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hondrom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Reverse Total Shoulder Replacement for an Enchondroma with Concomitant Rotator Cuff Tear Arthropathy: A Case Report

  • Park, Bong-Ju;An, Ki-Yong;Choi, Yong-Su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2호
    • /
    • pp.100-104
    • /
    • 2017
  • Enchondromas generally occur in the hand and uncommonly in the long bones. Because enchondromas are usually asymptomatic, most are discovered during diagnostic radiology for another disease. Here, we describe a case of enchondroma in the right humerus in a 79-year-old female patient with concomitant rotator cuff tear arthropathy. The patient was initially hospitalized for prolonged pain and pseudoparalysis of the right shoulder. The condition, which was histologically confirmed as an enchondroma in the proximal humerus, was treated with curettage and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rare case of an enchondroma with combined rotator cuff tear arthropathy.

종골에 발생한 내연골종: 증례 보고 (Enchondroma of the Calcaneus: A Case Report)

  • 민학진;윤의성;서재성;김진수;백승엽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7-90
    • /
    • 2010
  • 내연골종은 주로 수부에 발생하는 양성 골 종양으로 족부에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족부에서 발생할 경우에도 대개 족지나 원위 중족골이며 종골에서는 발생이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개월간 지속된 좌측 종골 부위 통증으로 내원한 44세 남자 환자에서 시행한 방사선 검사에서 내연골종 의심되어 골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최종 병리검사에서 확진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종골의 내연골종을 1예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원위지골 내연골종에 이차적으로 발생한 심수지 굴곡건의 견열손상 (Flexor Digitorum Avulsion Secondary to Enchondroma of the Distal Phalanx)

  • 문성훈;홍철기;이운상;박진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47-451
    • /
    • 2019
  • 원위지골의 내연골종에 이차적으로 발생한 심수지 굴곡건의 견열 손상은 매우 드문 손상으로 아직 국내에 보고된 증례는 없다. 내연 골종의 병적 골절에 대해서는 단순 소파술 후 주두돌기로부터 채취한 자가골을 이식하여 치료하였고, 견열 손상에 대해서는 끌어내기 봉합법을 통해 골편을 원위지골에 재부착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치료를 통해 골 유합과 좋은 기능적 결과를 얻게 되어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치료 (Treatment of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 김정일;최경운;이인숙;송유선;정재윤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2-168
    • /
    • 2020
  • 목적: 수족부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대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의 결과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내연골종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17년까지 내연골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들 중 그 발생부위가 수족부의 지골, 중수골, 중족골의 단일 병변에 해당하는 총 10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한 74예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부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기능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Wilhelm과 Feldmeier가 제시한 미용상의 문제, 관절 운동성, 파악력, 영상학적 소견 등을 분석하여 우수(excellent), 양호(good), 충분(satisfactory), 불량(poor) 4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74예 중 30예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44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관절운동 제한 및 통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74예 중 18명의 환자에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 중 9명은 비수술적 치료, 9명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다. 단순 방사선 추시상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예에서 모두 골유합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관절운동 범위와 통증, 외형, 근력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족부에서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있어서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 모두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수술적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여러 가지 단점들을 고려하였을 때 비수술적 치료 역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수부에 발생한 연골점액양 섬유종 - 2례 보고 - (Chondromyxoid Fibroma of the Hand - Report of two cases -)

  • 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51
    • /
    • 2000
  • 수부에 발생하는 연골점액양 섬유종은 매우 드문 양성 종양의 하나이다. 방사선학적으로, 병리학적으로, 수부에 발생하는 다른 양성 종양, 즉 내연골증, 연골아세포증, 거대세포수복성 육아종, 연골육종과 감별하여야 한다. 저자는 59세 여자 환자와 19세 남자 환자에서 수지에 발생한 연골점액양 섬유종을 경험하여 이에 보고하며, 특히 비특이적인 임상적 발현과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소견을 기술하였다.

  • PDF

대퇴골두 부위에 발생한 양성 골 종양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치료 (증례보고)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apy of Benign Bone Tumors in the Femoral Head)

  • 서재곤;김응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4-92
    • /
    • 2003
  • 서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양성일지라도 수술적 병변의 제거시 관절내 도달이 필요하거나 대퇴골 경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등 주위 고관절의 구조 및 기능을 위협할 수 있어 그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나 고관절부의 동통을 유발하는 양성 골종양의 치료는 비관혈적 수술이 현재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CT등을 이용한 경피적 절제술,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치료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퇴골 근위부 종양중 비교적 흔한 유골골종(osteoid osteoma)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대퇴골두내 발생한 내연골종 및 피질골내 연골종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통해 치료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1 - 31세 여자환자로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측 둔부 및 서혜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사무직 여성으로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으로 야간에 심해지는 양상으로 통증 발현 시에는 체중 부하하기 힘든 정도였다. 통증에 대해 수개월간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일에서 수주 후 재발되는 양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에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내원 시에는 증상이 점차 심해지며 지속적인 양상으로 소염진통제가 계속적으로 필요하였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고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으나 Patrick 검사 양성이었으며 내회전시 불쾌감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우측 대퇴 골두 부위에 주변으로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면서 1.5${\times}$1cm 크기로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였고 주변에 반응성 부종이 관찰되어.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아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마취하에서 먼저 CT시행 하에 세침 생검을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을 삽입하여 병변 중앙에 위치시킨 후 $80^{\circ}C$ 평균모드으로 6분간 고주파 열 치료 시행하였으며 시행 중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는 마취에서 의식이 돌아온 직후와 술 후 14시간 후에 통증 전혀 호소하지 않았으며 술후 1일째 체중 부하시 통증 없는 것 확인 후 퇴원 조치 하였으며 술 후 3주 뒤 MRI로 병변 부위 관찰하였으며, 이때 병변부위 소실된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5개월째 환자는 일상 생활에 지장없었으며 통증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 검사결과는 피질골내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2- 56세 여자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둔부 및 대퇴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주로 밤에 악화되었으며 1달 전부터 통증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으로 타 병원에서 아스피린으로 통증 조절되었고 유골 골종 의심 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으나 외전과 내회전시 좌측 서혜부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좌측 대퇴골두 하방 내측으로 석회화를 동반하고 주변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비교적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양상으로,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CT시행 하에 먼저 세침 조직 검사를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 삽입 후에 평균 모드 $80^{\circ}C$로 6분간 열 치료 시행하였고 환자는 마취에서 회복 후 즉시 통증 감소 보였으며 시술 후 1일째 이학적 검사 및 체중 부하 시행하였을 때 통증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퇴원 조치 할 수 있었으며 술 후 1달째 MRI검사를 통해 병변이 사라지고 성공적으로 시술을 시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 시술 3개월째로 통증호소없었고 이학적소견상 정상이었다. 조직검사결과는 내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저자들은 수술적으로 치료가 비교적 어려운 대퇴 골두 부위에 발생한 피질골내 연골종과 내연골종에 대해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동통을 유발하는 유골 골종 이외의 다른 양성골 종양에 대해 치료 계획시 그 도달이 어렵거나 술 후 주위 구조물과 관절의 불안정성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경우 그 적응증의 확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악하선(顎下線)과 협점막(頰粘膜)에 발생한 다형성(多形性) 선종(腺腫)의 치험례 (PLEOMORPHIC ADENOMA WHICH OCCURED BUCCAL MUCOSA AND SUBMANDIBULAR GLAND ; TWO CASE REPORTS)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백수;김병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2호
    • /
    • pp.93-98
    • /
    • 1993
  • Pleomorphic adenoma is the most common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constituting over 50% of all cases of tumors of both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 origin and approximately 90% of all benign salivary gland tumors. Of the major salivary glands, the parotid gland is the most common site of the pleomorphic adenoma. It may occur, however, in any of the major gland or in the widely distributed intraoral accessory salivary glands. The palatal glands are frequently the site of origin of tumors, and other parts of origins are as follows: upper and lower lip, buccal mucosa, tongue and occasionally other sites. The majority of the lesions are found in patients in the fourth to sixth decades, but they are also relatively common in young adults and have been known to occur in children. It is somewhat more frequent in women than men. The term "mixed tumor" has masquaeraded under a great variety of names throughout the years (e.g., enclavoma, branchioma, endothelioma, enchondroma), but the term "pleomorphic adenoma" suggested by Willis characterizes closely the unusual histologic pattern of the lesion. The accepted treatment for this tumor is surgical excision. The intraoral lesions can be treated somewhat more conservatively by extracapsular excision. In general, Lesions of the hard palate should be excised with the overlying mucosa, while those in lining mucosa, such as the lips, soft palate and buccal mucosa often can be treated successfully by enucleation or extracapsular excision. In our hospital, we experienced two patients who were identified pleomorphic adenoma which occurred at buccal mucosa, submandibular gland. The lesions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 PDF

족부 및 족근관절에 발생한 종양 (185예) (Tumors in the Foot and Ankle (185 Cases))

  • 최우진;신규호;이진우;한창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7
  • Purpose: Tumors arising in the foot and ankle are uncommon and the malignant tumors are known to be r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sites.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a tumor of the foot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9 to 2006, we analyzed 185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surgically and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of having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One hundred and fifty-seven cases were benign (84.9%) and 28 cases (15.1%) were malignant. 108 cases (58.4%) were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49 cases (26.5%) were benign bone tumors. Malignant tumors included 17 cases (9.2%) of soft tissue tumors, 8 cases (4.3%) of primary bone tumors and 3 cases (1.6%) of metastatic bone tumors. The most common benign soft tissue tumor was ganglion (23 cases). Enchondroma (9 cases)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benign bone tumors.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wa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4 cases). The predilection site for benign tumors was at the forefoot around toes while for the malignant tumor was around the ankle. 4.6%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8.2% of benign bone tumors had locally recurred and 14 cases (50%) of malignant tumor were confirmed as having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The ratio of malignant tumor and its metastasis rate was high. Therefore, the histopathologic confirmation is essential when treating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 PDF

수부 근위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 1례 보고- (Giant Cell Tumor of Proximal Phalanx of the Hand - A case report -)

  • 박용구;임성직;김윤화;한정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0-34
    • /
    • 2000
  • 수부 및 족부의 작은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부위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장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보다 재발율이 높다. 또한 수부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내연골증, 동맥류성골낭종, 거대세포수복성육아종 등과 감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좌측 수부에 부종과 동통을 동반하는 거대세포종을 경험하여 소파술과 골 이식을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단핵구가 주로 분포되어 있는 부위에 많은 수의 거대세포가 미만성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이차적으로 동맥류성 골낭종과 출혈이 동반되었다.

  • PDF

두경부 영역에서 연골성 종양 치험례 (Two Cases of Cartilagenous Tumor in the Head & Neck)

  • 이환구;최용승;태경;이형석;김영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3
    • /
    • 1994
  • Chondrosarcomas are uncommon disease that are noted almostly in the pelvis, sternum, long bone. Chondrosarcoma in the head & neck was very rare. It can occur in nearly every bone in the head and neck. Lesion of the maxilla is most frequent site in head and neck region, but temporomandibular joint is rare site. In chondrosarcoma of temporomandibular joint, its danger lies in its local invasiveness and potential to seed into the meninges. Histologically, the tumor exhibits myxoid feature, which must be differentiated from chordoma and chondroid chordoma. The cranial nerve palsies frequently observed with the tumors are related to the anatomical location. Chondroma is a benign tumor that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hand, foot bone, but can be originated in any cartilagenous area of body. When it occurs in one site, it is named as solitary enchondroma, and when it occurs in multiple site, it is named as multiple enchondromatosis. In the head & neck, it may occur in the nasal cavity, nasopharynx, nasal septum, eustachian tube, palate. But chondroma that occur as neck mass is extremely rare. Recently,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chondrosarcoma confirmed pathology affecting 35-years-old female presenting mass in left temporomadibular joint and a case of chondroma confirmed pathology affecting 26-years-old female presenting neck mass, lef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