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speech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Design of Model to Recognize Emotional States in a Speech

  • Kim Yi-Gon;Bae Yo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6권1호
    • /
    • pp.27-32
    • /
    • 2006
  • Verbal communication is the most commonly used mean of communication. A spoken word carries a lot of informations about speakers and their emotional states. In this paper we designed a model to recognize emotional states in a speech, a first phase of two phases in developing a toy machine that recognizes emotional states in a speech.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extract and analyse the emotional state of a speaker in relation with speech. To analyse the signal output we referred to three characteristics of sound as vector inputs and they are the followings: frequency, intensity, and period of tones. Also we made use of eight basic emotional parameters: surprise, anger, sadness, expectancy, acceptance, joy, hate, and fear which were portrayed by five selected stud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fferentiation of each spectrum features, we used the wavelet transform analysis. We applied ANFIS (Adaptive Neuro Fuzzy Inference System) in designing an emotion recognition model from a speech. In our findings, inference error was about 10%.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reveals that about 85% of the model applied is effective and reliable.

성도 정규화를 이용한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Vocal Tract Normalization for Emotional Variation)

  • 김원구;방현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773-77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감정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감정 변화에 따른 음성 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정이 포함되지 않은 평상의 음성으로 학습된 음성 인식 시스템에 감정이 포함된 인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감정에 따른 음성의 차이가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변화에 따라 화자의 성도 길이가 변화한다는 것과 이러한 변화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임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성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성도 길이 정규화 방법을 사용한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HMM을 사용한 단독음 인식 실험에서 제안된 학습 방법을 사용하면 감정 데이터의 오차가 기존방법보다 41.9% 감소되었다.

음성 변환을 사용한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Emotion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Speech Transformation)

  • 김원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83-68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음성 변환 방법 중의 한가지인 주파수 와핑 방법을 사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감정의 변화에 따라 음성의 스펙트럼이 변화한다는 것과 이러한 변화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임을 관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음성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주파수 와핑을 학습 과정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성도 길이 정규화 방법을 사용한 방법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HMM을 사용한 단독음 인식 실험에서 제안된 학습 방법은 사용하면 감정이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인식 오차가 기존 방법보다 감소되었다.

정서정보의 변화에 따른 음성신호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Speech Signals According to the Various Emotional Contents)

  • 조철우;조은경;민경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37
    • /
    • 1997
  • 본 논문은 정서정보를 포함하여 수집된 음성자료를 여러 가지 신호처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정서정보를 포함한 음성은 연극배우로부터 수집하였으며 분석은 주로 피치정보의 변화와 지속시간을 중심으로 행하였다. 수집된 음성에 대한 분석결과 정서정보의 변화에 따른 음성 파라미터의 변화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 실험은 앞으로의 정서음성정보의 분석에 필요한 기초적 실험으로 의의가 있다.

  • PDF

음향 파라미터에 의한 정서적 음성의 음질 분석 (Analysis of the Voice Quality in Emotional Speech Using Acoustical Parameters)

  • 조철우;리타오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5권
    • /
    • pp.119-130
    • /
    • 2005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m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quality features from the emotional speech database. Six different parameters are measured and compared for 6 different emotions (normal, happiness, sadness, fear, anger, boredom) and from 6 different speakers. Inter-speaker variability and intra-speaker variability are measured. Some intra-speaker consistency of the parameter change across the emotions are observed, but inter-speaker consistency are not observed.

  • PDF

정서음성 합성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Synthesis of Emotional Speech)

  • 한영호;이서배;이정철;김형순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181-184
    • /
    • 2003
  • This paper explores the perceptual relevance of acoustical correlates of emotional speech by using formant synthesizer. The focus is on the role of mean pitch, pitch range, speed rate and phonation type when it comes to synthesizing emotional speec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backing up the traditional impressionistic observations. However it suggests that some phonation types should be synthesized with further refinement.

  • PDF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 감정 인식을 위한 특징 벡터 처리 (Feature Vector Processing for Speech Emotion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 박정식;오영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1호
    • /
    • pp.77-85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feature vector processing technique to guard the Speech Emotion Recognition (SER) system against a variety of noises. In the proposed approach, emotional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from speech processed by comb filtering. Then, these extracts are used in a robust model construction based on feature vector classification. We modify conventional comb filtering by using speech presence probability to minimize drawbacks due to incorrect pitch estimation under background noise conditions. The modified comb filtering can correctly enhance the harmonics,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used in SER. Feature vector classification technique categorizes feature vectors into either discriminative vectors or non-discriminative vectors based on a log-likelihood criterion. This method can successfully select the discriminative vectors while preserving correct emotional characteristics. Thus, robust emotion models can be constructed by only using such discriminative vectors. On SER experiment using an emotional speech corpus contaminated by various noises, our approach exhibited superior performance to the baseline system.

  • PDF

주파수 와핑을 이용한 감정에 강인한 음성 인식 학습 방법 (A Training Method for Emotionally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Frequency Warping)

  • 김원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28-5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정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감정 변화가 음성 신호와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정이 포함되지 않은 평상의 음성으로 학습된 음성 인식 시스템에 감정이 포함된 인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감정에 따른 음성의 차이가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변화에 따라 화자의 성도 길이가 변화한다는 것과 이러한 변화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임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성의 변화를 포함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하여 감정 변화에 강인한 음성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HMM을 사용한 단독음 인식 실험에서 제안된 학습 방법을 사용하면 감정 데이터의 오차가 기존 방법보다 28.4% 감소되었다.

음성의 감성요소 추출을 통한 감성 인식 시스템 (The Emotion Recognition System through The Extraction of Emotional Components from Speech)

  • 박창현;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763-770
    • /
    • 2004
  • The important issue of emotion recognition from speech is a feature extracting and pattern classification. Features should involve essential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emotions. Feature selection is needed to decompose the components of speech and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features and emotions. Specially, a pitch of speech components includes much information for emotion. Accordingly, this paper searches the relation of emotion to features such as the sound loudness, pitch, etc. and classifies the emotions by using the statistic of the collecting data.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 of recognizing emotion from the sound. The most important emotional component of sound is a tone. Also, the inference ability of a brain takes part in the emotion recognition. This paper finds empirically the emotional components from the speech and experiment on the emotion recognition. This paper also proposes th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se emotional components and the transition probability.

감정 적응을 이용한 감정 인식 학습 방법 (A Training Method for Emotion Recognition using Emotional Adaptation)

  • 김원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98-100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존 감정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감정 적응을 사용한 감정 학습 방법이 제안되었다. 감정 적응을 위하여 적은 개수의 학습 감정 음성과 감정 적응 방식을 사용하여 감정이 없는 음성 모델로부터 감정 음성 모델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적은 개수의 감정 음성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학습을 위하여 충분한 감정 음성을 얻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적은 개수의 감정 음성을 사용하는 것은 실제 상황에서 매우 실용적이다. 4가지 감정이 포함된 한국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실험 결과에서 감정 적응을 이용한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