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racheal intubation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5초

웹기반 사례중심 심폐응급간호 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Program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ocused on Clinical Scenarios)

  • 김은정;황선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7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Web-based learning program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or clinical nurses and to evaluate learners' responses. Methods: Based on the assessment of learning needs of clinical nurses, a total of three self-directed learning modul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ADDIE (assessment,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 evaluation) model. Results: Each learning module included the emergency treatments and drugs used in the real patients' situations with cardiopulmonary crisis, which had been adopted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city. Real video clips for endotracheal intubation and ACLS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were developed with the help of the staff of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sing a human simulator, $SimMan^{(R)}$. The program published on the Web was evaluated by 20 clinical nurses who are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wards of a C-University hospital. About 80%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tents, design, and learning strategy. Conclusions: Web-based learning programs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are needed for clinical nurses as educational material for staff education to increase their knowledge for making immediate clinical decisions and in giving skilled care in emergency situations.

Obstructive Fibrinous Tracheal Pseudomenbrane Mimicking Tracheal Stents

  • Kim, Ju-Sang;Yu, Ji-Hyun;Kim, Yu-Seung;Kim, Il;Ahn, Joong-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1호
    • /
    • pp.59-61
    • /
    • 2011
  • Obstructive Fibrinous Tracheal Pseudomenbrane (OFTP) is a rarely known but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Sudden respiratory failure shortly after extubation is not infrequent in the ICU. However, these cases are commonly diagnosed as laryngospasm, retention of secretion or laryngeal edema. A 68-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6-day history of progressive dyspnea. She had undergone invasive ventilator care for 24 hours. 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ith improvement after having an extubation. However, after 3 days she re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progressive dyspnea.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OFTP from the results of chest CT and bronchoscopy. This is the first case studied in detail using CT images, pulmonary function test, and bronchoscopy.

A case report of complete cricotracheal separation: an experience from the east coast of Malaysia

  • Atikah, Rozhan;Adam, Mohamad;Khairul Azhar M., Rajet;Mohd Zaki, Ahmad;Suhaimi Bin, Yusof;Wan Emelda Wan, Mohamed;Bathma Devi, Susibalan;Nik Mohd Syukra Nik Abd, Ghani;Zamzil Amin Bin, Asha'ari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5권4호
    • /
    • pp.282-286
    • /
    • 2022
  • Complete cricotracheal separation, which is the most severe type of laryngeal trauma, is an uncommonly seen injury that clinicians have limited experience in managing. However, it is potentially fatal. Due to limited exposure to this condition, mismanagement can occur, which may further aggravate the patient's condition. The most crucial part of managing this injury is to establish a secure airway. Tracheostomy under local anesthesia is the preferred method of airway stabilization, in order to avoid further injuries to the airway caused by endotracheal intubation. Here, we discuss the management of complete cricotracheal separation based on a case experienced in the east coast region of Malaysia, where this type of injury is rarely encountered.

An unstable patient with a large sucking chest wound managed with gauze packing for preventing tension and bleeding control before surgery in Korea: a case report

  • Chang-Sin Lee;Min-Jeong Cho;Tae-Wook Noh;Nak-Jun Choi;Jun-Min Ch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7권2호
    • /
    • pp.147-150
    • /
    • 2024
  •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management of a 51-year-old female patient who arrived at the emergency room with a stab wound to the upper right chest. Immediate medical interventions were undertaken, including blood transfusions and endotracheal intubation. To prevent tension and control bleeding, gauze packing was applied directly through the large open wound. Further surgical exploration identified a laceration in the lung, necessitating a right upper lobe resection. Postoperatively, the patient's vital signs stabilized, and she was subsequently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s. This case highlights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selecting between an emergency department thoracotomy and an operating room thoracotomy for patients with penetrating chest trauma. It also illustrates the role of gauze packing in managing tension and hemorrhage. In summary, gauze packing can be an effective interim measure for stabilizing patients with traumatic injuries, unstable vital signs, and large open chest wounds, particularly when a chest tube is already in place, to prevent tension and facilitate bleeding control prior to surgical intervention.

기계 호흡 치료후 기관내관 제거 전후 호흡 일(Work of Breathing)의 비교 (The Comparison of Work of Breathing Between Before Extubation and After Extubation of Endotracheal Tube)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최강현;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329-337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내관의 삽관은 상기도 저항을 증가시켜 환자의 호흡 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계 호흡으로부터 이탈 시 기관내관을 제거한 후에 오히려 호흡곤란이 증가하여 호흡 부전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기관내관의 제거 후 호흡 일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호흡 일의 변화와 관련된 호흡역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기계 호흡 치료 후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호흡 부전으로부터 회복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관 제거 직전, 제거 직후 및 48시간 까지 호흡 일과 호흡 역학적 지표들을 추적 관찰 하였다. 결 과 : 기관내관 제거 직전에 비해 직후 호흡 일이 감소한 환자는 33%(11/34), 변화 없는 환자는 41%(14/34), 증가한 환자는 26%(9/34)였다. 기관내관 제거 후 48시간 이내 기계 호흡의 보조나 다시 기관내관의 삽관을 받은 이탈 실패 환자는 3군(호흡 일이 증가된 군)에서는 44.4%(4.9), 2군(변화 없는 군)에서는 28.6%(4/14), 1군(감소된 군)에서는 9%(1/11)에서 발생하였다. 기관내관 제거 후 호흡 일의 변화는 주로 평균 기도 저항의 변화와 정 상관 관계를 보였다. 기관내관 제거 후 호흡 일이 증가한 환자군 중에서 48시간까지 호흡일이 측정된 3명의 환자에서 호흡 일과 평균 기도저항은 6시간까지 일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4시간 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기계 호흡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기관내관 제거 직후 가역적인 호흡 일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평균 기도 저항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기관내 관 제거 후 발생한 급성 호흡부전에서 비침습적 양압 환기법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in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after Extubation)

  • 나주옥;임채만;심태선;박주헌;이기만;아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350-362
    • /
    • 1999
  • 연구배경: 침습적 기계 호흡 이탈에 성공하여 기관내 관을 제거하였으나 48시간 이내에 급성 호흡 부전이 경우 또는 환자 스스로 기관내 관을 제거한 후 발생된 급성 호흡 부전은 이탈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며, 발생시 기관내 관의 재삽관을 통한 호흡 보조가 표준적 치료이다. 비침습적 양압 환기법(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이하 NIPPV)은 비 혹은 안면마스크를 통해 양압 환기를 시행하므로 기관내 삽관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계 호흡 이탈 후 기관내 관을 제거한 환자들에게 발생된 급성 호흡 부전 시 NIPPV 적용이 기관내 삽관을 통한 양압 환기 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상은 아산 재단 서울 중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적 환기 치료를 받고 이탈 과정에서 기관내 관 제거 후 48시간 이내에 급성 호흡 부전이 발생한 환자 21명 및 스스로 기관내 관을 제거한 후 급성 호흡 부전이 발생한 환자 7명과 기관내 관이 기도내 분비물로 막혀 기관내 관을 제거한 환자 2명등 총 31명에게 NIPPV를 적용하였다. NIPPV는 환자 상태에 따라 기계 환기 양식, 압력 보조 수준 및 흡입 산소의 양이 조절 되어졌으며, 압력 보조 8cm $H_2O$미만에서 임상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완전히 NIPPV에서 이탈하였다. 성공군은 NIPPV 이탈후 48 시간 이상 자발 호흡을 유지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실패군은 NIPPV 시행 후 호흡 부전 소견이나 동맥혈 가스검사의 호전이 없어 다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여 기계호흡을 시행한 환자로 정의하였다. 각 군에서 NIPPV적용 직전, 적용 후 30분, 6시간, 24시간, NIPPV 이탈 작전 또는 실패하여 기관내 재삽관으로 전환 직전의 심박동수, 분당 호흡수, 동맥혈 가스검사, 압력 보조 수준 및 호기말 양압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총 31명에서 NIPPV를 적용하였고, 이 중 성공군은 14명(45%)이었다. 성공군과 실패군을 비교 시 나이,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APACHE III 점수, 기관 내 삽관 기간, 기관내 관 제거 후 NIPPV적용시까지의 시간 및 NIPPV 시행 직전의 분당 호흡수, 심박동수, 동맥혈 가스검사, $PaO_2/FiO_2$ 등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NIPPV적용 30분후부터 분당 호흡수 및 심박동수는 감소하였고 동맥혈 산소 포화도는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실패군에서는 NIPPV 시행중에 상태가 악화되어 기관내 재삽관을 시행하였고, 재삽관 작전의 분당 호흡수 및 심박동수는 다시 증가하였으며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감소하였다(p<0.05). 기저 질환이 COPD 이면서 기관내 관 제거 후 급성 호흡부전이 발생한 환자 8명에게 NIPPV 적용 시 COPD가 아닌 다른 환자들에 비해 NIPPV의 성공률이 의미 있게 높았다(62% 대 39%)(p=0.007). NIPPV를 이용한 이탈 시 실패의 원인으로는 기저 질환의 악화 없이 동맥혈 가스 소견이 악화되었던 예가 9예, 그 외 기저 질환 악화 5예, 마스크 부적응이 2예, 기도내 분비물 축적이 1예였다. 결 론: NIPPV는 침습적 기계 호흡이탈과정에서 특히 기저질환이 COPD인 환자들의 경우 기관내 관 제거 후 발생한 급성 호흡 부전 시 기관내 관의 재삽관을 피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파괴폐에서 발생한 대량객혈의 치료: Endobronchial Blocker를 이용하여 반대측 폐로의 흡인을 방지한 후 시행한 전폐절제술 (Treatment of Massive Hemoptysis Occurred from Destroyed Lung: Prevention of Contralateral Aspiration Using Endobronchial Blocker Followed by Pneumonectomy)

  • 김슬기;이은정;박지영;김은영;강경환;정회훈;최천웅;김이형;유지홍;곽영태;조상호;정준영;김대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1호
    • /
    • pp.68-71
    • /
    • 2012
  • Untreated massive hemoptysi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tuberculous-destroyed lung, is a serious complication resulting in considerable morbidity and mortality.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ho had active tuberculosis and a destroyed left lung with massive bleeding. He was transferred to our clinic with intubation of a right-sided Robertshaw double lumen tube and right upper lobe collapse likely due to tube malposition that was presented on chest X-ray. Because hemoptysis had persisted after bronchial arterial embolizaton, we replaced the double lumen tube with a conventional endotracheal tube and inserted an endobronchial blocker into the left main bronchus through an endotracheal tube guided by bronchoscopy to prevent aspiration of blood into the right lung. Left pneumonectomy was performed and hemotpysis was ceased. We suggest that the use of an endobronchial blocker followed by surgery may be a safe and effective modality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persistent bleeding after bronchial arterial embolization.

계획된 기관 내관 발관(extubation) 후 재 삽관(reintubation)한 환자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eintubated Patients After 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 손장원;신성준;김태형;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39-442
    • /
    • 2004
  • 배 경 : 기관 내관 발관의 실패와 재 삽관 (extubation failure and reintubation)은 유병률 및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기관 내관을 제거할 때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 발관 실패의 여러 위험 요인이 제시 되었고 발관의 임상적 기준이 제시되었으나 여전히 일부 환자는 발관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계획된 발관을 시도한 환자를 대상으로 발관 실패 및 재 삽관한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공 호흡기 치료 후 호전되어, 충분한 발관에 대한 평가를 거쳐 계획된 발관을 시도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 중 발관 48시간 이내에 호흡 부전으로 재 삽관 한 환자를 발관 실패로 정의하였다. 발관 성공 군과 실패 군간의 임상적 지표, 호흡기능 및 혈역학적 지표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31명의 환자 중 6명이 발관 실패 군이었고, 발관 실패율은 19.4% 였다. 성공 군과 실패 군 간에 나이 (성공군 $60.4{\pm}15.65$, 실패 군 $80.3{\pm}7.17$세), 총 삽관 시간(성공 군 $7.12{\pm}2.47$, 실패 군 $13.83{\pm}2.4$ 일), 분당 심박수 (성공 군 $94.32{\pm}5.77$, 실패 군 $110.67{\pm}3.78$ 회)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고령의 환자나 삽관 기간이 길었던 환자는 발관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발관 전 심장 기능의 적극적인 평가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계호흡환자의 기관절개 시행 시기에 따른 결과 분석 (Outcomes in Relation to Time of Tracheostomy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 신정은;신태림;박영미;남준식;천선희;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65-373
    • /
    • 1999
  • 연구배경: 중환자실에서 기관절개의 적용은 보편화된 술기중의 하나이지만, 장기간의 기계 호흡으로 인한 기관삽관으로부터 기관절개로의 이행의 최적의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조기 기관절개는 기도 유지가 용이하며 구강 관리나 이동이 보다 자유로운 등의 장점이 있으나 병원내 감염이나 기도 협착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관절개의 시행시기와 예후간의 관련성을 관찰하여 최적의 기관 절개의 시기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인 연구로서 35명의 내과계 및 15명의 외과계 환자를 대상으로 APACHE III 점수, 병원내 감염의 발생, 임상상의 변화에 대해 기관절개일로부터 28일간의 자료를 관찰하였다. 조기 및 후기 기관절개의 구분은 기관삽관시로부터 7 일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각각 25명씩이었다. 결과: 조기 기관절개군과 후기 기관절개군은 각각 2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각각 $48{\pm}18$세 및 $63{\pm}17$세로 조기 기관절개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기관절개까지 소요된 평균 시간은 조기 기관절개군과 후기 기관절개군에서 각각 3일과 13일이었다. 대상 환자의 원인 장기별 분포는 뇌 신경계 27례(54%), 호흡기계 14례(28%), 순환기계 4례(8%), 소화기계 4례(8%), 요로계 l례(2%)의 순이었고, 기관절개의 목적은 장기간 기계호흡이 필요하여 사행한 경우가 43례로 가장 많았고, 응급 기도확보가 5례, 그리고 분비물 제거를 위해 시행한 경우가 2례였으며, 조기 및 후기의 양환자군 사이의 기관절개 목적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기관삽관시, 기관절개시와 기관절개일로부터 7일간의 APACHE III 점수는 조기 및 후기군의 양군에서 유사하였다. 이를 다시 생존자군과 사망자군으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도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병원내 감염의 발생, 기계호흡으로부터의 이탈과 사망률에 있어서도 가관절개일로부터 28일간을 관찰시 조기 및 후기 기관절개군간에 어떤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사망률은 기관절개일부터 7일간 관찰기간중에 APACHE III 점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관절개의 시기와 기관절개 이전의 기계호흡 시행 일수 등에 따른 사망률의 증가는 없었다. 결론: 조기 기관절개는 병의 중증도, 원내 감염, 기계호흡의 지속 일수, 그리고 사망률에 있어 어떤 장점도 보이지 않았으며, 최적의 기관절개 시기는 개개의 임상적 판단에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열사병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Heat Stroke)

  • 박노한;류현욱;서강석;박정배;정제명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2호
    • /
    • pp.113-120
    • /
    • 200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lassic heat stroke in Korea and to identify factors of prognosis for heat stroke by comparing a survival group with a non-survival group.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7 patients with heat stroke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1 to February 2005. First,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the classic heat stroke group and the exertional heat stroke group, and compared them. Second, we compared the survival group with the non-survival group. Age, sex, cause, place where patients were found, underlying diseases, cooling time, performance of endotracheal intubation, initial Glasgow Coma Scale, initial vital sign,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reviewed. Results: Five of 27 patients in heat stroke died. The classic heat stroke group had 20 patients. They were old and had more patients in the bathroom than the exertional heat stroke group had. The non-survival group showed lower blood pressure, lower initial GCS score, and higher respiratory rate than the survival group. In laboratory findings, the non-survival group also showed lower$HCO_3-$ level, lower albumin level, lower glucose level, more prolonged PT, and higher CK-MB level than the survival group. Delay in recognition of heat stroke and cooling were poor prognostic factors in heat stroke. Conclusion: The classic heat stroke group had patients who were old and found in the bathroom.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heat stroke is important to reduce mortality. Cooling time, initial GCS score, mean arterial pressure, resipratory rate, $HCO_3-$, PT, CK-MB, and albumin seem to be meaningful when forming a prognosis for heat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