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preparednes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3초

농업가뭄 분석을 위한 농업가뭄평가.정보제공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Drought Management)

  • 박기욱;김진택;정병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13
    • /
    • 2005
  • There are two ways to mitigate the drought. One is the structural measures such as storage of irrigation water, development of emergency wells, etc. The other one is the nonstructural measures such as water saving management by the early warning system. To precast and evaluate the drought, we need to develop the drought indices for agriculture. In the present drought preparedness plans o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it is prescribed that the preparedness levels should be classified by considering the precipitation, reservoir storage, soil moisture in paddy and upland, and the growing status of crops. However there are not clear quantitative criteria for consistent judgment. This shows that we have not selected and utilized the proper drought index for agriculture and we did not have the information system to calculate the drought indices periodically and warn the outbreak of the drough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develope of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System and to evaluate this indices for current agricultural status using the system.

  • PDF

화학공장에서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이용한 비상 대응 계획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Plan System Us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Chemical Plants)

  • 임차순;서재민;엄성인;백종배;고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9-74
    • /
    • 2001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ccident scenarios of chemical plants through the analysis of lots of chemical accidents and using experts knowledge, and looked into the method of prevention and response. Moreover, we developed a systemic and actual Emergency Response Plan Software(ERPS) that could prevent, prepare and respond totally for the chemical industry facilities using the data from the accident effect estimation from the local society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a chemical plant. The ERPS consists of the information for the plant and process, the consequence analysis and the ERPTA(Emergency Response Plan Tree Analysis). In conclusio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help effectively all the chemical industry facilities to prevent and respond to possible accidents.

  • PDF

울진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의 주민 소개시간 예측 (Public Evacuation Time Estimates within EPZ of Ulchin Site)

  • 정양근;이갑복;방선영;김성민;이은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59-372
    • /
    • 2005
  • 원자력발전소 사고시 방사성물질이 발전소외 지역으로 유출될 경우 주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주민소개가 고려된다. 소개시간 산정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각각의 인자에 대해 원전 주변의 현장자료를 토대로 부지주변의 교통환경 여건을 반영하여 울진원전의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의 주민전체를 소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였다. 평상교통, 여름철 첨두교통, 그리고 겨울철 첨두교통에 대해 각각 주간 및 야간, 평상기상 및 악기상의 경우로 나누어 12가지의 주민소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비상계획구역 경계 남단과 북단에서 모든 소개차량(인구)이 비상계획구역을 벗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전체적으로는 $210\~315$분 정도로 예측되었다. 소개시간은 밤이 낮보다 약 45분 정도 더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이상반응 화학사고 정보제공 개선 연구 (Investigation Study of Information Improvement in Chemical Accident by Extraordinary Chemical Reaction)

  • Kim, Sungbum;Lim, Myunghee;Park, Joongd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19-225
    • /
    • 2015
  • '12년 9월 발생한 (주)휴브글로벌 불산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대하는 국민과 대응기관의 인식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화학물질 취급업체는 소량 누출시에도 신속하게 대응기관에 신고절차를 이행하고, 대응기관은 사고대응에 많은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였다. 많은 화학사고 중 현장대응요원의 대응활동을 어렵게 하는 사고는 사고발생물질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와 혼합 화학물질, 대응과정 중 방재활동 즉, 소화용수 등에 의해 2차로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대응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응활동 시 이상반응에 의한 화학사고의 확대 또는 2차 생성물로 인한 피해상황을 맞이하는 대응요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관련된 화학사고를 고찰하여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재난 대비 임시거주시스템 활용을 위한 비상 대응 시나리오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Emergency Response Scenario Using Temporary Residential Housing System of Disaster)

  • Ham, Eun-Gu;Koh, Jae-S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21-531
    • /
    • 2013
  • 재난 대비 임시거주시스템 활용을 위한 비상대응 시나리오 설계를 통하여 신속한 비상사고 유형 파악과 그에 따른 적절한 비상대응절차의 적용은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 시 예상되는 비상사고의 잠재 가능성을 분석하여 발생 가능한 비상사고 시나리오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재난 대비 임시거주 비상 시나리오를 기본으로 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 및 복구 방안을 도출 하였다. 또한 비상대응시나리오의 각 이벤트별로 비상대응 시 취해져야할 비상대응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행동 주체별 대응 단계별로 정의하였다. 또한 비상대응 주체별 단계별 시나리오 구성을 통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종합적인 비상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 지역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재난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Preparedness of Students Studying Emergency Rescue)

  • 최성우;주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51-658
    • /
    • 2016
  • 우리나라는 국토의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대륙과 해양성 기후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지리적 여건으로 인하여 기상이변과 지구온난화현상 등으로 태풍, 홍수, 쓰나미(해일) 등 대규모 자연재난과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의 부작용으로 인한 대형 인적 재난들의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재난현장의 안전 및 환자관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재난대처점수를 측정하여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난대비법에 대하여 들은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경험이 있는 사람의 재난대처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학교 내에서 시행 되는 응급구조 교육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한 대상자에 비하여 '만족한다'고 답한 대상자의 재난대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과 수업 외 응급구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없다'고 답한 대상자에 비하여 '있다'고 답한 대상자의 재난대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추후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화학물질 운반차량 누출사고 처리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igation Procedure of Chemical Spill by Vehicle Transporting Chemicals)

  • Kim, Sungbum;Lee, Sangjae;Jeong, Seongkyeong;Lim, Myunghee;Song, Youngil;Ahn, Euisan;Jeong, Hoyong;Kim, Najin;Lee, Hyunjoo;Choi, Sungwo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17
  • 지난 3년('13~'15)간 화학물질사고는 301건이 발생하였으며, 연평균 약 100건이 집계됐다. 이와 같은 화학사고는 인명과 환경에 많은 피해를 가져왔다. '13년~'15년에 발생한 운반차량 화학사고는 연평균 21건으로 전체 화학사고의 약 21%를 차지한다. 화학물질 운반차량의 사고는 지역에 관계없이 도로상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관계기관의 대응 및 사후처리 등 체계적인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화학물질 운반업자 및 화물주 등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학물질 운반차량의 사고발생에 대한 현장조사 및 처리 절차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운반차량의 화학사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현장조사와 처리절차를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 소관 유해화학물질 취급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 기준에 관한 소고 (A Brief Review of Regulation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Hazardous Chemical Handlers as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박지훈;박찬륭;권혜옥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18
    • /
    • 2023
  • Objective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is an essential means for protecting workers against hazardous agents or risks that threaten their safety and health. Governmental organizations related to safety and health in the workplace regulate the PPE rules to protect workers and to minimize damage from hazardous agents. This study discussed current PPE rules overseen by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explores future perspectives on the matter.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view of PPE regulations with which every stakeholder should comply in the workplace. Both South Korean regulations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ases from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Results: Regulations related to the PPE required for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in the workplace are enforc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Enforcement Decree, Enforcement Rules, and Notification of Protective Equipment Certification under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lso regulates the PPE standards for 97 substances requiring preparation for accidents and adjustment of work conditions, but a recent amendment (partially amended on September 30, 2022) loosened some unreasonable or excessive provisions. It requires workers simply to carry or otherwise keep PPE handy instead of wearing it for some tasks in which hazardous chemicals are not handled directly.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regularly review provisions that need to be improved or supplemented to help all stakeholders. Considerations should be also made to build a reasonable regulatory system that can induce more mature safety management in each workplace.

방사선 비상에 대비한 기상장 자동 산출.표출 시스템에 관한 소개 (Introduction for the Meteorological Data Automatic Computation and Display System for the Radiological Emergency Preparedness)

  • 현명숙;엄향희;최병철;한문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7-388
    • /
    • 2002
  • 미국은 TMI-2 사고 이후, 방사선 비상시 신속하고 정확한 방사능 화산 및 피폭해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피폭선량 해석 체계의 구축은 비상시 빠르게 대처하여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재해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각 나라별로 환경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