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ity nam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두경 안면부 괴사성 근막염 : 증례보고 (Cranio-Cervico-facial Necrotizing fasciitis)

  • 김일규;양동환;최진호;오남식;김왕식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1호
    • /
    • pp.74-80
    • /
    • 2002
  • Necrotizing fasciitis is rare acute infection showing rapidly necrosis involve the subcutaneous tissue and fascia. If treatment is delayed, infection can spread to involve the subcutaneous tissue, skin, deep fascia, and even muscle in rapid sequence, resulting in widespread necrosis and moderate to severe systemic toxicity. Most commonly this disease presents in the extremities, trunk, and perineum; it is relatively rare in the head and neck regions. If not diagnosed and treated in its early stages, necrotizing fasciitis can be potentially fatal, with a motality rate approaching 40%. Historically, the clinical entity now referred to as necrotizing fasciitis w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under various name. : hospital gangrene, necrotizing erysipelas, streptococcal gangrene, suppurative fasciitis. Necrotizing fasciitis was first described by Wilson in 1952. We experienced 3 cases of necrotizing fasciitis and will report review of literature with diagnosis, treatment, complication and consideration.

FRAD 개념 모형 기반의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d on FRAD Conceptual Model based Authority Data Scheme for Academic Papers)

  • 이석형;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5-25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논문에 나타나는 저자명, 단체명, 학술지명 전거데이터 구조를 FRAD 개념 모형을 적용하여 설계하는데 있다. 학술정보에는 정보의 접근점이 되는 저자, 소속기관, 발행기관, 학술지 및 회의명과 같은 개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개체들간 여러 관계들이 존재하고 있다. FRAD 개념 모형에 따른 학술정보 전거데이터의 표현을 통해 학술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정확한 정보 검색,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지식 표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개체-관계형 학술정보 전거데이터는 학술문서와 연계되며, 개체 식별을 위한 여러 속성 정보 및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Impatiens furcillata Hemsl. (봉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Impatiens furcillata Hemsl. (Balsaminaceae))

  • 지성진;김윤영;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49
    • /
    • 2010
  •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근거로 Impatiens furcillata의 분류학적 실체와 형태적 특성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I. furcillata는 줄기 및 화경에 털이 없고, 화경은 아래로 처지며, 꽃은 홍백색인 특징을 가져 다른 한국산 물봉선속의 분류군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특히, 이와 동일한 형태적 특성을 가지는 I. hypophylla var. koreana (처진물봉선)와 I. kojeensis (거제물봉선)는 I. furcillata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I. furcillata의 국명은 '산물봉선' 대신 '처진물봉선'으로 변경하였다.

SVM 기반의 멘션 페어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Coreference Resolution for Korean using Mention Pair with SVM)

  • 최경호;박천음;이창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3-33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품사태그가 부착된 의존구문 트리와 개체명 정보가 자동 태깅된 말뭉치에서 멘션(Mention)을 추출하고, SVM을 기반으로 한 멘션 페어 모델(Mention Pair Model) 이용하는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의 학습과 평가를 위해서 신문기사를 기반으로 하는 14개의 문서와, 위키피디아(Wikipedia)를 기반으로 하는 200개의 질의응답 문서를 분석하여 상호참조해결 정보가 담긴 말뭉치를 구축했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은 MUC-F1 55.68%, B-cube-F1 57.19%, CEAFE-F1 61.75% 로 나타났다.

직선성분 계수 기반 다중 인덱싱 구성 및 분석 (Composition and Analysis of Linear Component Counting based Multiple Indexing)

  • 박제호;임상민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21
    • /
    • 2010
  • As the compact and easily accessible handheld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s and MP3 players equipped with image acquisition functionality, are becoming widely available among common users, various applications of images are rapidly increasing. Image related services and software such as web-based image presentation and image manipulation for personal or commercial purpose enable users to view contents of remote image archive and to manipulate enormous amount of images in local or network based storage as well. It is necessary for users to identify the images efficiently so that the same images are perceived as one physical entity instead of recognizing them as different images as the trends are getting stronger. In order to support this environment, we propose a method that generates image identifiers or indexing for images within a solid and efficient manner. The proposed image identifier utilizes multiple index values. The integration of component index values creates a unique composite value that can be used as a file name, file system identifier, or database index. Our experimental results on generation of constituent index values have shown favorable results.

Gnaphalium tranzschelii Kirp. (Asteraceae): An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 Lee, Dong Hyuk;Byeon, Jun Gi;Heo, Tae Im;Park, Byeong Joo;Lee, Jun Woo;Kim, Ji Dong;Choi, Byoung H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8-78
    • /
    • 2019
  • Gnaphalium L. is a small herbaceous genus comprising up to 80 species in worldwide (Asia, North to South America, Africa, and Oceania). This genus is highly polymorphic which embrace uncommon broad morphological boundary, and thus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proper taxonomic delimitations for the genus and its relatives. Gnaphalium uliginosum L. was usually found in moist sites such as margins of lake, pond, reservoir, stream banks and paddy field. This squat plant is solely known species in Korean Gnaphalium. During the revisionary study of the tribe Gnaphalieae (Asteraceae) in Korea, however, we found several materials in domestic herbaria (e.g., SNU, KWNU) that identified as G. uliginosum or Gamochaeta pensylvanica (Willd.) Cabrera collected from central to northern Korea, but clearly differ to the morphology of G. uliginosum. The external morphology of the materials is seemingly the only feature at odds with G. uliginosum. However, its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all erected stems (ca. 30cm), hairs on seeds and whitish tomentose hairs on the whole plants are easily distinguished from G. uliginosum, and rather it looks like G. tranzschelii Kirp. Although the name G. tranzschelii have been treated as synonym of G. uliginosum by several authors, its distinct morphology might be sufficient to separate to two independent taxa. Generally, the morphological polymorphisms and hybridization of G. uliginosum complicate the taxonomy of the species, and thus further investigation for their habitat, distribution and morphology were needed to their taxonomic entity.

  • PDF

Note on a Marine Algal Species, Cryptonemia lomation (Halymeniaceae) in Korea

  • Kang, Pil Joon;An, Jae Woo;Nam, Ki Wan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08-313
    • /
    • 2018
  • During a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a red algal species was collected from Giseong, Uljin located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pecies has the generic features of Cryptonemia belonging to Halymeniaceae, and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rect foliose thalli arising from a discoid holdfast, somewhat fan-shaped blade with an evanescent midrib at the base, narrow main axes with blade-like wings of slightly undulate margin, a perennial stalk, and entwined filamentous medulla with refractive stellate cells.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 the Korean alga nests in the same clade with C. lomation from France and C. seminervis from Spain. Genetic divergence among the sequences within the clade was not recognized thus suggesting that both the species are conspecific. The name C. lomation considered to be valid nomenclaturally is accepted for the entity.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e Korean alga is identified as C. lomation, originally described from Italy. This confirms the occurrence of C. lomation in Korea. The species appears to be distributed in the temperate region influenced more or less by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퓨샷 개체명 인식을 위한 Maximal Marginal Relevance 기반의 라벨 단어 집합 생성 (Generating Label Word Set based on Maximal Marginal Relevance for Few-shot Name Entity Recognition)

  • 최효림;황현선;이창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64-671
    • /
    • 2023
  • 최근 다양한 거대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들이 개발되면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퓨삿 학습 환경에서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제안된 템플릿이 필요 없는 프롬프트 튜닝(Template-free Prompt Tuning) 방법을 이용하고, 이 방법에서 사용된 라벨 단어 집합 생성 방법에 Maximal Marginal Relevanc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개체명에 대해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라벨 단어 집합을 생성하도록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 'LOC'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개체명 타입에서 'PER' 타입은 0.60%p, 'ORG' 타입은 4.98%p, 'MISC' 타입은 1.38%p 성능이 향상되었고, 전체 개체명 인식 성능은 1.26%p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라벨 단어 집합 생성 기법이 개체명 인식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됨을 보였다.

  • PDF

공해(公海)에 대한 국가지명 사용: 비판적 관점 (The Use of National Names for International Bodies of Water: Critical Perspective)

  • 알렉산더B.머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07-516
    • /
    • 1999
  • 세계 25개 이상의 공해의 명칭은 특정 국가나 주의 지명을 따라고 있다. 이러한 명칭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몇몇 경우에는 심각한 논쟁을 야기하고 있다. 공해의 국가 지명 사용에 대한 갈등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조사해 보면, 이러한 갈등은 공해의 명칭에 사용된 국가의 지배권에 대한 야망을 우려하는 이해 당사자 국가들 사이에 힘의 관계가 변화하는 곳에서 일어나기 쉬움을 알 수 있다. 이는 공해의 국가지명 사용에 대한 상당한 논쟁이 존재하는 다음의 세 상황-The Persian / Arabian Gulf와 The Sea of Japan / East Sea, 그리고 South China Sea / Bien Dong - 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이러한 논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그 지역에 어떠한 나라도 지명 문제에 대해서 심각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혹은 해양과 결합된 명칭이 그 지역의 다른 국가들에게 역사적인 위협을 주지 않는 경우이다. 국가나 주의 이름을 따른 공해의 명칭은 단일 민족이나 정치적 존재에 의한 소유권이나 통제권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분쟁 가능성이 있다. 지명을 둘러싼 이러한 논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정학적 문맥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 PDF

4D 특수영상에서의 캐릭터 개발과정 제작 공동 작품 연구 - 안성 특수 영상 남사당패 Pre-Production 작품 개발을 기반으로 (A Study on 4D Special Effect Graphics Content Development Creative Processing and Preproduction Design : base on Special Effect Graphics of 'Namsadang' Character Preproduction Report in An-Sung)

  • 조현경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153-168
    • /
    • 2015
  • 영상을 통한 콘텐츠 유통 활성화는 안성지역 활성화 콘텐츠 산업에서 선순환 구조 구축의 필수조건이다. 2015년 국책 사업을 통해 안성지역 지자체에서 제작되고 있는 특수 영상 콘텐츠 제작의 애니메이션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에서 추진되고 있는 핵심 사업이다. 이 연구는 영상 콘텐츠 개발의 과정에서의 기획고찰과 디자인 작품 제작을 통해 시각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캐릭터 개발 과정의 창의성 및 독창성을 비롯하여 심미적인 평가와 작품의 타당성, 비평성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기에,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특수 영상(3D,4D)에서의 지방자치단체의 일반 기존 제작되어진 캐릭터와는 다른 방향의 캐릭터 개발 발전 방향을 위해서 실질적 개발의 비쥬얼이 제시되어져야 할 연구 과제일 것이다, 아울러 개발 진행 단계와 각 단계별로 평가 기준과 실질적 분석의 기획단계의 과정을 통해 제안된 작품이 주요 결과로서 제시되었다. 각 캐릭터 시안의 대한 기획과정의 연구들이 본론에서 제시되고, 결론부분에서 작품 완성 디자인이 중요하게 다루어 졌으며, 개발 사례에 대한 기획방향과 제시된 특수영상의 캐릭터의 특징들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실질 개발 과정에서의 선택과 평가가 객관적이고 결과 지향적이어야 하기에 특수영상의 실질적 캐릭터 작품을 기획과 결과 과정을 제시하며 발표하는 논문은 중요한 요청을 가지며, 제시된 디자인 결과물로서 실질적 가치 개발 창출에 의미를 가짐으로서 가시적 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