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영구기록물의 EAD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coded Archival Description(EAD) Elements for the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 박현이;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3-5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검색도구를 공유할 수 있도록 EAD 필수요소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3개의 국외 모범사례인 미국연구도서관협회, 캘리포니아 온라인 아카이브, 미국의회 도서관에서 개발한 모범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공공표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2008)과 실제 국내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과정을 거쳐 설계원칙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EAD를 이용한 기록자료 자동화방안 - Online Archive of California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Constructing a Prototype Union Database of Encoded Archival Descriptions - A Case of the Online Archive of California Project -)

  • 박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3-106
    • /
    • 2002
  • EAD(Encoded Archival Description)는 기록자료의 기술도구인 "finding aid"를 전자형태로 구축하여 온라인 상에 자료의 내용과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Online Archive of California(OAC) 프로젝트는 EAD를 이용하여 기록자료를 통합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 기록자료를 언제 어디서나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자료관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글은 OAC 프로젝트와 EAD의 내용, 구조, 태그, 예 등을 살펴보고, 기록관리학 분야에서의 기여와 한국적 EAD의 필요성에 대해 토론한다.

EAD의 구조와 적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tructure and Application of EAD)

  • 강소연
    • 기록학연구
    • /
    • 제8호
    • /
    • pp.181-2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text within which EAD was developed, to review the elements and the structure of EAD 1.0 version and to introduce EAD as new standard for encoded archival finding aids in Korea. Encoded Archival Description(EAD) has been developed in 1993 in order to facilitate exchange of ISAD(G) descriptive information. EAD is currently administered and maintained jointly by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While development was initiated in the United Stares, international interest and contribution are increasing. EAD is a encoding standard designed specifically for marking up information contained in archival finding aids. From its inception, EAD was based on SGML, and, with the release of EAD version 1.0 in 1998, it is also compliant with XML in order to facilitate easier internet access to SGML-encoded finding aids. EAD is the first tool to preserve the multilevel and hierarchical description manifest in finding aids by providing structures in which to describe entire record collections and increasingly smaller subcomponents thereof such as series, subseries, folders, and even items. Archival institutions can form a EAD consortium and also create a union database of EAD finding aids for the geographically dispersed collections. The EAD DTD provides a flexible way for archives to convert finding aids that exist in paper form into electronic documents or to create new finding aids in electronic form.

기록물정보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와 구현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data for Archival and Manuscripts Control)

  • 김현희;정연대;안수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 자료를 관리 수 있는 메타데이터 형식을 설계하기 위해서 기록물의 목록 규칙과 관련된 네 가지 종류의 자료 즉 국제표준기록물기술$\ulcorner$ISAD(G)], 미국 기록물/필사본 기계가독목록(USMARC AMC), MARC21 및 EAD(Encoded Archival Description)를 참조한 다음 전통적인 도서관 자료와의 통합검색을 가능하게 하면서 기록물정보의 고유의 속성을 잘 표현할 메타데이터(목록 레코드와 인벤토리)를 설계하여 구현해 보았다.

  • PDF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시스템 분석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리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Authority Control System in Collecting Repository -from the case of Archival Management System in Korea Democracy Foundation-)

  • 이현정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91-134
    • /
    • 2006
  • 일반적으로 사적(私的)영역에서 수집되는 기록물, 즉 매뉴스크립트는 물리적 상태가 불량하고 기록물의 전후 맥락과 생산이력에 대한 정보가 파편적으로 수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수집형 기록관에서는 다양한 경로로 수집되는 기록물에 대한 생산기관(생산자)명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기록물 생산배경을 이해할 때 핵심요소인 출처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수집형 기록관에서 이러한 전거제어와 출처정보 관리는 수집부터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는 수집시 관리과정까지 고려하여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이 개발한 사료관리시스템 가운데 전거제어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 및 출처정보 축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료관리에서 전거제어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사료전거제어 기준과 실무절차, 구축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료관 사료전거시스템의 특징은 수집, 등록, 기술 등 각 업무 흐름에 따라 전거를 제어하고 출처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사료의 지적 관리와 검색도구로 이용한다는 것에 있다. 끝으로 이러한 전거관리 사례를 통해 국제표준인 ISAAR(CPF)를 준용하여 기관마다 적합한 형태로 기술요소를 재구성하고 전거파일 유형을 설정하여 표준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수집형 기록관에서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EAD 기반 영구기록물 통합검색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AD-based Integrated Retrieval System for the Archives in Korea)

  • 박상현;김희섭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12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검색시스템을 하나의 통합된 검색과 상호 데이터 교환으로 그 사용성을 높이고자 새로운 통합검색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검색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EAD의 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EAD 요소를 기반으로 새로운 검색시스템(가칭 한국영구기록물 통합검색시스템, KAIRS)을 설계하였고, 기존의 두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시스템을 에뮬레이션을 통하여 새로운 검색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사용성 평가결과 새롭게 구현된 KAIRS가 기존 시스템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Finding Aids of University Archives)

  • 하은미;이수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9-164
    • /
    • 2007
  • 탐색도구는 이용자가 기록물을 접하는 가장 처음 단계로 이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탐색도구의 전산화 표준인 EAD는 웹을 통해 이용자가 탐색도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기록관간 상호운용성을 촉진한다. 이 연구에서는 EAD 탐색도구를 구축한 국내외 기록관에 대해 살펴보고 EAD 탐색도구의 특징적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대학기록관의 탐색도구 서비스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