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sion and submers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연안의 노출 및 침수 양상 분석 (Analysis on the Emersion and Submersion Patterns of the Coastal Zone in Korea)

  • 고동휘;정신택;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312-317
    • /
    • 2016
  • 연안 해역의 노출 및 침수양상은 연안 서식생물의 서식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 8개 지점의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연안의 노출 및 침수양상을 빈도에 따라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의 특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AHHW, ALLW 기준조위와 더불어 국제적인 기준조위로 널리 이용되는 HAT, LAT 기준조위를 추정하였다. 연안 8개 지점에 대한 노출 및 침수형태를 분류된 5가지 종류의 구역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1일 2회의 노출과 침수가 발생하는 영역 3의 점유시간 빈도가 87.2-88.2% 범위로 가장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조위와는 무관하게 비교적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영역 2, 4는 각각 4% 이하, 8% 이상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조석 형태수에 의하면 일주조 우세로 분류되는 포항에서는 조석의 뚜렷한 연주조와 반년주조의 영향으로 그 비율이 각각 1.4%, 10.8% 정도로 증감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반도 연안 1시간 조위자료의 통계적 특성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ourly Tidal Level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고동휘;정신택;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365-373
    • /
    • 2013
  • 한반도 연안 주요 조위관측소 조위자료를 선정하여 확률분포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조위 특성 및 통계적인 매개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조석현상이 우세한 인천과 군산 자료의 조위확률 분포는 HWONT와 LWONT에서 2개의 대칭형 첨두형태를 보이고, 목포 자료의 경우 비대칭형 첨두형태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제주, 여수, 부산 자료의 경우 편평한 첨두형태를 보이고, 포항, 속초 자료의 경우 1개의 첨두형태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노출과 침수 관계식으로 제안한 6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가우스 혼합분포 모형은 정확하고, 관측결과와도 잘 일치하고 있다. ${\mu}_1$, ${\mu}_2$ 매개변수는 LWONT, HWONT와 ${\sigma}_1$, ${\sigma}_2$ 매개변수는 평균조차와 밀접하다. ${\mu}_1$, ${\mu}_2$는 제안한 확률분포의 최빈값에 해당한다.

계절 변화에 따른 Fucus serratus ( 갈조식물 ) 에서의 Triacylglycerol 지방산의 다양성 (Diverse Fatty Acids of Triacylglyrerols in Fucus serratus(Phaeophyta) Caused by Seasonal changes)

  • Kim, Mi-Kyung;Jean Paul Dubacq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21-29
    • /
    • 1996
  • Variation in triacylglycerols(TGs) and fatty acids in Fucus serratus was analyzed for a period of one year. TGs were more concentrated during the summer(2.8mg/g dw)and autumn(2.6mg/g dw) than during the spring (0,7mg/g dw)and winter (0.5mg/g dw). The dominant fatty acides in total liqid were palmitic acid ($C_{16:0}$, 24.1%), oleic acid (($C_{18:1}$, 22.4%) and arachidonic acid (($C_{20:4}$, 14.4%) but the dominant ones in TG were $C_{16:0}$(22.8%), $C_{18:1}$(36.4%) and $C_{18:2}$(linoleic acid, 16.4%). The levels of $C_16$ fatty acids were high in winter while $C_18$ in summer and autumn.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UFAs) were more abundant in the $C_20$ series, while the UFAs of the $C_16$ were low. Especially, the amount of arachidonic acid ($C_{20:4}$, 14.4% of total fatty acids (TFA) was more abundant than that of eicosapentaenoic acid ($C_{20:5}$, 10.4% of TFA). The amount of $C_{20:4}$ and $C_{20:5}$,in TG was 9.2% and 4.8%, respectively. These UFAs in total lipid were thus higher than TG. Therefore, the synthesis of TG and fatty acid was stimulated by the alternation of emersion and submersion of thalli from sea water and eco-physiological conditions during summer: high temperature and light, and low concentration of nitrog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