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nea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고등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에 관한 조사 (A Study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Adolescents in High School)

  • 이미련;정복례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adolescents in high school.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22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demographic-environmental factors, Enneagram personality types,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In the nin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ype 9 was highly measured. In the triadic center of Enneagram personality types, gut type was highly measured. In the wing, 9W1 was highly measured and the disruption rather than integration was highly measured. The most development level was level 5. The score of ego-identity was 3.25, the score of self-efficacy was 3.32 and the score of interpersonal ralations was 3.50. The correlation of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Conclusion: There were correlating relationships among ego-identity,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related variables. Also, We need to develop program that improve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s.

  • PDF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 임상실습스트레스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in an area)

  • 성은옥;남현아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성격유형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학생상담 방향 설정 및 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을 하고 있는 일 지역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에니어그램영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지와 임상실습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9개 유형 중 2유형이 47.66%, 힘 중심영역은 감정형 영역이 64.84%로 가장 많았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정도는 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실습교육환경은 6유형,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은 4유형, 실습업무부담과 대인관계갈등은 5유형, 환자와의 갈등은 4유형에서 높았다. 에니어그램 힘중심 영역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정도는 사고형이 실습교육환경과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 모델, 실습업무부담,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환자와의 갈등영역은 감정형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다양하고, 성격유형별 힘 중심영역별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분석을 통한 학생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다.

Enneagram에 의한 조종사 성격 특성과 선호 성격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f Pilot'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Type were classified by Enneagram)

  • 김칠영;정재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61
    • /
    • 1996
  • 현재 항공기 운항 승무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CRM과 LOFT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는 Blake & Mouton에 의한 리더십의 유형을 과업과 사람에 대한 관심 정도로 구분하여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훈련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성격 유형은 보다 복잡하고, 이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 Enneagram에 의한 성격 유형을 고찰하고 민항공사 조종사들의 성격 유형과 성격별 선호 성격 그리고 과업 성과를 높이기 위한 성격간 상호 작용을 규명하여 항공기 운항 승무원 관리에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존감과 불안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Nursing Students)

  • 구현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44-45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nneagram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2 nursing students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enneagram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anxie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enneagram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anxiety for nursing students.

A Curriculum of a Subject of Enneagram for Developing Ke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Park, J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346-351
    • /
    • 2022
  • This paper is to propose a curriculum of a subject of Enneagram which is to be open to develop ke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modern day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ies are being called for key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nnovation in education. Universities suggested various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university's founding philosophies. And they have been reorganiz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a way that it can reinforce key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the aspec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is paper, an example of C university which has 3 key competencies such as, citizenship, character, and creative intelligence was presented. Enneagram is a good candidate for developing self-development which is sub-competency of character.

성장지향점 도서를 활용한 독서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 성격 2번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Reading Guidance Using a Happy Point Books, Focused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 2)

  • 조현양;한윤옥;백진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9-8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별 성장지향점 도서를 활용한 독서지도의 효과 정도를 밝히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J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에니어그램 2번 유형을 대상으로 성장지향점 도서를 활용하여 독서지도를 실시하였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2번의 성장지향점인 4번 유형의 선호도서인 자기성장 테마도서와 4번 유형의 심리적 기능인 자의식이 포함된 도서를 독서지도의 자료로 선정하였으며, 5주 동안 14회로 구성된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검사를 측정도구로 하여 사전-사후 검증을 실행하였으며, 대상 학생들의 수업 참여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특히, 수업 자료로 이용된 성장지향점 도서에 대해 학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성장지향점 도서를 활용한 독서지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창원시 소재 한의원 종사자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Study of Enneagram Character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Engaged in Korean Medical Clinics Located in ChangWon City)

  • 이정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53-7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medicine clinic staff, thereby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job training program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grams for Korean medicine clinic staff with a lot of face-to-face relationship. The researcher visited 50 Korean medicine clinics randomly selected from 255 clinics in Changwon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Questionnaires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those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 IBM 20.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Female respondents comprised 97.6% of the total. The rate of those whose age was between 20 and 25, between 26 and 30, between 31 and 35, between 36 and 40, between 41 and 45, and 46 years old or older was 22.6%, 21.4%, 13.1%, 21.4%, 17.9%, and 3.6%, respectively. The rate of those who were unmarried was 46.4%. As for educational levels,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received lower level education, those who graduated from two-year college,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accounted for 46.4%, 39.3%, and 14.3%, respectively.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the center of energy, 64.3% was in the instinctive center, 20.3% in the thinking center, and 15.5% in the emotional center. As for the personality type of Enneagram, 25.0% belonged to type 8, 22.6% to type 9, 15.5% to type 1, 9.5% to type 5, 8.3% to types 4 and 6, 6% to type 2, and 2.4% to types 3 and 7.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enter of energy and personality typ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Enneagra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집착과 탈중심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nneagram Group Counseling on Clinging and Decentering)

  • 민요달;성승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02-51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중년 여성의 집착과 탈중심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김은희(2006)의 집착 척도와 김준범(2010)의 탈중심화 척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 추후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WIN 22.0을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집단 참여자의 집착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집단 참여자의 탈중심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집단 참여자의 집착을 낮추고 탈중심화를 촉진하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ser-Oriented Storytelling Based on Enneagram)

  • 강정화;오규환;이윤진;석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4-48
    • /
    • 2017
  • 디지털 시대의 서사는 상호작용을 시도하여 왔고, 브랜치 서술로 대표되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은 다수의 선택지 구현에 따른 비싼 제작 비용, 선형적 스토리에 비해 빈약한 서사의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성격적 특성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 스토리텔링을 제안한다. 성격분류지표인 에니어그램과 기호학자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을 사용하여, 스토리와 인물 등의 이야기 재료가 같을 때 사용자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라 같은 이야기에서 서로 다른 주제를 도출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한다. 사용자와 동일한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을 가진 인물, 그 성격 유형의 핵심가치를 각각 행동자 모델의 주체, 대상으로 정하여 행동자 모델의 욕망의 축을 정의함으로써 주제가 결정된다. 에니어그램의 통합과 분열의 방향을 이용하여 행동자 모델의 능력의 축을 정의한다. 이렇게 에니어그램의 9가지 성격 유형별 주제와 그에 따른 행동자 모델을 도출하고 이야기를 만든다. 사용자는 개인의 성격에 따라 이 서로 다른 관점과 주제로 재구성된 이야기들 중 하나를 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계 소설 "토끼전"의 이야기에 위의 구성방법을 적용해보았다. 사용자 중심 스토리텔링은 사용자의 성격과 관점에 따라 그들의 선택을 예측하고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시도이다.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OPAC 탐색 성향과 만족도 (Influences of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n OPAC Searching and Satisfaction)

  • 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9-18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인지적 특성 중 하나인 성격 유형과 OPAC 탐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용자의 정보 탐색 성향 및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KEPTI 에니어그램 검사를 통해 성격 유형을 파악하였고, 데이터는 실험-전 질문지, 태스크A 질문지, 태스크B 질문지, 그리고 실험-후 질문지로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에니어그램의 힘의 중심에 의한 집단 간에는 탐색의 용이성, 탐색시간, 탐색시간의 충분성, 탐색결과의 유용성, 탐색과정의 쉬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호니비언 집단 간에는 질의에 대한 친숙성과 흥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