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 intensity

검색결과 2,016건 처리시간 0.028초

생산 프론티어 접근을 통한 에너지효율 비교: OECD 국가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Energy Efficiency by Production Frontier Approach: Based on OECD Countries)

  • 강상목;김해창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1호
    • /
    • pp.33-6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 프론티어 접근을 통하여 OECD 국가의 에너지효율과 경제성장이 에너지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전통적 에너지 원단위와 생산 프론티어 접근에 의한 에너지효율, 생산 프론티어 상의 효율점에서 에너지 과다 여유분의 존재, 생산의 기술구조 하에서 GDP 증가에 따른 에너지수요 탄력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전통적 에너지 원단위는 방사선 에너지효율과는 상관성이 낮고 여유분 에너지효율, 비방사선 에너지효율과 에너지 최소화 방향의 수평선 에너지효율 등과는 일정한 상관성을 보인다. 에너지 원단위만으로 에너지효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방사선 효율에 의한 에너지효율은 대부분의 국가의 에너지효율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OECD 국가들이 프론티어 상의 효율적인 생산점에서도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이 연평균 17.3%이므로 에너지의 추가 저감이 필요하다. 셋째, OECD 국가의 경제성장에 대한 에너지 탄력성의 평균은 1.1로서 거의 단위 탄력성에 가깝다. 탄력성의 국가별 차이는 존재하고 탄력성이 높은 국가의 에너지수요는 높다.

  • PDF

Arias Intensity 액상화 평가기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rias Intensity Liquefaction Assessment)

  • 황정태;이종근;신은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액상화 평가 대상지반을 선정하여 미국, 일본 등 액상화 발생지역에 적용한 사례가 있는 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Arias intensity 액상화 평가법을 적용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원위치시험을 통한 액상화 간편예측법을 수행하여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지반에 대한 액상화 평가결과, Hachinohe 지진과 Ofunato 지진의 실지진기록을 이용한 Arias Intensity 안전율은 간편예측 안전율과 유사하게 산정되었으며, 설계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된 인공지진의 경우 Arias Intensity 안전율은 간편예측 안전율과 비교하여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액상화를 발생시키는 전단응력비와 발생강도는 응력과 에너지라는 서로 다른 개념으로 산정되지만, 간편예측법의 전단저항응력비와 Arias Intensity의 저항강도는 실지진에 따른 액상화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한 표준관입시험 등 경험적 도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Hachinohe 지진과 Ofunato 지진의 경우 Arias Intensity 평가법과 응력개념의 간편예측법 사이에 비슷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Arias Intensity 액상화 평가법은 응력개념의 간편예측법에서 고려하지 않은 실지진 기록에 대한 가속도, 지속시간, 진폭 등의 지진특성으로 야기되는 지반의 동적변화를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LMDI 방법론을 이용한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분석 (LMDI Decomposition Analysis for GHG Emissions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 김수이;정경화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9-254
    • /
    • 2011
  • 본 논문은 LMDI(Log Mean Divisia Index)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요인분해분석을 하였다.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요인분해는 크게 생산효과, 구조효과, 집약도효과, 에너지믹스효과, 배출계수효과 등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해하였다. 1991년~2007년까지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변화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은 대부분 생산효과에 의해서 증가하였다. 구조효과와 집약도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역할을 하였으며, 구조효과보다는 집약도효과가 더 많이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에너지믹스효과와 배출계수효과는 다른 효과들에 비해서 그 비중이 작지만 온실가스 배출 증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에너지믹스효과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 요인으로 배출계수효과는 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시계열로 에너지 소비를 요인분해 해 본 결과 1998년 IMF 체제를 전후로 온실가스 패턴에 변화가 일어났다. IMF 체제 이후로 구조효과와 집약도효과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이 IMF 체제 이전보다 더욱 두드러진 것이 특징이다. 2001년 이후 진행된 신고유가 시대를 맞이해서는 구조효과와 집약도효과가 더욱 촉진되었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선체 국부 구조물의 진동인텐시티 해석 (Structural Intensity Analysis of Local Ship Structure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이동환;조대승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62-73
    • /
    • 2001
  • 구조물의 진동인텐시티를 파악하면 진동에너지 전달경로와 소산기구 및 주된 기진원의 위치 등을 규명할 수 있어 구조물 진동의 효율적 저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대형 복잡한 구조물의 진동인텐시티를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할 경우 적정한 모델링 기법을 마련하고자 선체의 기본 부재인 평판과 보강판에 대해 유한요소 모델링을 달리 하면서 진동인텐시티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고전적 근사해법인 assumed mode method에 의한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판 구조물의 진동인텐시티 크기 및 방향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고유진동 또는 강제진동 해석의 경우보다 세밀한 유한요소 모델링이 요구되지만 진동에너지 전달경로 규명 등을 위한 정성적 해석은 강제진동해석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유한요소 모델로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두께가 다른 평판 구조물, L-자형 판 구조물 및 3차원 box-girder에 대한 진동인텐시티 해석을 수행하여 다양한 선체 국부 구조물에 있어서의 진동에너지 전달 현상을 고찰하였다.

  • PDF

Trend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its impact on stormwater runoff quality from urban and agricultural catchment

  • Salim, Imran;Paule-Mercado, Ma. Cristina;Sajjad, Raja Umer;Memon, Sheeraz Ahmed;Lee, Bum-Yeon;Sukhbaatar, Chinzorig;Lee, Chang-Hee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1호
    • /
    • pp.45-55
    • /
    • 2019
  • Climate change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which can influence the pollutant build-up and wash-off patterns from the catchment.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varying rainfall characteristics on urban and agricultural runoff pollutant export using statistical approaches. For this purpose, Mann-Kendall and Pettitt's test were applied to detect the trend and breakpoint in rainfall characteristics time series. In addition, double mass curv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drive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runoff and pollutant exports from both catchments.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decreased in total rainfall and average rainfall intensity, while a significant increased trend for antecedents dry days and total storm duration over the study periods. The breakpoint was determined to be 2013 which shows remarkable trend shifts for total rainfall, average rainfall intensity and antecedents dry days except total duration. Double mass curve exhibited a straight line with significant rainfall-runoff relationship indicates a climate change effect on both sites. Overall, higher pollutant exports were observed at both sites during the baseline period as compared to change periods. In agricultural site, most of the pollutants exhibited significant (p< 0.05) association with total rainfall, average rainfall intensity and total storm duration. In contrast, pollutants from urban sit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tecedent dry days and average rainfall intensity. Thus, total rainfall, average rainfall intensity and total duration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agricultural catchment while, antecedents dry days and average rainfall intensity were key factors in build-up and wash-off from the urban catchment.

Effect of Hydride Reorientation on Delayed Hydride Cracking In Zr-2.5Nb Tubes

  • Yun Yeo Bum;Kim Young Suk;Im Kyung Soo;Cheong Yong Moo;Kim Sung S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529-53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orientation of hydrides with applied stress intensity factor, the peak temperature and the time when to apply the stress intensity factor in a Zr-2.5Nb pressure tube during its thermal cycle treatment. Cantilever beam (CB) specimens with a notch of 0.5 mm in depth made from the Zr-2.5Nb tube were subjected to electrolytic hydrogen charging to contain 60 ppm H and then to a thermal cycle involving heating to the peak temperature of either 310 or $380^{\circ}C$, holding there for 50 h and then cooling to the test temperature of $250^{\circ}C$. The stress intensity factor of either 6.13 or $18.4\;MPa\sqrt{m}$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thermal cycle, at the end of the hold at the peak temperatures and after cooling to the test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reorientation of hydrides in the Zr-2.5Nb tube was enhanced with the increased peak temperature and applied stress intensity factor. Furthermore, when the CB specimens were subjected to $18.4\;MPa\sqrt{m}$ from the beginning of the thermal cycle, the reoriented hydrides occurred almost all over the Zr-2.5Nb tube, surprisingly suppressing the growth of a DHC crack. In contrast, when the CB specimens were subjected to the stress intensity factor at the test temperature, little reorientation of hydrides was observed except the notch region, leading the Zr-2.5Nb to grow a large DHC crack.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orientation of hydrides and the DHC crack growth, a governing factor for DHC is discussed along with the feasibility of the Kim's DHC model.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박 진동인텐시티 해석 및 가시화 시스템 (An Analysis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Ship Structural Intensity Using a General Purpose FEA Program)

  • 김병희;이명석;조대승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87-492
    • /
    • 2005
  • The structural intensity analysis, which calculates vibration energy flow from vibratory velocity and internal force of a structure, can give information on sources' power, dominant transmission path and sink of vibration energy. In this study, we present a system for structural intensity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 apply for anti-vibration design of ship structures. The system calculates structural intensity from the results of forced vibration analysis and visualize the intensity using a general purpos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MSC/Nastran and its pre- and post-processor program. To demonstrate the analysis and visualization capability of the presented system, we show and discuss the results of structural intensity analysis for a cross-stiffened plate and a 70,500 OW crude oil tanker

후류가 하류 풍력발전기의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ke on the Energy Production of the Downstream Wind Turbine)

  • 홍영진;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2권3호
    • /
    • pp.32-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복잡지형에 2열 배치된 풍력단지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후류에 의한 풍력발전기의 영향을 분석하여 풍속의 변화 그리고 난류강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풍향 대비 인접 풍력발전기와 이격거리가 날개직경(rotor diameter,RD) 90m 기준 4RD인 경우 후류에 의해 풍속감소 및 난류강도의 증가로 인한 발전량의 감소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후류에의한 급격한 순간풍향의 변화시, 풍력발전기의 불시정지로 발전량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요브레이크를 설비를 보강 함으로써 불시정지 빈도를 감소하고 발전량을 제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산업부분 에너지 효율 변화요인 분석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nergy Efficiency Changes in the Industrial Sector)

  • 나인강;이성근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255-286
    • /
    • 2008
  • 에너지 요인분석의 한계와 확장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계량모형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에너지 원단위 효과의 변화 결정 요인을 계량적 방법으로 추정하고, 에너지 원단위 효과와 계량모형의 에너지 효율 변화를 비교하였다. 에너지 원단위 효과를 이용한 확장모형에서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 에너지 원단위 효과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계량모형에서 에너지 효율 변수의 대변수인 시간추세의 준탄력성을 살펴보면, 단기에서는 -0.02로 장기에서는 -0.04로 서서히 완만한 에너지 효율 개선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요인분해 결과와 계량모형의 결과를 비교하면, 전체 제조업과 8개 제조업 업종 중 4개 업종의 경우 에너지 효율의 개선 방향이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요인분해의 결과와 계량모형의 결과 비교에서 나타나듯이, 두 방법이 서로 교류할 수 없는 방법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학문적 정책적 노력에 따라 최소한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는 학문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철강산업의 에너지효율 지수개발과 관리기법 연구 (Development of Energy Efficiency Indicator in the Steel Industry)

  • 이상엽;안윤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1호
    • /
    • pp.29-48
    • /
    • 2003
  • The Steel Industr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ncrease of energy use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development energy efficiency indicator in the steel industry based on the decomposing approach. This paper develops a logically consistent method for decomposing a change in energy consumption into the effects of three factors structural change, energy intensity and output level. Numerical illustration of the method is given using 1992~2001 data for energy consumption in a virtual works. The most dominant factor is revealed to be the output effect. The energy intensity for the steel industry ha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such a growth was relatively strongly reflected in the decomposi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ffect turned out to be also important during the peri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