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friendly ric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친환경 농법에 따른 논 잡초발생 차이와 벼 수량에 끼치는 영향 (Weed Occurrence and Rice Yield as Affected b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Methods)

  • 조광민;이상복;김선;안설화;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9-288
    • /
    • 2011
  • 친환경 벼 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호남 및 충남지역에 위치한 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있는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잡초 발생 양상, 관리 실태 및 쌀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역의 잡초방제 관리실태는 왕우렁이농법> 오리농법> 쌀겨농법> 자라농법 순으로 감소하였다. 친환경 농법별우점 초종은 왕우렁이농법에서 피, 여뀌바늘, 물달개비, 벗풀, 사마귀풀이, 오리농법에서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자귀풀, 미국가막사리가, 쌀겨농법에서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여뀌, 올방개 등이었다. 친환경 농법별 쌀 수량은 제초제 처리 농가($5.2\;MT\;ha^{-1}$)와 비교하여 오리농법 93%, 왕우렁이농법 91%, 쌀겨농법 92%, 자라농법 78%이었다. 쌀 품위 중 완전립율, 사미, 착색립, 동할미, 피해립 등은 관행재배보다 낮았으며, 단백질, 아밀로스, 지방산은 관행재배와 유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구 관리 문제점은 논토양 정지 불균일, 배수관리 소홀, 냉수재배지 등 지형적 불리한 조건으로 잡초가 다발하거나 병해충 발생 및 도복 등으로 인하여 수량이 관행재배 대비 약 32~79%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논에서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를 할 경우 지형적으로 불리한 지역에서 친환경 농법은 배제되어야 하며 균평작업을 통하여 토양 표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친환경 벼 생산체계에 관한 연구 -EM 등 친환경농자재 처리수준이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Rice Production System by Use of Effective Microorganism)

  • 윤성탁;박상헌;김영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7-218
    • /
    • 2007
  • 웰빙시대의 도래와 함께 안전농산물에 대한 국민요구가 커져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쌀 생산체계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유효미생물제제인 Amo, 발효자재인 Amo-bokasi 등 몇 가지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하여 친환경 벼 생산체계를 수립코자 수행한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분얼수는 유효미생물처리 2, 3수준이 각각 48.8, 47.3개로 많았으며, 관행구가 41.0개로 가장 적었다. 2. 수잉기의 엽면적은 유효미생물처리구의 3수준이 $3228.5cm^2$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구는 $2264.7cm^2$로 가장 엽면적이 큰 처리구 3수준에 비하여 70.2% 이었다. 3. 유효분얼수는 관행구가 63.7%로 가장 높았으며, 친환경농자재가 가장 많이 처리된 처리 3수준구가 55.4%로 가장 적었다. 4. 주당수수는 처리구의 3수준구가 20.9개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구가 19.3개로 가장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당립수는 처리구의 2수준구가 85.2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구가 81.9개로 가장 적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처리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5. 등숙율은 관행구가 85.0%로 가장 높았으며, 처리의 3수준구가 81.8%로 가장 낮았으며, 처리간에는 대차 없었다. 1000립중도 마찬가지로 관행구가 21.7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처리구가 전반적으로 약 1g 정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6. 10a당 정조중은 처리구의 2수준구에서 654.3kg으로 가장 많았고, 처리구의 3수준구에서 636.1kg으로 가장 적었으며, 이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

농가실천 친환경 벼재배 논의 토양특성 및 시비추천량 (Establishment on Fertilizer Recommend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Rice Paddy with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 양창휴;안승현;김택겸;김선;백남현;최원영;이장희;정재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7-352
    • /
    • 2011
  • 친환경농업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등 화학 투입제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자원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여 지역자원과 환경을 보전하면서 장기적으로 일정한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 친환경 농업지구 논 토양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여 토양관리 기준을 설정코자 2007년도에 충남, 전북, 전남지역에서 쌀겨농법 2지구, 쌀겨+왕우렁이농법 8지구, 왕우렁이농법 5지구, 오리농법 3지구로 총 18지구를 선정하여 친환경 농법별 토양화학성을 분석하고 농가설문 및 토양물리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농업지구의 토양물리성중 토양경도는 관행농법보다 낮았으며 특히 쌀겨를 시용한 농법의 토양경도가 다른 친환경농법 보다 약간 낮았다. 또한 친환경농업지구의 토양화학성 중 유효인산과 유효규산 함량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낮았으며 친환경농법 중 쌀겨를 시용한 농법의 유효인산과 유효규산 함량은 다른 친환경농법 보다 약간 낮았다. 작물별 시비처방 기준에 따라 토양 양분 부족분에 대한 시비량 ($N-P_2O_5-K_2O$)을 계산한 결과 쌀겨농법에서는 $83-49-30kg\;ha^{-1}$, 쌀겨+왕우렁이 농법 $77-48-30kg\;ha^{-1}$, 왕우렁이농법 $84-42-33kg\;ha^{-1}$, 오리농법 $86-36-34kg\;ha^{-1}$로 나타났다.

벼 유기재배에서 석회보르도액을 이용한 벼 잎도열병 방제 효과 (Effect of Bordeaux Mixture on Control of Rice Leaf Blast)

  • 강범용;김선곤;김도익;이용환;최경주;최용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82-186
    • /
    • 2008
  • 최근 벼 유기재배에서 식물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농자재가 없는 것이 주요한 제한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식물병 방제를 위해 보르도액은 효과적인 예방 농자재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석회보르도액의 벼 잎도열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온실검정결과 6-6식 석회보르도액 100배액을 발병초에 살포한 결과 70.8%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포장검정에서는 4-8식과 6-6식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 결과 잎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73.6%와 71%를 나타냈다. 각각 조제한 석회보르도액의 30배와 50배 처리농도에서는 약해가 발생하였으나, 200배액 살포농도에서는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및 무농약 재배포장에서 벼 잎도열병 방제를 위한 효과적인 친환경농자재로서 석회보르도액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stablishment of suitable rice cultivar in relation to improveme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n paddy field

  • Jo, Won-Sam;Kim, Kyung-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37-137
    • /
    • 2017
  • Rice has important role as a primary food resource in especially the Asia, Korea, China, India, Indonesia and Japan. After development and increasingly using artificial chemical fertilizer, rice is getting high quality and quantity to satisfy ever-increasing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earth environment is more polluted each day. Nowadays consumers are looking for the organic crops or foods that were grown with eco-friendly method and in pure farmland. With the immergence of this trend, it is time to development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One of the methods is growing green manure crops in winter or spring on the fields. For this reasons, growing rye and Italian ryegrass are useful to use green manure to enhance rice production without chemical fertilizers and make the property of the soil eco-friendly. To know how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ice with green manures, rye and Italian ryegras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manure corps were measured. Dry matter yields of the rye and Italian ryegrass were 2.21 and $1.81t\;Ha^{-1}$. And the percentages of the dry matter were 28 and 32%. And, analyzed mineral components in rye and Italian ryegrass were nitrogen, organic matter, $P_2O_5$, CaO, $C_2O$ and MgO. Specially, the percentages of the organic matter and the CaO between rye and Italian ryegrass have difference appreciably. the height of the rice on the Italian ryegrass-fertilized field was the highest among the variant fields. The height of the rice on the non-fertilized field was the lowest. Yield of the Italian ryegrass-, rye- and non-fertilized rice are 805.2, 639.9 and $415.3kg\;10a^{-1}$. At the result, Italian ryegrass is the most effective green manure among the 3 treated-fertilized.

  • PDF

전남지역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분석 (Analysis of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in Jeonnam Province)

  • 고숙주;강범용;김도익;최덕수;김선곤;이관석;김창석;최홍수;김홍재;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1-357
    • /
    • 2011
  • 전남지역에서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연구를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 수행하였다. 전남지역 벼에서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은 서남해안지역인 진도, 완도, 신안, 해남, 무안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피해가 심하였으나, 2010년은 거의 피해가 없었다. 월동 애멸구의 벼 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보독율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연도별로 각각 4.7%, 11.3%, 8.7%, 12.8%이었으며, 진도, 완도, 신안 등 서남해안 지역에서 보독충율이 높게 나타났다. 동력흡충기를 이용한 논에서 $m^2$ 당 월동 애멸구 밀도는 3월에 높았고, 4월에는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4월에 경운에 의해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논에서 애멸구 $m^2$당 평균밀도는 3년동안 7.7, 5.4, 4.0마리였다.

몇 가지 식물추출물의 벼 병해충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on Pathogenic Fungi and Pest of Rice)

  • 황기철;신소희;정남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9-280
    • /
    • 2014
  • 본 연구는 고삼, 정향 및 neem 추출물에 대한 항균 항충력을 규명하여 벼 친환경 재배 포장에서 병해충 방제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추출물에 대한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항균력 실험결과 정향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고삼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는데, 고삼추출물의 300배 희석용액에서도 100%의 살충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정향과 고삼추출물에 각각 목초액(10%)과 유화전착제(10%)를 혼합하여 친환경 벼 재배포장에 살포하고 병해충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정향추출물 처리구의 병해 방제가는 무처리구(100%) 대비 50.8%, 해충 발생은 70.6%를 나타내었고, 고삼추출물 처리구는 무처리(100%) 대비 병해 방제가는 43.1%, 해충 방제가는 79.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삼 및 정향 추출물은 벼 친환경 재배 시 병해는 약 50%, 충해는 약 70%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농자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친환경 토양 관리 방법과 기준에 대한 평가 (Review of Management Methods and Criteria for Environmentally-Sound Soil)

  • 유진희;이교석;정덕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1호
    • /
    • pp.53-67
    • /
    • 2008
  • The principle goal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is to maintain and conserve water and agriculture environment including drinking water resources by properly using agricultural materials such as agricultural chemicals, chemical fertilizers, and other agricultural materials according to act 19 of foster law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o achieve these goals, we have to establish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INM) and Integrated Pesticide Management(IPM) which are most important core technologie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rice cultivation. However, there are lack of criteria and technology for evaluation category according to soil management and its soil classes to practice a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herefore, we should eatablish the standards to produce the safe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soi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basic properties of soil to accomplish the principle aim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 PDF

볏짚을 이용한 유동장 여재제조 및 제지폐수처리 (Manufacture of the Fluidizing Media Using Rice Straw and Paper Wastewater Treatment)

  • 윤병태;김기윤;김성보;최명재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2호
    • /
    • pp.9-16
    • /
    • 2007
  • Biological treatment using the activated sludge method and biofilm process has been developed for paper wastewater treatment. It is known that a water treatment using biofilm process has a high efficiency be-cause a great deal of microorganism could adhere to media. It is also known that various plastics such as polyurethane and polyethylene have been used as the media. In this study polyethylene was used as a media and rice straw an additive agent to improve porous and hydrophilic properties of the media for waste water treatment. Porosity and hydrophilic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was increased as rice straw was added to polyethylene. Paper wastewater was then treated with newly developed environment materials. Rice straw showed excellent results in waste water treatment in various media. This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prepared by polyethylene and rice straw could show similar results to those of a commercial porous polyurethane foam in wastewater treatment.

광역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재배된 벼의 시기별 생장과 무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of Rice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a Season in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 정지은;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3-218
    • /
    • 2017
  • 전국 광역친환경 농업단지 중 전남 장흥과 순천 그리고 충북 옥천 3개소를 대상으로 논에서 재배된 벼의 시기별 생장과 무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장흥 농가는 기본 시험구와 기본 시험구에 N(질소)를 20% 추가한 유박 추가 시비구를 포함하였다. 6월 토양의 pH와 EC 그리고 K 농도는 유박 추가 시비를 포함한 장흥 농가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토양 1kg당 시기별 무기태 N는 이앙 후 6월에 장흥 농가가 다른 농가보다 80 mg 이상으로 많았으나 재배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시기별 벼의 T-N농도는 최고 분얼기에 장흥 농가에서 높았으며 수확기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벼의 P 농도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초장은 순천 농가에서 재배된 벼가 101 cm로 작았으나 건물중은 72 g으로 높게 나타났다. SPAD는 장흥 농가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외래품종인 밀키퀸을 재배한 옥천 농가는 완전립이 93%로 정조중과 현미, 백미 모두 ha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서 연간 조수입도 2,67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옥천 농가는 대량의 퇴비 시비로 수확 후 토양에 잔존하는 양분수지(T-N + P + K)가 ha당 900 kg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에 장흥 농가는 300 kg으로 낮은 수준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