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hanced UV-B environmen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자외선-B 증가에 따른 소나무 유묘의 생장 단계별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at Different Growth Stag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to Enhanced Uv-B Radiation)

  • 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00
  • 본 연구는 소나무(Pinus densifora S. et Z.) 유묘의 발아전 단계, 자엽 단게 및 1차엽 발생후 단계 등 각각의 생육단계에서의 UV-B 증가 환경에 노출될 때의 생장반응을 탐구하고자 16주 동안 3수준의 UV-B(ambient UV-BBE, ambient + 3.2, ambient + 5.2 KJm-2s-1) 조사량이 설치된 야외 포장에서 실시되었다. UV-B 조사에 의하여 소나무 유묘의 수고생장, 근원경생장 및 건물생산량은 감쇠되었으며 T/R율은 증가하였다. 유묘에 대한 UV-B 처리시작 단계 차이에 따른 생장차이도 관찰되었는데, ambient +3.2 처리구내에서 보면 발아전 단계부터 UV-B 처리를 받은 유묘의 수고생장 및 근원경생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 수준의 UV-B 증가 처리구에서 모두 자엽단계부터 처리를 잗은 유묘의 건물생산량이 각 처리구내에서 가장 낮앗다. 한편 UV-B 증가에 의해 소나무 유묘 침엽의 엽롭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엽록소 a/b율은 증가하였다.

  • PDF

오존층 파괴에 의한 자외선 증가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hanced Ultraviolet-B Radiation on Plants)

  • Hak Yoon Kim;Moon Soo Ch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7-206
    • /
    • 2001
  • 오존층 파괴에 의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 특히 UV-B(ultraviolet-B radiation, 280∼320nm)의 방사량이 증가하고 있다. UV-B는 유전자의 직접적인 손상, 호르몬 분해, 광합성 억제 등 생리·생화학적 대사기구에 영향을 미쳐 육상 생태계와 안정된 식량 확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은 UV-B에 대한 방어 기능을 갖고 있으며 형태적 적응, 광 회복 기능, UV-흡수물질의 생합성 촉진 등을 통해 UV-B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 PDF

자외선(UV-B)이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의 항산화제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violet (UV-B) on Antioxidants and Antioxidative Enzymes in Garden Balsam(Impatiens balsamina L.))

  • 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2
    • /
    • 2010
  • UV-B 처리가 봉선화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을 조사하고자 3주간 UV-B (11.34 kJ $m^{-2}$) 조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UV-B 처리에 의해 봉선화의 엽면적 및 건물중이 약 40% 정도 감소하였으며, MDA 함량은 5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Glutathione 및 ascorbate acid 함량은 UV-B에 의해 산화형이 증가하고 환원형이 감소하였다. 봉선화 잎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mine이 존재하였으며, 3종류 모두 UV-B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효소인 SOD, AP, GR 및 GP의 활성이 UV-B 처리에 의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UV-B 증가는 식물체내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며, 이에 대해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이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외선(紫外線)-B 증가조사(增加照射)에 대한 양수(陽樹)와 중성수(中性樹) 유묘(幼苗)의 생장(生長)과 생리적(生理的) 반응(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Shade Intolerant and Intermediate Tree Seedlings to Enhanced UV-B Radiation)

  • 김종진;홍성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69-476
    • /
    • 1999
  • 본 연구는 증가되는 UV-B 환경에 대한 양수(陽樹)와 중성수(中性樹)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탐구하고자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와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의 유묘(幼苗)를 대상으로 14주 동안 3 수준의 UV-B(ambient UV-$B_{BE}$, ambient+3.2, +$5.2\;KJ\;m^{-2}s^{-1}$) lamp가 설치된 야외포장에서 실시되었다. 자작나무와 물푸레나무 유묘의 수고생장(樹高生長), 근원경생장(根元徑生長), 엽면적(葉面積) 및 건물생산(乾物生産)은 UV-B 증가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UV-B 증가에 의해 물푸레나무 유묘 잎의 기공저항(氣孔低抗)은 커졌으며, 엽록소(葉綠素), carotenoid 함량의 감소는 자작나무에서 보다 물푸레나무에서 더 뚜렷하였다. UV-B 흡수물질(吸收物質)의 현저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작나무에 비해 물푸레나무의 경우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UV-B 증가 환경에 대한 공시 두 수종의 생리적(生理的), 생화학적(生化學的)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고 자외선 환경에서 식물의 광합성, 기공조절 및 탄수화물 합성 (Changes in photosynthesis and carbohydrate synthesis in response to elevated UV-B environment)

  • 윤혜진;성좌경;이수연;이예진;하상건;손연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275-281
    • /
    • 2014
  • The ozone depletion has caused plants to be exposed to an increased penetration of solar ultraviolet-B (UV-B) radiation. Enhanced UV-B radiation may have influence on biological functions of plant in many aspects including 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t is evident that UV-B can potentially impair the performance of all three main component processes of photosynthesis, the photophosphorylation reactions of the thylakoid membrane, the $CO_2$-fixation reactions of the Calvin cycle and stomatal control of $CO_2$ supply. Owing to these depressed reactions, the production and allocation of carbohydrates might be markedly affected, and therefor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 are distinctly reduced. In this review paper, we provide basic theory and further researches in terms of photosynthesis and carbohydrate synthesis in response to elevated UV-B radiation.

잎들깨 수량과 단백질체 발현에 미치는 UV-B의 영향 (Effect of Elevated Ultraviolet-B Radiation on Yield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ome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 홍성창;황선웅;장안철;신평균;장병춘;이철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06
  •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UV-B 선량이 적고 외기와 차단되어 노지와 다른 생육환경 하에서 작물이 생육하게 된다. 본 연구는 UV-B 저선량 상태인 비닐하우스 재배 잎들깨에 UV-B를 처리하여 수량과 생리변화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UV-B는 형광램프를 이용하여 잎들깨 수관으로부터 150, 120, 90 cm에서 처리하여 각각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50% 증가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을 다른 광의 간섭이 없는 밤 9시부터 2시간씩 30일간 처리하였다. UV-B 처리에 의한 잎들깨 수량은 비닐하우스, 노지 자연량 150% 증가량,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 처리 순이었다. 7월 20일의 자연 UV-B 선량은 노지 13.6 kJ/일, 비닐하우스 4.9 kJ/일로 비닐하우스의 UV-B 선량은 노지보다 64% 감소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UV-B가 균일하게 처리된 잎들깨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2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이미지분석하여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UV-B에 의해 33개의 단백질 발현이 변화되었으며 이중 10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단백질의 기능별로 분류하면 광합성과 관련된 것이 40%,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것이 60%였다. UV-B에 의해 발현이 감소한 단백질은 광합성과 관련된 ATP synthase CF1 alpha chain이었고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DNA recombination and repair protein recF, Heat shock protein 21, Catalase, Galactinol synthase, S-adenosyl-L-methionine,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CDPK)-like 로 주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단백질들로서 UV-B는 잎들깨 세포내 DNA와 광합성기구를 손상시켜 광합성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여 수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LED 보광처리가 고추(Capsicum annuum) 묘의 생장과 Phytochemical 함량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lings with Supplemental LED Light in Glass House)

  • ;전익조;정정학;권순태;황재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2-188
    • /
    • 2011
  • 본 연구는 LED(light-emitting diode) 보광이 온실에서 키운 어린 고추의 생장과 식물성 화학물질(phytochemical)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한 LED광원은 청색광(470nm), 적색광 (660nm), 청색 + 적색광, 근적색광(740nm), 그리고 자외선(UV-B 300nm)이며. 실험기간 중의 이들 광원의 Photon flux는 각각 49, 16, 40, 5.0, 그리고 $0.82{\mu}mol\;m^{-2}s^{-1}$이었다. LED 광은 낮 동안 16시간이며 UV-B 는 일몰 후 10분간 발아 후 12일간 매일 처리되었다. 실험 결과, 광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고추의 생장과 식물성 화학물질(phytochemical) 함량에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적색광 처리는 고추의 엽수, 마디수, 엽폭과 생체중을 각각 약 34%, 27%, 50%와 40% 증가되었다. 청색광 처리도 엽장을 약 13% 증가시켰고, 근적색광 처리에 의해 경장과 절간장을 각각 17%와 34% 정도 증가시켰다. 파종 15일에 수확한 고추 잎의 총 안토시아닌(anthocyanin)과 엽록소(chlorophyll) 함량은 청색광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각각 6배와 2배가 증가하였다. 적색광은 총 페놀성화합물(phenolic compound) 함량을 최소 2배로 증가시켰으며, 반면에 근적색광은 아스코르빅 산(ascorbic acid)과 항산화능(antioxidant activity)을 각각 31%와 66%를 감소시켰다.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광산화 공정 및 광촉매산화 공정의 처리효율 비교 (A Study on the Photolytic an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VOCs in Air)

  • 서정민;정창훈;최금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9-148
    • /
    • 2002
  • Both UV Photolysis and Phtocatalytic Oxidation Processing are an emerging technology for the abatema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atmospheric -pressure air streams. However, each process has some drawbacks of their own. The former is little known as an application for air pollution treatment, so it has been a rare choice in the field. Therefore we have to do more experiment and study for its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VOCs. Although the latter has been used in the industrial fields, it still has a difficulty in decomposing high concentrations of VOCs. To solute these problems, we have been studying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hose two technologies.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background gas composition and gas temperature on the decomposition chemistry. It has shown that concentration of TCE and B.T.X., diameter of reactor, and wavelength of lamp have effects on decomposition efficiency. When using Photolysis Process only, the rates of fractional conversion of each material are found at TCE 79%, Benzene 65%, Toluene 68%, Xylene 76%. In case of 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only, the rates of fractional conversion decreased drastically above 30 ppm. When there two methods were combined, the rates of fractional conversion of each material are enhanced such as TCE 93%, Benzene 75%, Toluene 81%, Xylene 90%.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ombination of Photolysis-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is more efficient than each individual process.

Silver Colloidal Effects on Excited-State Structure and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of p-N,N-dimethylaminobenzoic Acid Aqueous Cyclodextrin Solutions

  • 최정관;김양희;윤민중;이승준;김관;정새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219-227
    • /
    • 2001
  • The silver colloidal effects on the excited-state structure and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 of p-N,N-dimethylaminobenzoic acid (DMABA) in aqueous cyclodextrin (CD) solutions have been investigated by UV-VIS absorption, steady-state and time-resolved fluorescence, and transient Raman spectroscopy. As the concentration of silver colloids increases, the ratio of the ICT emission to the normal emission (Ia /Ib) of DMABA in the aqueous $\alpha-CD$ solutions are greatly decreased while the Ia /Ib values in the aqueous B-CD solutions are significantly enhanced.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ICT emission maxima are red-shifted by 15-40 nm upon addition of silver colloids, implying that DMABA encapsulated in $\alpha-CD$ or B-CD cavity is exposed to more polar environment. The transient resonance Raman spectra of DMABA in silver colloidal solutions demonstrate that DMABA in the excited-state is desorbed from silver colloidal surfaces as demonstrated by the disappearance of νs (CO2-)(1380 cm-1 ) with appearance of ν(C-OH)(1280 cm -1) band, respectively. Thus, in the aqueous B-CD solutions the carboxylic acid group of DMABA in the excited-state can be readily hydrogen-bonded with the secondary hydroxyl group of B-CD while in aqueous and $\alpha-CD$ solutions the carboxylic acid group of DMABA has the hydrogen-bonding interaction with water. Consequently, in the aqueous B-CD solutions the enhancement of the Ia /Ia value arises from the intermolecular hydrogen-bonding interaction between DMABA and the secondary hydroxyl group of B-CD as well as the lower polarity of the rim of the B-CD cavity compared to bulk water. This is also supported by the increase of the association constant for DMABA/ B-CD complex in the presence of silver colloids.

IMPACT OF NEIGHBORS IN SDSS GALAXY PAIRS

  • MOON, JUN-SUNG;YOON, SUK-JIN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469-471
    • /
    • 2015
  • How galaxies are affected by their neighboring galaxies during galaxy-galaxy interactions is a long-standing question. We investigate the role of neighbors in galaxy pairs based on the SDSS data release 7 and the KIAS value-added galaxy catalog. Three groups of galaxies are identified: (a) galaxies with an early-type neighbor, (b) with a late-type neighbor, and (c) isolated ones with no neighbor. We compare their UV + optical colors and $H{\alpha}$ emission as indicators of the recent star-formation rate (SFR). Given that galaxies show systematic differences in SFR as functions of morphology, luminosity, and large-scale environments, we construct a control sample in which the galaxies have the same conditions (in terms of morphology, luminosity, and large-scale environment) except for the neighbor's properties (i.e., morphology, mass, and dist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alaxies with a late-type companion demonstrate more enhanced SFR than those with an early-type companion. (2) Galaxies with an early-type neighbor show NUV- and u-band derived SFRs that are even lower than that of isolated galaxies, while they have similar or slightly higher $H{\alpha}$-based SFR compared to isolated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