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scenario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6초

Implementation of an Operator Model with Error Mechanisms for Nuclear Power Plant Control Room Operation

  • Suh, Sang-Moon;Cheon, Se-Woo;Lee, Yong-Hee;Lee, Jung-Woon;Park, Young-Taek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349-354
    • /
    • 1996
  • SACOM(Simulation Analyser with Cognitive Operator Model) is being developed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o simulate human operator's cognitive characteristics during the emergency situations of nuclear power plans. An operator model with error mechanisms has been developed and combined into SACOM to simulate human operator's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 based on the Rasmussen's decision ladder model. The operational logic for five different cognitive activities (Agents), operator's attentional control (Controller), short-term memory (Blackboard), and long-term memory (Knowledge Base)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on blackboard architecture. A trial simulation with a scenario for emergency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operational logic. It was found that the operator model with error mechanisms is suitable for the simulation of operator's cognitive behavior in emergency situation.

  • PDF

자전거 대상 자동비상제동장치의 성능평가 시나리오 개발 (Safety Assessment Scenarios for Cyclist AEB)

  • 김태우;이경수;이은덕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9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safety assessment scenarios for cyclist autonomous emergency braking(AEB) system. To assess the safety performance of AEB in real traffic situation with limited number of scenarios, scenario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al traffic collision cases. For this, statistic data of real traffic car-to-cyclist collision in Korea are analyzed. Many types of accidents are liste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movement of vehicle and cycle just before the collision. Then, the characteristics, main issues and limitations of each scenarios are discussed. Not only the test scenario itself but also the cost and time for the test are very important issues for the test scenarios to actually repeat the test for various systems. Also, the performance of AEB can be effected by the algorithm of AEB and the technical limitation of the sensors and hardwares. Therefore, required number of tests, possibility of dummy destruction and other technical issues are discussed for each scenarios. Based on these information, typical scenarios are selected. Also, using this information, vehicle speed range, cyclist speed and collision point are established. Proposed scenarios are verified and modified based on the vehicle test results. vehicle test was evaluated 5 times for each scenarios. Based on this results, final test scenarios are modified and proposed.

도시철도차량의 고가선로 비상대피 시나리오 분석 (Emergency Evacuation Scenario Study of Urban Metro Vehicle Running on Elevated Guideway)

  • 김영상;맹희영;왕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7-124
    • /
    • 2012
  • There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new types of urban metro vehicles called LRT (Light Rail Transit) running on elevated guideway such as Uijeongbu VAL(which stands for V$\acute{e}$hicule Automatique L$\acute{e}$ger: Automatic Light Rail Vehicle) system, Yong-In LIM(Linear Induction Motor) syste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MAGLEV(Magnetic Levitated Vehicle) system and Daegu monorail system. Most of accidents by the vehicles are bound to happen on elevated guideway. Therefore, it is of vital importance to analyze hazards related to vehicles running on elevated guideway and study emergency evacuation scenarios applicable in case of accidents on elevated guideway so a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new types of urban metro vehicles. In this study, FTA(Fault Tree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to identify all possible hazards, and all possible evacuation scenarios were studi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each hazard can be corresponded to one or more evacuation scenarios. This result shows that passengers can be evacuated according to one of the scenarios identified in this study in case of an accident of "Train Stranded on Elevated Guideway".

SimBaby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Baby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in Emergency Units)

  • 김해란;최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79-288
    • /
    • 2011
  • 간호 실무 능력의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경험이 중요하지만 간호학생의 임상 경험의 기회는 줄어들었고 모든 학생들이 충분히 임상 경험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성인대상의 간호 시나리오 개발이 주로 이루어졌고 아동대상의 시나리오 개발은 거의 없는 실정이여서 아동간호와 관련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학습내용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시나리오의 내용은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적용 결과, 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업태도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사례의 아동관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아동간호와 관련된 실제와 유사한 임상 상황들을 학생들에게 적용한다면 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객실안전 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bin Safety Learn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VR))

  • 김하영;유정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3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chnically implement the design and scenario of cabin safe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 (VR)-based cabin safety learning for aviation service majors. The process for developing VR cabin safety learning contents consisted of a total of four stages: learning stage, research stage, verification stage, and application stage. The cabin safety scenario items for the production of VR learning contents reflected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he procedure for survival from impact, and the evacuation procedure from the aircraft as the core. For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modeling work is conducted by checking scenario reviews, types and numbers of objects related to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items of interac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work with the actual metaverse platform is carried out to enable the utilization of the manufactured facilities and equipment objects. Finally, application tests were carried out to reconfirm supplementary items.

도시 재난 관리를 위한 u-철도 방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 u-railroad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 함은구;노삼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2-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든 발생 가능한 철도 사고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비상대응절차를 정의하여 철도사고 별 비상대응 절차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u-철도 방재시스템을 제안하였다. u-철도 방재 시스템은 u-예방 시스템, u-대비시스템, u-대응 시스템, u-복구 시스템 4개의 단위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별로 분리되어 있다. 수집된 정보는 각 시스템별로 분석되고 각종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며, 연계된 타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특히 u-철도 방재 시스템은 오감인지기능을 바탕으로 한 센서 네트워크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비상사고 발생 시 적절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2차원, 3차원 공간 정보 인터페이스에 유비쿼너스 센서 네트워크와 예상 시나리오를 함께 연동시키므로 서 종합적 의사 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다.

능동적 Geo-Targeting을 위한 5G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및 시나리오 연구 (A Study on 5G-based Text Alert Service Requirements and Scenarios for Realizing Active Geo-Targeting)

  • 이태겸;강승우;김예원;오승희;조오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3-30
    • /
    • 2021
  •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전과 높은 휴대전화보급률 덕분에 접근성이 높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기술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COVID-19 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복잡성이 낮고 효율적이다. 하지만 수신지역이 불명확하여 불필요한 메시지의 반복수신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 분석을 통하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단말의 능동적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한 Active Geo-Targeting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 시나리오를 실현하기 위하여 새로 정의된 CIB(Control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고안한다.

초등학생을 위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교육 교사용 지침서 개발 (Development of Guidebook for Teachers about Coping Behavior Education to Emergency Situ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경아;김신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78-48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uidebook for teachers about coping behavior edu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Dick and Carey's teaching model (1996) and Keller's ARCS theory (1985) was applied to develop this guidebook. Results: The contents consist of subjects, reference materials for teachers, a case study, and worksheets for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5 units are as follows: 1)Iden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around the school area and in school, 2)Coping tips in dangerous situations that can occur at school, 3)Prevention and coping method of sexual violence, 4)Coping method for natural disasters, and 5)First aid in emergency situations. The presented case study was a real case scenario and the worksheets contained various activities initiated by students. Conclusions: This guidebook can be an effective tool in coping education classes for emergency situations at elementary schools. The goal of the guideline book is reach as many elementary schools as possible.

오감인지를 통한 지하철 화재 비상대응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 by Five Sense in the Subway Fire)

  • 노삼규;함은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6-83
    • /
    • 2008
  • 지하철 화재사고 경우 정확한 화재 유형 파악과 그에 따른 적절한 초기대응은 사고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지하철 화재사고 발생 시 기관사 또는 비상대응직원이 직접 목격하지 않으면 화재 유형을 즉시 파악하기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사고로 나타날 수 있는 오감(五感) 유형을 분석하여 오감 정보를 통해 신속한 화재사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오감 유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화재 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을 Activity-Action Diagram(AAD)로 정의하여 비상대응을 시스템화 하기 위한 기반을 제시하였다.

독성가스 시설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이용한 비상대응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oxic Gas Facilities Using Quantitative Risk Analysis)

  • 유진환;김민섭;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49
    • /
    • 2005
  • 현재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독성가스는 누출사고 발생시 확산되는 특성이 있어 피해 범위가 매우 넓고,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험성이 높은 독성가스 이용시설은 누출사고에 대비한 사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TA기법을 이용한 사고 시나리오 선정 및 빈도 분석과 DNV사의 PHAST(Ver 6.2)를 이용하여 독성가스 누출에 의한 확산 사고영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위험성 평가 결과들을 이용하여 독성가스시설의 비상대응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