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richment factor (EF)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5초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해역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f Coastal Sediments around the Samcheonpo Coal-fired Power Plant)

  • 이두호;임주환;정연태;정년호;강정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2호
    • /
    • pp.85-9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factors governing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Co, Cr, Cu, Fe, Mn, Ni, Pb, and Zn) in the marine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the Samcheonpo coal-fired power plant. Variations of absolute metal concentrations were related to those in textural and/or carbonate and organic matter content. Most elements, except for Pb, showed generally lower contents compared with the average shale concentration, and the effect of anthropogenic input appeared to be minimal in the sediments. Computations of LF%(labile fraction) and EF(enrichment factor) based on all trace metal data indicated the presence of mineralogical control for Co, Cr, Cu, Ni, and Zn, and anthropogenic contamination for Pb,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long term monitoring programmes.

  • PDF

Characterization of Sea Salt in PM10 at Inland and Seashore in Busan, Korea

  • Jeon, Byung-I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799-806
    • /
    • 2010
  • In an effort to characteriz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M_{10}$ and to quantitatively estimate contribution of sea salt aerosol to $PM_{10}$ mass in Busan area, twenty four-hour averaged concentration of $PM_{10}$ were measured in two distinct areas, Gwaebeopdong(inland) and Dongsamdong(seashore), Busan for summer and fall, 2007. It was found that sea salt accounted for 2.9% and 9.5% of $PM_{10}$ mass in Gwaebeopdong and Dongsamdong, respectively for the study period, indicating that contribution of sea salt to $PM_{10}$ mass and total ion concentration in seashore area were consistently higher by a factor of three compared to inland area. Temporal analysis suggested that sea salt contributions to $PM_{10}$ in Dongsamdong were higher in summer due to the southerly sea breez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fluctuation of sea salt contribution for the summer and fall months in Gwaebeopdong. Sea salt enrichment factors($EF_{sea}$) of $K^+$ $Ca^{2+}$ and ${SO_4}^{2-}$ (>10) indicated major contributions from anthropogenic sources and EFs of $Mg^{2+}$ and $Cl^-$ exhibited strong association with oceanic origins for both areas.

2008년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황사의 중금속 오염도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of Asian Dust in Daejeon Area, 2008)

  • 이평구;배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1호
    • /
    • pp.8-25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selected metals in Asian and non-Asian dust collected in Daejeon, Korea between February 2008 and December 2008 and to estimate the pollution level. The geochemical analyses of Asian dust (AD) and Non Asian dust (NAD) show that the mean concentrations of As, Cd, Cu, Pb, Zn, Zr, Sb, Mo and S reached levels up to 16, 209, 31, 43, 81, 28, 31, 122 and 302 times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in uncontaminated Chinese desert soi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AD and NAD serve as an atmospheric repository for trace and heavymetal accumulation. The the enrichment factor (EF) and pollution index (PI) show that AD and NAD were severely contaminated by S, Mo, Zr, Cd, Pb, Zn, Sb, Cu, and As. All indices for these metals showed either strong or notably high level of pollution relative to Chinese desert soil, principally due to the severe atmospheric pollution derived from anthropogenic activities in heavily industrial Chinese cities. Therefore, Mo, Cd, Zr, As, Cu, Sb, Pb, and Zn are the ones most strongly affected by anthropogenic inputs such as airborne pollutants.

통계지표를 활용한 부산지역 조선소 주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조사 연구 (A Geo-statistical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Soil Around a Ship Building Yard in Busan, Korea)

  • 최정식;전수경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07-915
    • /
    • 2018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중금속의 사용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물학적 위해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 지수는 배경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중금속 오염농도를 정규화 시킴으로써 토양 오염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단계 별로 오염 정도를 판단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축인자(Enrichment factor, EF), 축적 계수(accumulation index), 잠재적 생물학적 위험 지표(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등을 이용하여 중공업 근처 토양 내 중금속 오염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금속의 오염 정도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특정 위치에서 아연, 구리, 납 등의 중금속 오염이 관찰 되었다. 농축인자, 축적계수, 생물학적 위험 지표를 통해 일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이 우려할 수준이며, 주변에 존재하는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추가 시료채취 및 추정되는 오염원의 시료 확보 후, 동위원소 분석 및 x-ray 기반 분석을 통해 오염원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주요 국가산업단지에서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 (Soil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Korea)

  • 정태욱;조은정;정재은;지화성;이경심;유평종;김기곤;최지연;박종환;김성헌;허종수;서동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9-76
    • /
    • 2015
  • 국내 주요 국가산업단지인 여수국가산업단지, 울산국가산업단지 및 시화 반월산업단지 주변 토양에 대해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상반기와 하반기로 각각 나누어 시료를 채취한 다음 중금속 농도와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부화지수를 이용한 토양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여수국가산업단지의 토양 중 Cd, Hg, Pb, Zn 및 Ni 농도가 다른 두 국가산업단지에서의 농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화 반월산업단지의 토양에서는 Cu, As 및 Cr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토양오염우려기준은 초과하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여수국가산업단지의 토양 중 중금속 오염이 다른 두 국가산업단지지역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종합석유화학공업기지인 여수국가산업단지에는 입주해있는 석유화학공장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또한 이들을 수송하는 자동차 등의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대상 지역별로 각각 구분하여 토양 중금속 결과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결과 세 지역 모두 고유치가 1 이상인 주성분 2개를 각각 추출할 수 있었다. 여수 및 시화 반월국가산업단지에서는 Cd, Cu, Pb, Cr, Zn 및 Ni이 요인 1로, 그리고 As 및 Hg이 요인 2로 설명되었으며, 이는 두 지역 모두 석유화학과 기계, 철강, 전기전자 등의 배출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산국가산업단지은 Cd, Pb, Cr 및 Ni이 요인 1로, 그리고 Cu, As, Hg 및 Zn이 요인 2로 설명되었으며, 이는 기계, 석유화학, 운송장비, 비제조 등의 배출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화지수(EF)에 의한 오염도 평가 결과 3개 지역 모두 Cd, Pb 및 Zn의 EF값이 1 이상으로 나타나 이들 항목들의 오염개연성이 타 항목들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Cr은 시화 반월국가산업단지에서 1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 지역 모두 Zn의 부화지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국가산업단지 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토양환경 및 주변 농업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중금속 배출원을 파악하여 각 배출원별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광역시 하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City)

  • 김주용;고영구;윤석태;신상은;박배영;문병찬;김해경;오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6-360
    • /
    • 2003
  • 광주광역시 하천에 분포하는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영산강 본류, 황룡강, 광주천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입도, 금속원소, 유기탄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 크기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함량변화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에서는 퇴적물 입도와 주변 지질에 의한 의존성을 보였다. 광주천에서는 생활하수 등의 유기물에 의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오염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계수와 농집지수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이 특별하게 오염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그러나 광주천에서는 부화계수가 P=8.30, Cu=5.54, Zn=14.28, Pb=7.41 등으로, 농집지수는 P=3.78, Cu=2.79,Zn=3.66, Pb=1.59 등을 보였다. 특히, 광주천의 지류인 서방천과 동계천 등이 유입되는 지점에서 중금속 오염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광주광역시를 관류하는 하천들의 금속오염은 상당 부분 도시지역의 생활 하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 및 여수해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 현상민;이태희;최진성;최동림;우한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380-391
    • /
    • 2003
  • 광양만 및 여수해만의 중금속 오염과 저서환경에 대한 퇴적학적, 지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위해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입도의 분포는 사질퇴적물과 점토질 퇴적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퇴적물은 주로 POSCO 우측해역과 여수해만수로에 분포하고 있고 그 외 다른 지역에서는 니질퇴적물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유기물(TOC) 함량은 약 0.2∼2.1%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유기물의 C/N비는 육지에서 공급된 유기물과 현장에서 생성된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유기물의 C/S 비는 일부 지역에서 저서환경이 무산소 혹은 약한 저산소 상태에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저질의 건강상태를 검토하기 위해 퇴적물중 황화수소 (H$_2$S) 함량을 측정한 결과 최고 301 ppm 에서 최소 0.7 ppm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묘도 안쪽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일반적으로 오염된 저서환경을 지시하고 있다. 표층퇴적물에 대한 10종의 중금속 (Co, Ni, Cu, Cd, Pb, Li, Zn, V, Cr, Ba)에 대한 농축비(Ef)와 농집지수(Igeo)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부 지역에서는 평균퇴적 물의 농도에 비해 Pb, Ba는 최고 1∼7배정도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금속 원소에 대해서도 0.8∼3.5 배 농축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V와 Cd에 대한 농집지수는 조사지역 전역을 심하게 오염된 지역, 오염된 지역과 오염되지 않은 지역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금속원소의 농축비 및 농집지수가 높은 곳은 유기물 및 황화수소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세립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공업지역 대기 중 입자에 함유된 미량금속의 화학종별 분석 (Chemical Speciation of Trace Metals in Airborne Particles at An Industrialized Site)

  • 정기호;이지영;문지용;이성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03-511
    • /
    • 2006
  • Airborne particles collected from a heavily industrialized site were analyzed by chemical speciation of seven trace metals: Pb, Cd, Cr, Cu, Ni, Zn, and As. The average concentrations were as follows: $Zn,\;502.0{\pm}230.7;\;Pb,\;176.5{\pm}310.9;\;Cu,\;111.9{\pm}82.7;\;As,\;38.0{\pm}31.0;\;Cr,\;21.5{\pm}24.4;\;Cd,\;20.8{\pm}17.4;\;and\;Ni,\;11.4{\pm}8.4\;ng/m^3$. The median enrichment factor (EF) values of Cd (7,280), As (1,030), Cu (215), Zn (214), and Pb (143), with respect to iron, were much larger than 100. We observed that Cd was found in the soluble and exchange- able form (56.9%), and that Pb and Cr were found in carbonates, oxides and the reducible form (69.8% and 61.1%, respectively). These two forms, which are the most easily absorbed into human body tissue, predominated in most of the trace meta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수포작용제(HD) 분석을 위한 단일방울 미세농축법 연구 (Single Drop Microextraction for Analysis of Mustard Gas(HD))

  • 박양기;김성기;손병훈;박명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5-100
    • /
    • 2008
  • A fast, simple, inexpensive, and reproducible sample preparation for extraction and analysis of HD in water was studied using single-drop microextraction(SDME) and GC-MS. Operation parameters, such as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time were optimized.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1\{mu}L$ trichloroethylene and 10 min extraction time. In these conditions, about 42 times higher enrichment factor(EF) was obtained. The detection limit of HD was $1\{mu}g/L$, and the precision expressed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was about 9.0%.

다양한 통계기법을 이용한 대전 1,2 공단지역의 미량금속원소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irborne Trace Metal Elements using Diverse Statistical Approaches in the Daejeon 1st and 2nd Industrial Complex Area)

  • 이진홍;장미숙;임종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12
    • /
    • 2002
  • A preci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quantification of trace metal levels in airborne particulates using ICP-MS. According to our study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Whatman grade 41 filters produces more precise and representative values of metal concentrations than that using EPM 2000 filters. The mean concentration of PM 10 analyzed during 1998 ~ 2000 was 82 $\mu$g/m$^3$. The concentrations of human carcinogens such as As and Cr were 8.65 and 25.87 ng/m$^3$, respectively, while those of probable human carcinogens such as Cd and Pb were 3.13 and 219.46 ng/m$^3$, respectively. Time-weighted mean concentration, calculated using surface wind speed and direction,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etals of crustal origin and metals of anthropogenic origin. The rectorial concentrations of anthropogenic metals and PM 10 were higher for north -west sector with calm or low wind speed conditions than for any other sector with high wind speed conditions. On the contrary, the rectorial concentrations of crustal metals were high with high wind speed. In addition, the sectorial concentrations of crustal metals were more affected by south-west wind directions, whic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thropogenic metals. The enrichment factor (EF) values of many anthropogenic metals were higher than 50, while those of crustal metals were lower than 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Cr and Ni in Daejeon industrial complex area were 11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background site of Kuopio in Finland, while that of Pb in the complex area was 22 times higher,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