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31초

The Impacts of Positive Festival Memory on Traveler's Experience Sharing: An Online Friendship Moderation Model

  • Kim, Hyeon-Cheol;Zhu, Zong-Y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4호
    • /
    • pp.176-18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1) the influence of festival emotional and function values on travelers' positive festival memory, festival attachment, and experience sharing behavior, and (2) the moderation effect of online friendship among the path. In the present study, the proposed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MTS from 340 collected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the festival held in Guangdong Province in China. The SPSS and AMO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and function festival valu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ositive festival memory of travelers; positive festival memory significantly influences festival attachment and experience sharing behavior of travelers. Meanwhile, festival attachment also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ce-sharing behavior of travelers. Moreover, the presented differential experience sharing behavior of travelers follows the level of their online friendship. Travelers with high online friendships presented higher sharing behavior than travelers with low online friendship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provide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festival research and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These results could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estival managers to develop more communication strategies.

Capstone-Design 활동에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팀 상호작용 변화 분석 (Analysis of Team Interaction Changes in Capstone-Design Activities by MBTI Modes)

  • 이태호;김태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57-64
    • /
    • 2014
  • This study has a purpose mainly to analyze the team interaction change by the duration of time in the Capstone-Design activities according to MBTI Modes. Study objects are four students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School of Engineering in C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the team interaction change was analyzed through IPA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method. From the result, first, ESTP showed the change of increase in interaction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and 'task area: question', and the change of de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solution'. Also, there was no change in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because there was no interaction. Second, ESFJ showed the change of decrease in interaction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and 'task area: question', and the change of in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solution' and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Third, ISTJ showed the change of decrease in interaction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task area: question' and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and the change of in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solution'. Fourth, ENFP showed the change of decrease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task area: solution' and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and the change of in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question'.

대학도서관 유튜브 콘텐츠 내용분석과 이용자 감성반응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ouTube Content Analysis and Users' Emotional Responses Analysis)

  • 송영;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3-93
    • /
    • 2023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과 이용자의 댓글에 대한 감성 반응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유튜브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과 평가를 하였다. 연구분석대상은 61개 대학도서관의 2,169개 유튜브 콘텐츠와 이용자의 댓글 6,487개였다. 연구결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유튜브 콘텐츠는 대분류 중 '자료' 콘텐츠의 수량이 가장 많고 '소통' 콘텐츠와 '교육' 콘텐츠가 뒤를 이었으며, '홍보' 콘텐츠가 가장 적었다. 소분류 중 '정보서비스' 콘텐츠의 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지원 서비스를 주된 내용으로 수록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유튜브 콘텐츠를 열람한 이용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분석에서 이용자 감성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난 대분류는 '자료' 콘텐츠와 '소통' 콘텐츠였다. 이용자 감성 반응은 모든 범주의 콘텐츠에서 긍정 반응이 대부분이었고 부정 반응은 긍정 반응에 비하여 적었으며, 빈번히 나타난 이용자 감성 표현은 '좋다'였다. 또한, 이용자 감성 반응에 사용된 어휘는 유튜브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표현보다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표현이 많았다. 이용자의 평가는 콘텐츠의 기술적 품질에 관한 것 평가보다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것이 많았다.

감성조명 기반 컬러 가시광통신 시스템 (A Col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on Emotional Lighting)

  • 여은모;이대천;김기두;박영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A호
    • /
    • pp.635-639
    • /
    • 2011
  • 반도체 LED가 조명 인프라를 바꾸게 되면서 동시에 이를 통신에 이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한 가지 색상의 LED가 가시광통신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감성조명이 점차 중요해지면서 LED를 이용한 가시광통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G,B 3 색상의 LED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컬러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위한 전송방식을 제한하고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f Doctor on Pati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rust)

  • 이종학;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8-286
    • /
    • 2013
  • 본 연구는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촉진요인, 금지요인)이 환자 참여(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둘째,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환자참여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확인이며, 이를 위하여 국내 종합병원의 환자 301명을 대상으로 SPSS 19.0을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촉진요인은 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금지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의 조절효과는 촉진요인과 감정적 참여간, 촉진요인과 정보적 참여간에서 발견되었으며, 신뢰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촉진요인은 감정적 참여와 정보적 참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성공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유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 조영희;이은미;오윤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117-124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유능성 및 대학생활적응 간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73명으로,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10일에서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감성지능(r=.760, p<.001), 의사소통능력(r=.600, p<.001), 대인관계유능성(r=.451,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요인은 감성지능(𝛽=.543, p<.001), 의사소통능력(𝛽=.433, p=.001), 대인관계유능성(𝛽=.283, p<.031)으로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총 설명력은 59.9%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고 대인관계유능성 향상을 돕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교육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대학생활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어린이 병원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Tendency Expressed in Children's Hospital)

  • 하세강;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4-138
    • /
    • 2005
  • 'Emotional Design' is appeared recently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design field. Emotional Design is understanded from a interactive point of view, human and interior space. Child's formation of character grows in human, environment, space all. At all, growth process itself who develop infant's formation of character can speak that have function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wishes to recognize how element of emotional design was reflected through analysis of children's hospital considering child's emotion reacting most sensitively about effect of surrounding environment. As result, Various sensitivity element through senses that can rouse interest in more child's emotion in children's hospital design is mayhave to reflected.

  • PDF

감성 인터랙션 공간디자인의 개념적 접근연구 (Conceptu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Emotional Interaction Space Design)

  • 정은주;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6-80
    • /
    • 2005
  • Digital technology makes changes of people's behavior style and characteristic of space in which people live. Therefore, we need to adjust conceptual meaning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properly. For deriving emotional interactive space design, we need to understand following meanings: the meaning of interaction and interaction design, the meaning of emotion and emotional design, the meaning of space, emotional design, and interaction design in digital society. Consequently emotional interactive space design makes people satisfied with their five senses, communication with people increase and enable people to experience something new that they haven't experienced befor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 PDF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인지 과정의 체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Spac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lying Digital Media -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a Cognitive Process -)

  • 정은하;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15-123
    • /
    • 2009
  • The change of digital technology caused not only the whole human life but also the change of a thinking form and an expression method of human beings. Also,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structure became to form in space structure, and space users also get changed to an active system. The interaction between a human being and space, which uses digital media as a medium, makes a human being experience sensitivity through a cognitive process of a human being.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emotional space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space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to realize new emotional space. The research method was to define on digital media and experience by cognition of a human being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and a precedent research and to consider on approach to emotional space through experience of a cognition process like this. Based on the theory like this, the present research progressed by focusing on dramatize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in the digital media space and emotional space expression by induce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like this, the space applied with digital media could appear as a field of communication that can experience by forming mutual relation through perception of a human being. Additionally, the space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a human being through various productions of media and responds to movement, and thus, this suggested infinite possibility as emotional space that can try new experience by stimulating a sense as effect of a cognitive process of a human being.

뉴 실버세대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사례 분석 (Case Analysis for the Emotional Communication Contents of New Silver Generation)

  • 정윤지;유민성;오주영;황현석;허원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3-28
    • /
    • 2024
  • 연구는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 인구의 증가와 관련된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 방안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년 인구는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기업들은 AI 및 로봇 기술을 활용하여 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건강 관리와 일상생활 돌봄뿐만 아니라 정서적 건강 측면에서 노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논문에서는 현재 시장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노인관련 기술을 분석하고, 그 장단점 및 발전 가능성을 조사한다. 논문은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이 더 많은 AI 및 로봇 기반의 노인 돌봄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및 정서적 문제를 완화하고,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