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oxin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5초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sma Endotoxin Level on Survival Tim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이진아;윤호민;최윤선;연종은;이준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2호
    • /
    • pp.57-65
    • /
    • 2014
  • 목적: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은 치료의 이득과 위해를 판단하는 잣대가 되고, 적절한 의료 중재 제공 및 환자의 자율성에 기초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많은 수의 말기암환자는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혈장 내독소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만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56명을 대상으로 혈장 내독소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나이, 성별, 원발 암 부위, 암 치료 경력, 전이여부, 투약상황 및 활력 증후, Karnofsky 수행지수 등의 신체검사, 백혈구 수, 혈색소, 적혈구용적률,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C-반응성 단백질, 총 빌리루빈, 내독소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내독소 농도, 성별, 나이, 백혈구 수, 혈색소, 적혈구 용적률, AST, ALT, 총 빌리루빈, C-반응성 단백질, 통증강도를 단변량 분석한 결과 혈장 내독소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단변량 분석에서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별, 백혈구 수, 총 빌리루빈을 포함하여 시행한 다변량 분석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다발성 장기 부전과 관련이 있는 혈장 내독소 농도는 생존기간 예측인자로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쥐 모델에 있어 내독소에 의한 실험적인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Experimental Endotoxin-Induce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Rat Model)

  • Seok- Cheol Choi;Jai-Young Kim;Jin-Bog Koh;Won-Jae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3-88
    • /
    • 1997
  •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패혈증 환자들에 있어 빈번히 발생하며 여러 가지 위급한 질병 상태에 관계하는 병리학적 상황이다.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기존의 복잡한 임상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서 높은 사망률의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병인적 기전들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의 발생에 관여하는 병인적 기전들의 이해를 위해 전향적으로 계획되었다. 15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해서 연구목적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다:I 군은 대조군으로서 내독소를 투여하지 않은 쥐들이고 (n=5), II 군은 내독소 투여 후 12시간이 경과한 쥐들이며 (n=5), III군은 내독소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한 쥐들이었다 (n=5). 실험적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일정량의 내 독소를 한번에 투여하여 유도하였다 (1mg/kg, E. coli serotype 055:B5). 실험대상 쥐들의 심장으로부터 직접 채혈하여 혈소판수, 섬유소원 농도, plasminogen 농도, 항트롬빈 III 농도, D-dimer, 보체성분 (C3 및 C4)을 측정하였다. 내독소를 투여한 II 군과 III 군에 있어 혈소판수, 섬유소원 (III 군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 plasminogen, 항트롬빈 III, 그리고 C3등의 혈중 농도들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D-dimer 농도는 증가함으로써 명백한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은 내독소에 의해 응고계, 섬유소용해계, 그리고 보체계와 같은 여러경로의 활성화가 유도될 수 있으며, 이로해서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및 이차적인 중복 장기기능 부전이 발생하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이와같은 실험적인 내독소 유도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에 있어 응고계 및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을 일으키는 다양한 기전에 관한 축척된 지식들은 그와 같은 질병의 예방 혹은 치료방법을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장내세균 5종의 Endotoxin 정량 비교 (Comparison of Quantitative Endotoxin against 5 Species of Enterobacteriaceae)

  • 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4-129
    • /
    • 2016
  • 세균내독소는 lipopolysaccharide (LPS)라고 불리우며, 그람음성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물질로 어느 생체재료나 액체에 존재할 수 있다. 세균내독소가 혈액으로 침투되면 발열 및 염증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장내 그람음성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Klebsiella oxytoca, Salmonella Typhi, Shigella sonnei, Morganella morganii의 LPS 양을 비교하려 하였다. 각 세균은 배양한 후 $1.5{\times}10^8CFU/mL$ 농도로 희석하여 동일한 농도로 하였으며 실험의 정당성을 위하여 LAL시약의 표시감도확인시험을 진행하였다. 10 fold dilution 후 1차 시험을 하여 각 균의 반응 end point를 확인하고 바로 윗단계 희석배수 사이에서 2 fold dilution하여 균의 최종 반응 end point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E. coli O157은 75~37.5 CFU/mL, K. oxytoca는 37.5~18.75 CFU/mL, M. morganii와 S. Typhi는 3.75~1.875 CFU/mL, S. sonnei는 7.5~3.75 CFU/mL에서 0.015 EU/mL 이상의 endotoxin이 검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억제인자에 대한 확인시험을 진행하여 결과값을 보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세균내독소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원한다.

경구 내독소와 저산소로 유발된 신생쥐의 괴사성 장염모델에서 caspase-3 활성화를 통한 세포자멸사의 증가 (Neonatal Rat Necrotizing Enterocolitis Model Adopting Oral Endotoxin and Hypoxia Exhibits Increased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ation)

  • 이윤경;김이경;김지은;김윤주;손세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44-52
    • /
    • 2010
  • 목 적 : 경구 내독소와 저산소 자극을 이용하여 신생쥐에서 실험적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NEC)을 유발하고 그 병태생리에서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알아본다. 방 법:신생쥐에 경구로 내독소(5 mg/kg)를 투여하고 8% 저산소 자극을 주어 NEC를 유발하고 성공적으로 NEC가 유발된 군에 caspase 억제제를 전처치하고 비교하였다. 장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은 hematoxylin-eosin 염색한 슬라이드로 하였고 세포자멸사는 TUNEL 염색과 장 조직 caspase-3 활성으로 분석하였다. IEC-6세포주에 내독소와 저산소를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와 Bax, Bcl-2, Fas, FasL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 과:경구 내독소(5 mg/kg)와 반복적으로 60분간 2회 투여된 8% 저산소 자극에 의해서 NEC와 유사한 장병변이 신생쥐에서 유발되었다. 장 조직은 세포자멸사와 caspase-3 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Caspase 억제제 전처치에 의해서 세포자멸사와 NEC의 중증도가 모두 감소하였다. IEC-6 세포주도 내독소와 저산소 자극에 의해서 세포자멸사와 caspase-3 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Bax/Bcl-2 ratio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경구 내독소와 저산소를 이용한 본 NEC 신생쥐 모델은 caspase-3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 상피세포의 세포자멸사가 병태생리에 관여함을 보였다. 본 동물모델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자극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그 병태생리와 치료적 시도의 연구에 더욱 유용하리라고 본다.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Hydroxyl Radical의 병인론적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Hydroxyl Radical in the Pathogenetic Mechanism of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심영수;유철규;김영환;한성구;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20-130
    • /
    • 1992
  • 연구배경 : 급성 폐손상의 기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아직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 산소기의 병인론적 역할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이것도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못한 실정이고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 관해서는 경험이 일천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백서에서 내독소투여 후 시간경과에 따른 폐포내 호중구 침윤과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hydroxyl radical 탐식제인 DMTU와 hydroxyl radical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철분제거제인 DFX 전처치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hydroxyl radical이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호중구의 이동과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에 마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50마리의 백서를 대조군 (n=5, 6hrs; n=5, 24hrs), 내독소 투여군 (n=10, 6hrs; n=10 24hrs), DMTU 전처치군 (n=10, 6hrs) 과 DFX 전처치군 (n=10, 6hrs) 으로 나누어 희생하기 30분전에 $^{125}I$을 붙인 bovine serum albwnin을 꼬리 정맥에 주사하였다. 내독소를 투여하고 6시간과 24시간이 경과한 후 백서를 희생시켜서 폐조직과 말초혈액 1 ml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이 둘의 비를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다른 52마리의 백서를 위와 같이 4개의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 (n=5, 6hrs; n=5, 24hrs), 내독소투여군 (n=7, 6hrs; n=8, 24hrs), DMTU 전처치군 (n=6, 6hrs; n=9, 24hrs)과 DFX 전처치군 (n=5, 6hrs; n=7, 24hrs)] 내독소를 투여하고 6시간과 24시간이 경과한 후 희생시켜 말초혈액과 기관지폐포세척액의 구성세포와 폐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 내독소를 투여하고 6시간이 경과한 후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었다가 24시간이 경과한 후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6시간만에 DMTU와 DFX 전처치로 유의하게 완화되었다. 폐조직으로의 호중구 침윤은 내독소를 투여하고 24시간이 경과한 후 관찰되었는데 이는 DMTU와 DFX 전처치로 완화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hydroxyl radical은 호중구의 이동에는 관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주로 폐포-모세혈관 투과성 증가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Yeast Culture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Alleviates Heat Stress in Dairy Goats

  • Wang, Lizhi;Wang, Zhisheng;Zou, Huawei;Peng, Quanhu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14-82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yeast yeast culture (YC) and vitamin E (VE) supplementation on endotoxin absorption and antioxidant status in lactating dairy goats suffering from heat stress (HS). Three first lactation Saanen dairy goats (body weight $30{\pm}1.5kg$) were surgically fitted with indwelling catheters in the portal vein, mesenteric vein and carotid arter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the basal diet, an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100 IU VE or 30 g YC. Goats were kept in temperature and humidity-controlled room at $35^{\circ}C$ from 8:00 to 20:00 and at $24^{\circ}C$ from 20:00 till the next morning at 8:00. The relative humidity was kept at 55%. HS increased dairy goats' rectum temperature and respiration frequency (p<0.01). HS reduced plasma flux rate of milk goats (p<0.01), but the plasma flux rate increased when the animal wa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hermo-neutral period (p<0.01). The VE supplementation lowered dairy goats' rectum temperature during thermo-neutral period (p<0.01). Mean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YC treatment in rectum temperature and respiration frequency (p>0.05). Dietary supplementation of VE and YC reduced heat stressed dairy goats' endotoxin concentration of the carotid artery and portal vein (p<0.01). However, the endotoxin concentration of the YC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VE treatment (p<0.01). Both VE and YC supplementation decreased heat stressed dairy goats' absorption of endotoxin in portal vein (p<0.01). The endotoxin absorption of YC treatment was higher than the VE treatment (p<0.01). The addition of VE and YC decreased dairy goats' superoxide dismutase (SOD) concentration during HS and the whole experiment period (p<0.01). The addition of VE lowered SOD concentration during thermo-neutral period (p<0.01). Likewise, the addition of VE and YC lowered dairy goats' malonaldehyde (MDA) concentration during HS and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MDA concentration in the VE treatment was lower than the YC treatment (p<0.05). The addition of VE decreased MDA concentration during thermo-neutral period. On the contrast, the addition of VE increased dairy goats total antioxidant potential (TAP) concentration during HS, thermo-neutral and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p<0.01). The addition of YC increased TAP concentration only during HS period (p<0.01). It is concluded that both VE and YC are useful in alleviating HS of dairy goats by weakening endotoxin absorption and promoting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with YC, VE is much more powerful in easing dairy goats HS.

The Enhancement of Endotoxin-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by Elev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in Macrophage

  • Woo, Hyun-Goo;Jung, Yi-Sook;Baik, Eun-Joo;Moon, Chang-Hyun;Lee, Soo-H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4호
    • /
    • pp.447-454
    • /
    • 1999
  •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re known to be modulated by a variety of factors. Recent study showed that endotoxin-induced NO synthesis and iNOS expression were greatly enhanced by elevation of extracellular glucose concentration in murine macrophages. Although this was suggested to be due to the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PKC) via sorbitol pathway, there was lack of evidence for this specul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lineate the underlying intracellular mechanisms of glucose-enhancing effect on endotoxin-induced NO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The levels of NO releas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glucos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also, this effect was observed in LPS-preprimed cells. Concurrent incubation of cells with PKC inhibitors, H-7 or chelerythrine, and LPS resulted in the diminution of NO production regardless of glucose concentration but this was not in the case of LPS-prepriming, that is, chelerythrine showed a minimal effect on the glucose- enhancing effect. PMA, a PKC activat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glucose-associated NO production. Modulation of sorbitol pathway with zopolrestat, an aldose reductase inhibitor, did not affect LPS-induced NO production and iNOS expression under high glucose condition. And also, sodium pyruvate, which is expected to normalize cytosolic $NADH/NAD^+$ ratio,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at concentrations of up to 10 mM. Glucosamine marginally increased the endotoxin-induced nitrite release in both control and high glucose treated group. 6-diazo-5-oxonorleucine (L-DON) and azaserine, glutamine: fructose- 6-phosphate amidotransferase (GFAT) inhibitors,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augmentation effect of high glucose on endotoxin-induced NO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negative modulation of GFAT inhibitors was not reversed by the treatment of glucosamine, suggesting the minimal involvement, if any, of glucosamine pathway in glucose-enhancing effect. In summar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hexosamine biosynthesis pathway and the activation of PKC via sorbitol pathway do not contribute to the augmenting effect of high glucose on endotoxin induced NO production in macrophage-like Raw264.7 cells.

  • PDF

모기유충에 살충력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의 내독소의 용혈성 인자의 정제 (Purification of hemolysin in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

  • 김광현;이기희;홍용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3-307
    • /
    • 1991
  • B.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의 내독소에 존재하는 hemolysin이 Sephadex G-100 gel filtration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으며, 그 순도는 SDS-PAGE와 Ouchterlony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제된 hemolysin의 분자량은 64KDa 의 단백질 이었으며, in vivo 상태에서는 전혀 모기유충에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는 점이 28KDa 단백질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정제된 hemolysin과 B.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의 내독소를 효소항체법으로 검토해 본 결과 양단백질 사이에는 면역학적으로 전혀 상관이 없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 개발에 관한 연구 - B. thuringiensis serovar kurstaki 살충제와 내독소의 치사성과 안전성 연구 -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Bacillus thuringiensis - Lethality and safety tests of the endotoxin and the pesticide of B. thuringiensis serovar kurstaki -)

  • 이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5-328
    • /
    • 1986
  • The lethality to Pieris raepi larvae and the safety tests to mice of the endotoxin crystals and the pesticide of B thuringiensis serovar kurstaki were carried out. The LD50 of the endotoxin (3.9$\times$10$^9$ spores/$m{\ell}$) appeared to be 1$\mu$g and that of the pesticide (2.6$\times$10$^9$ spores/$m{\ell}$) was about 9 $\mu$g. When the endotoxin solution and the pesticide were injected to the mice's intraperitoneal cavities, 10 to 20% of the mite were dead. Also in the case of intracerebral injection 20% of the mice were dead at the doses of 7.8$\times$10$^3$ spores and 100% of the mice were dead at the concentration of 7.8$\times$10$^8$ spores. but the mice in the oral, subcutaneous and inhalation treatment groups were safe and healthy. When the pesticide applied to the cabbage field for raepi larvae, 52 to 65% of the larvae in the field were killed in 4 days postapplication.

  • PDF

Feasibility of On-chip Detection of Endotoxin by LAL Test

  • Lee, Eun-Kyu;Suh, Chang-Woo;Hwang, Sang-Youn;Park, Hyo-Jin;Seong, Gi-Hoon;Ahn, Yoo-Min;Kim, Yang-S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2호
    • /
    • pp.132-136
    • /
    • 2004
  • The LAL (Limulus amebocyte lysate) test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endotoxin is based on the gelation reaction between endotoxin and LAL from a blood extract of Limulus polyphemus. The test is labor intensive, requiring dedicated personnel, a relatively long reaction time (approximately 1 h), relatively large volumes of samples and reagents and the detection of the end-point is rather subjective. To solve these problems, a miniaturized LOC (lab-on-a-chip) prototype, 62mm (L) ${\times}$ 18 mm (W), was fabricated using PDMS (polydimethylsiloxane) bonded to glass. Using this prototype, in which 2mm (W) ${\times}$ 44.3mm (L) ${\times}$ 100 $\mu\textrm{m}$ (D) microfluidic channel was constructed, turbidometric and chromogenic assay detection methods were compared, and the chromogenic method was found the most suitable for a small volume assay. In this assay, the kinetic-point method was more accurate than the end-point method. The PDMS chip thickness was found to be minimized to around 2 mm to allow sufficient light transmittance, which necessitated the use of a glass slide bonding for chip rigidity. Due to this miniaturization, the test time was reduced from 1 h to less than 10 min, and the sample volume could be reduced from 100 to ca. 4.4 ${\mu}$L. In summ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OC using the LAL test principle could be an alternative as a semi-automated and reliabl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endotox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