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xhaustion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조절 및 매개효과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of University Hospitals)

  • 이유림;이윤미;장소은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4-55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job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xhaustion of the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and then ver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exhaustion. Methods : Participants are 118 nurses working in two general hospitals.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7.0 and AMOS 18.0 programs by asses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Results : Exhaus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40, p <.001)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26, p =.004).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found between job stress and exhaustion, however,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o reduce the exhaus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it is necessary to assess job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en emotional intelligence along with job stress intervention.

간호사의 업무 부담에 따른 정서적 소진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Burnout on Hospital Nursing Workload)

  • 김유진;김철웅;임효빈;이상이;강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93-102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에서 실시한 교육에 참여하고 설문에 응답한 간호사 중 65개병원의 3,083명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간호사의 71.6%가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였으며 정서적 소진의 평균점수는 33.54점이었다. 둘째, 비간호 업무 경험은 정서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분한 간호인력'변수는 정서적 소진을 높였다. 넷째, '간호등급'은 간호사당 4병상 이상에 비해 3.5-3.9 병상만이 정서적 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다섯째, 내과병동에서 근무하는 경우(OR=2.05)와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 업무 부담을 나타내는 '비간호 업무 경험', '충분한 간호인력', '간호등급'의 3가지 변수 모두 정서적 소진을 간호사 수준과 병원 수준에서 설명력 있는 유의한 변수였다. 또한 '근무부서', '임상경력'도 정서적 소진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나타났다. 즉, 비간호 업무 경험이 많을수록, 간호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간호사당 침상수가 많을수록, 내과부서에 근무하는 경우,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공공기관 감정노동자의 표면행위와 감정소모 - 조직지원과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 (Emotional labor's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in public institution - The moderating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 support -)

  • 한수진;강소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109-123
    • /
    • 2018
  • 민간 기업에서 뿐만이 아니라 공공기관의 대민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에게도 중요한 개념으로 강조되고 있는 감정노동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이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민원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의 부정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적 지원으로는 조직지원인식(POS)와 상사지원을 구분하여 그 완화효과를 파악하였으며, 더 나아가 어떠한 지원이 보다 효과가 큰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모델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에서 민원을 처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종업원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행위는 감정소모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내면의 감정과 표현된 감정 간의 부조화로 인한 감정소모의 증가는 기존의 민간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POS와 상사 지원 모두 표면행위와 감정소모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OS와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는 상사지원의 조절효과가 보다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표면행위가 감정소모의 영향을 보다 강하게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민원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 대상의 감정노동 교육 실시의 중요성과 민원담당 공무원들의 감정소진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불어, 높은 수준의 POS와 상사지원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조직 지원제도 및 리더십훈련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TX Attendants'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 김태성;허찬영;황보작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1-77
    • /
    • 2013
  • 본 연구는 KTX승무서비스 종사자 263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으로 구분하고, 각각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내면행동은 감정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표면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TX 승무서비스 종사자의 내면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표면행동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감정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이직예방을 위해서는 감정관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창업자의 희망이 감정적 소모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Hop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이종건;나병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4호
    • /
    • pp.1-8
    • /
    • 2013
  • 창업자의 희망은 창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창업자의 희망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이해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희망이 감정적 소모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웰빙은 자아수용, 개인적 성장, 긍정적 관계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료는 창업기업의 156명의 CEO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창업자의 희망이 클수록 그들의 감정적 소모가 낮아지는 반면, 심리적 웰빙이 높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분석결과는 창업자의 감정적 소모가 클수록 그들의 심리적 웰빙이 낮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PDF

The Effect of Customer Demands and Resources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Frontline Employees

  • JAN, Ihsan Ullah;JI, Seonggoo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5호
    • /
    • pp.73-83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wofold; first, it attempts to categories customer demands into challenging and hindrance stressors, second, it investigates the effect of customer challenging stressors, hindrance stressors and customer resources on job satisfaction,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employe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n online survey was adopt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Sample was collected from 186 frontline employe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through AMOS 20.0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Results - First, customer challenging stressors and customer resources posi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hindrance stressors nega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ly affect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job satisfaction negative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whereas emotional exhaustion positive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employees. Contributions - In term of theoretical contributions, the current study categorized the customer demands into challenging and hindrance stressors and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challenging and hindrance stressors on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employees. Manageriall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to the firm by highlighting the presence of challenging stressors and customer resources which have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frontline employees.

남자 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정서적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 강정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mal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Results: The current job satisfaction rate of male nurses was 52.8%, and the rate of intention to leave within one year was 38.2%. Job satisfaction was lower for male nurses as job stress was higher(${\beta}=-.44$), p<.001), and the higher the supervisory support in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beta}=.23$), p=.011). The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higher the intention to leave(${\beta}=.35$, p<.001). Conclusion: In order to maintain male nurses as important nursing staff in hospitals, various policy are need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male nurses an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job stress and to reduce the intention to leave by reducing emotional exhaustion.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 황송자;안관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9-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nd superior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349 employees of social welfare agency in western Kangwon-do province.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ep action(DA) appeare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Second, surface action(SA)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all job burnout factors(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Third, peer support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DA, SA) and emotional exhaustion. Fourth, superior support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on(DA) and emotional exhaustion.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Marine Police Officials)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21-728
    • /
    • 2015
  • 행정의 패러다임 변화로 경찰행정도 민간부분과 마찬가지로 고객중심 민원서비스제도의 개선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서비스제공자인 경찰공무원도 부정적인 요소인 감정노동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감정노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해양경찰공무원은 공공부분에 종사하는 다른 공무원과 동일하게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해양경찰공무원이 지각하는 감정적 부조화가 고갈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또한 감정적 부조화는 냉소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감정표현의 주의정도는 직업효능감 저하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이 방치된다면 소진에 영향을 미쳐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성과달성에 중대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Burnou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 나수양;박한종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6-297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burnout an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Methods: A total of 227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recruited from March 21 to May 6 in 2016. Emotional labor including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burnout factors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s: Surface acting significantly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Deep acting significantly increased personal accomplishmen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Conversely,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educed turnover intention. Surface ac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emotional exhaustion. Deep ac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personal accomplishment. Authentic leadership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emotional exhaus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stablishment of strong authentic leadership by head nurses would help nurses reduce thei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Conducting intervention studies would be also important to promote better work environments that would enable nurses to fortify the positive aspect of emotional labor and to reduce their burnout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