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generator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8초

배전계통 복원력 확보 및 복원 전략에 따른 정전비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wer Outage Cost Analysis according to Distribution System Resilience and Restoration Strategies)

  • 서세훈;박현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24
    • /
    • 2023
  • Severe natural disasters and man-made attacks such as terrorism are causing unprecedented disruptions in power systems. Due to rapid climate change and the aging of energy infrastructure, both the frequency of failure and the level of damage are expected to increase. Resilience is a concept proposed to respond to extreme disaster events that have a low probability of occurrence but cause enormous damage and is defined as the ability of a system to recover to its original function after a disaster. Resilience is a comprehensive indicator that can include system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a disaster and focuses on preparing for all possible disaster scenarios and having quick and efficient recovery actions after an inciden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resilience, but studies on economic damage considering the duration of a power outage are scarc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optimal algorithm that can identify failures after an extreme disaster and restore the load on the distribution system through emergency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input and system reconfiguration. After that, the cost of power outage damage is analyzed by applying VoLL and CDF according to each restoration strategy.

해수 열원 히트펌프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에너지 절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energy-saving effects of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using seawater source heat pumps and solar power generation)

  • 류종혁;정현석;정석권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60권2호
    • /
    • pp.194-206
    • /
    • 2024
  •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energy-saving effects of the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using seawater source heat pumps and solar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thermal load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transient system simulation tool, the annual energy consumption of the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was analyzed and the energy-saving effects of utilizing the photovoltaic system was evaluated. When analyzing the heat load, the sea areas where the fish farms are located, the type of breeding tank, and the circulation rate of breeding water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capacity for each operation time was examined when applying the energy storage system instead of the existing diesel generator as an emergency power, which is required to maintain the water temperature of breeding water during power outage. The results suggest that, among the four seas considered, Jeju should be estimated to achieve the highest energy-saving performance us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with approximately 45% energy savings.

Comparison of event tree/fault tree and convolution approaches in calculating station blackout risk in a nuclear power plant

  • Man Cheol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1호
    • /
    • pp.141-146
    • /
    • 2024
  • Station blackout (SBO) risk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ors to nuclear power plant risk. In this paper, the sequence probability formulas derived by the convolution approach are compared with those derived by the conventional event tree/fault tree (ET/FT) approach for the SBO situation in which emergency diesel generators fail to start. The comparison identifies what makes the ET/FT approach more conservative and raises the issue regarding the mission time of a turbine-driven auxiliary feedwater pump (TDP), which suggests a possible modeling improvement in the ET/FT approach. Monte Carlo simulations with up-to-date component reliability data validate the convolution approach. The sequence probability of an alternative alternating current diesel generator (AAC DG) failing to start and the TDP failing to operate owing to battery depletion contributes most to the SBO risk. The probability overestimation of the scenario in which the AAC DG fails to run and the TDP fails to operate owing to battery depletion contributes most to the SBO risk overestimation determined by the ET/FT approach. The modification of the TDP mission time renders the sequence probabilities determined by the ET/FT approach more consistent with those determined by the convolution approach.

Gastrointestinal endoscopy's carbon footprint

  • Su Bee Park;Jae Myung Cha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3호
    • /
    • pp.263-267
    • /
    • 2023
  • Climate change is a global emergency. Consequently, current global targets to combat the climate crisis include reaching net-zero carbon emissions by 2050 and keeping global temperature increases below 1.5 ℃. In 2014, the healthcare carbon footprint was 5.5% of the total national footprint. Gastrointestinal endoscopy (GIE) has a large carbon footprint compared to other procedures performed in healthcare facilities. GIE was identified as the third largest generator of medical waste in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following reasons: (1) GIE is associated with high case volumes, (2) GIE patients and relatives travel frequently, (3) GIE involves the use of many nonrenewable wastes, (4) single-use devices are used during GIE, and (5) GIE is frequently reprocessed. Immediate action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GIE include: (1) adhering to guidelines, (2) implementing audit strateg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GIE, (3) avoiding unnecessary procedures, (4) using medication rationally, (4) digitalization, (5) telemedicine, (6) critical pathways, (7) outpatient procedures, (8) adequate waste management, and (9) minimizing single-use devices. In addition, sustainable infrastructure for endoscopy units, using renewable energy, and 3R (reduce, reuse, and recycle) program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impact of GIE on the climate crisis. Consequently, healthcare providers need to work together to achieve a more sustainable future. Therefore, strategies must be implemented to achieve net-zero carbon emissions in the healthcare field, especially from GIE, by 2050.

전력계통 운영조건을 고려한 발전기차단용 SPS 동작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SPS for Generator Tripping Action considering Operating Conditions of Power Systems)

  • 권한나;손혁진;국경수;양성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11-417
    • /
    • 2014
  • 발전기차단용 고장파급방지장치(SPS; Special Protection Scheme)는 대규모 발전단지의 인출 송전선로 고장시 발전단지 내의 발전기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계획된 대수만큼 해당 발전기를 즉시 차단하여 전력계통 전체의 안정도를 유지하는 비상 장치이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 발전기차단용 SPS 동작은 첨두부하를 기준으로 산정된 값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운영 되고 있어 경부하시에 발전기차단용 SPS가 동작을 하게 되면 발전기 과차단으로 인한 발전력 부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등 SPS 운영의 비효율성이 잠재되어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수시로 변화하는 전력계통 운영조건을 주기적으로 취득하고 정확도와 속도가 우수한 COA기반의 안정도평가를 통해 발전기 차단용 SPS 동작을 설정함으로써 경부하시에는 SPS 발전기 탈락대수가 첨두수요 기준의 설정치보다 감소되어 계통 고장에 의한 SPS 동작 시 발전비용 증가를 경감 할 수 있다.

선원 해상생존교육 실습시설 및 장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itability of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used on Seafarer's Sea Survival Training)

  • 이진우;김이완;이창희;이영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1
    • /
    • 2017
  • STCW협약에 따른 기초안전(재)교육 및 상급안전(재)교육 등과 같은 선원 해상생존교육은 해상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원들의 생존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필수교육이다. 그리고 IMO 모델코스에 따른 선원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원들이 다양한 안전장비에 대한 이론 및 실습교육이 병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IMO 모델코스에서 요구하는 해상생존교육과정에 근거한 실습시설을 파악하고, 국내외 교육기관의 운영 실례를 바탕으로 관련 시설을 비교 분석하여 선원 안전교육시설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해상탈출설비(슬라이드, 슈트 등) 등과 같은 최신화된 교육장비를 비치하여, 선원들이 다양한 안전장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조파, 풍동, 강우, 암막장치 등과 같은 해상환경 재현시설의 설치하여 학습자가 현실적인 비상상황을 직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환경의 구축해야 한다. 셋째, 체험교육, 시청각교육, 시뮬레이터 교육과 더불어 가상현실 교육장비를 통한 층위별 맞춤교육을 개발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Modeling and analysis of selecte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KL-3 station blackout experiments using TRACE

  • Mukin, Roman;Clifford, Ivor;Zerkak, Omar;Ferroukhi, Ha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356-367
    • /
    • 2018
  • A series of tests dedicated to station blackout (SBO) accident scenarios have been recently performed at the $Prim{\ddot{a}}rkreislauf-Versuchsanlage$ (primary coolant loop test facility; PKL) facility in the framework of the OECD/NEA PKL-3 project. These investigations address current safety issues related to beyond design basis accident transients with significant core heat up. This work presents a detailed analysis using the best estimate thermal-hydraulic code TRACE (v5.0 Patch4) of different SBO scenarios conducted at the PKL facility; failures of high- and low-pressure safety injection systems together with steam generator (SG) feedwater supply are considered, thus calling for adequate accident management actions and timely implementation of alternative emergency cooling procedures to prevent core meltdown. The presented analysis evaluates the capability of the applied TRACE model of the PKL facility to correctly capture the sequences of events in the different SBO scenarios, namely the SBO tests H2.1, H2.2 run 1 and H2.2 run 2, including symmetric or asymmetric secondary side depressurization, primary side depressurization, accumulator (ACC) injection in the cold legs and secondary side feeding with mobile pump and/or primary side emergency core coolant injection from the fuel pool cooling pump. This study is focused specifically on the prediction of the core exit temperature, which drives the execution of the most relevant accident management actions. This work presents, in particular, the key improvements made to the TRACE model that helped to improve the code predictions, including the modeling of dynamical heat losses, the nodalization of SGs' heat exchanger tubes and the ACCs. Another relevant aspect of this work is to evaluate how well the model simulations of the three different scenario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capture the trends and results exhibited by the actual experiments. For instance, how the number of SGs considered for secondary side depressurization affects the heat transfer from primary side; how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pressurizer relief valve affects the dynamics of the transient; how ACC initial pressure and nitrogen release affect the grace time between ACC injection and subsequent core heat up; and how well the alternative feeding modes of the secondary and/or primary side with mobile injection pumps affect core quenching and ensure stable long-term core cooling under controlled boiling conditions.

구명뗏목에서의 비상대응 심폐소생술의 효과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Life-rafts)

  • 이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3-440
    • /
    • 2019
  • 선박, 해양플랜트, 해상풍력 등과 같은 해양에서의 근무 환경은 고립되어 있고 거친 해상에 바로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의 높은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에 해양에서 근무를 하는 모든 종사자에게는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요구되고 있고 비상대응업무를 수행하는 자에 대해서는 STCW협약, OPITO Safety Training Standard 등의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자격 증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립된 상황에서 해양종사자들의 응급처치기술은 필수 요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선박을 포함한 해양구조물에서 비상탈출 시 사용하게 되는 구명뗏목에서의 심폐소생술은 구명뗏목의 바닥이 고무재질로써 충분한 가슴압박이 힘들어 응급처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피로도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은 조파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안전훈련센터에서 15명의 응급처치강사를 표본으로 바다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구명뗏목에서의 심폐소생술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강의실에서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 평균은 99.6 %였으나 구명뗏목의 여러 환경에서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는 84 %였다. 두 장소의 심폐소생술 정확도에 대한 t 값의 절대값이 임계값의 절대갑보다 크기 때문에 구명뗏목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낮아짐을 검증하였다. 파도를 0.3미터 형성한 경우에는 구명뗏목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77 %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구명뗏목에서의 심폐소생술은 2인 1조로 실시할 것을 제시하며 최근 활용되고 있는 흉부 압박 자동화 장비를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대용량 유도전동기 기동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High-Power Induction Motor Starting)

  • 손석금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78-18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전력에너지를 사용하는 산업체의 전동기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동기는 기동시 기동전류로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이 기동전류가 전력계통에서 대형 전동기 기동 시 전압강하로 기동이 어려워 인접한 전력계통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전동기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토크를 내는 것으로 토크의 크기에 따라 속도가 변하고 속도는 전동기 기동에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나 비상발전기로부터 전동기까지의 거리가 짧으며 전동기용량이 작아 기동에 대한 어려움이 없으나 산업설비 등에 많이 이용되는 대용량 전동기의 기동특성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운전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전동기 기동 시 속도와 토크에 관계와 대용량 전동기 기동을 위한 분석과 전동기 기동 해석에 대해 연구하였다.

역률개선 콘덴서를 이용한 유도전동기 기동특성 분석 (Induction Motor Starting Characterization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apacitors)

  • 손석금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6-212
    • /
    • 2017
  • 본 논문은 대용량 유도전동기의 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도전동기 토크는 전류와 자속의 곱으로서 이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여자전류에 해당되는 무효전력이 필요하다. 유도전동기에 필요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역률 보상장치를 사용하여 전원측을 대신하여 공급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역률 보상장치를 사용할 경우 피상전력을 줄일 수 있어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보상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부하마다 설치하는 경우와 전체를 일괄 보상하는 방법으로 고압 대용량의 부하로서 일정한 운전패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주로 개별보상이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유도전동기는 기동 보호장치를 이용하지만 이 논문은 전전압 기동시의 특성을 분석하는 가상의 상황을 가정하여 기동특성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운전특성을 측정 분석하고 역률개선 콘덴서를 이용하여 기동특성을 개선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