free media after 4 and 7 days. Colchicine had negative effect on in vitro regeneration but this exhibited explants related response. However, hypocotyl section of seedlings induced maximum callus on $0.01\%$ colchicine. Shoot proliferation was more in cotyledon explants cultured on colchicine ($0.01\%$) for four days. Maximum root induction and root number were recorded in embryonic end explants. Overall, cotyledon and embryonic end explants, and low colchicine concentration ($0.01\%$) was found optimal in watermelon regeneration.

대두(Glycine max) 유식물에서 하배축의 신장과 유관속전이 (Vascular Transition and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Glycin max) Seedlings)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74-281
    • /
    • 1991
  • The relationship between elongation of hypocotyl and its vascular transition was studied with seedling of Glycine max. the hypocotyl elongation proceeded acropetally from the base of hypocotyl toward the cotyledonary node. The vascular transition did not occur in the basal region of the hypocotyl, which did not nearly elongate, with exarch radial vascular bundles. However, the vascular transition was almost comple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hypocoty, more or less elongated, with endarch collateral vascular bundles. Such bundles also appeared in the uppermost region of the hypocotyl, in which the elongation was the most strik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vascular transition was related to the hypocotyl elongation and that the transition of primary vascular system in Glycine max seedling was established by rather rapid process. Our observations of the serial sections from root to hypocotyl revealed that the vascular system through the root-hypocotyl-cotyledon was a unit, to which one of the epicotyl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ransition was superimposed.

  • PDF

Modulation of Phytotropin Receptors by Fluoride and ATP

  • Nam, Myung-Hee;Kang, Bin-G.
    • BMB Reports
    • /
    • 제28권6호
    • /
    • pp.552-555
    • /
    • 1995
  • Treatment of microsomal vesicles isolated from etiolated Pisum sativum L cv. Alaska epicotyl tissue with agents inhibiting protein dephosphorylation, namely NaF and/or ATP, resulted in increased binding of the phytotropin NPA to the putative auxin efflux carriers localized on the plasma membrane. The phytotropin effect was especially conspicuous if the vesicles were simultaneously treated with Triton X-100. Kinetic analysis of the binding indicated the existance of two distinct sites for NPA, each having different affinities. Increased binding of the phytotropin to the membrane where protein dephosphorylation was inhibited was attributable to the increased ligand affinity of both sites. Treatment of tissue segments with flubride was found to enhance in vivo auxin transport. Implications of covalent modification of the auxin efflux carrier complex for the regulation of membrane transport of auxin molecules are discussed.

  • PDF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처리가 활착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s of Post-Epicotyl grafting on the Survival Percentage and Growth in Walnut Trees(Juglans sinensis Dode))

  • 이욱;이문호;정명석;변광옥;현정오;권용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0
    • /
    • 2008
  • 본 연구는 호도나무 유경접목 활착율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접목묘 생산 및 원활한 보급체계 구축을 위하여 접목 후 이식유형 및 처리에 따른 활착율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처리별 평균 접목활착율을 조사한 결과, 접목상 이식 후 비닐덮개 처리구(TPGB1)가 89.02%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처리간 온도와 습도유지 정도에 따라 활착율의 차이가 있었다. 품종별 평균 접목활착율은 KWN-3 개체가 81.59%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에서도 높은 활착율을 보였다. 동일처리 내에서도 품종별 활착율의 차이가 심한 것은 접수의 영양상태와 채취부위 등이 접목활착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활착묘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접목묘의 묘고생장 및 직경생장, 접수의 직경생장 등 조사항목 모두 처리별 활착율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묘고생장은 TPGB1이 평균 15.97cm($2.0{\sim}59.0c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나타냈으며 신초지 및 접수의 직경생장에서도 모두 TPGB1 처리구가 평균 7.55mm($1.65{\sim}14.71mm$)과 8.12mm($1.82{\sim}13.58m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접목묘 신초지의 발생위치에 따른 처리별 생장량의 비교분석에서 묘고생장에서만 측아가 12.05cm로 정아의 9.57cm 보다 매우 우수하였으며 동일 처리내 접수채취 부위 및 신초지 발생위치 따른 활착율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둥굴레의 종자(種子) 구조(構造)와 출아(出芽)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Structure and Seedling Development in Polygonatum odoratum Druce)

  • 강진호;김동일;유영섭;배기수;한경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2-107
    • /
    • 1998
  • 종자번식을 통한 다량육묘로 다량재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둥굴레는 발아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다량육묘 또는 이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는 발아 과정을 체계적으로 자료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둥굴레의 종자 구조와 유묘 출현 특성을 체계화하여 종자를 이용한 다량번식 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 되었다. 둥굴레 종자는 직생배주(直生胚珠)로서 경실(硬實)이었으며, 배는 linear형으로 종자의 중앙에 배열하고 있었다. 발아는 정단조직에 소주아(小珠芽)와 뿌리의 시원체(始原體)를 가지고 있는 배의 아래 부분이 신장하여 돌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배유의 저장 양분은 생장하고 있는 배가 배유를 잠식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배가 돌출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주아(小珠芽)와 뿌리가 발달하고 형성된 소주아(小珠芽)의 정단에 상배축이 돌기하였다. 상배축(上胚軸)은 다량육묘에서 저온처리를 통한 휴면타파 처리 후에야 신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출아 후 형성되는 단자엽과 초장은 출아 중의 광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한편 재배 또는 가공에 이용되는 지하경은 소주아(小珠芽)가 최초의 조직으로 소주아(小珠芽)에 형성된 마디로부터 다음의 지하경이 분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