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ryogenic tissue lin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Embryogenic Callus Conditions on Plant Regeneration in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 Han, Sang-Heon;Kang, Sung-Ku;An, Hyun-Joo;Kim, Han-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9-32
    • /
    • 2002
  • The ability to form embryiod from callus in satsuma mandarin is low and unstable.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nucellar tissue for promotion of plant regeneration in satsuma mandarin were investigated. The calli of I, II and III line were divided into two sizes of 0.5 mm and 1.0 mm in diameter and two weight gradients of percoll at 40% and 50% though the filter mesh. The frequency of embryo formation from $\phi$ 1.0mm-40% was slightly higher than callus that from others. Adventitious embryoids developed to a globular stage were transferred to regeneration medium. In 'Miyagawa Wase', the embryos from I and II line developed into a heart stage from most of $\phi$ 0.5 mm- 40% and $\phi$1.0 mm-40% calli, but it failed in 'Sugiyama Unshu'. In the cultivar of 'Miyagawa Wase', 63% of adventitious embryos transferred to the regeneration medium developed into the heart stage from the most $\phi$ 1.0 mm-40% calli of I line, but of 'Sugiyama Unshu' failed in some calli condition. The embryoids from two callus lines developed further to shoots and plantlets, while the embriods from III line abnormal failed to regenerate in the cultivar.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lant regeneration from embryogenic callus in satsuma mandarin could be affected by callus conditions.

소나무 배발생조직 라인 별 체세포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with Embryogenic Tissue Lines in Pinus densiflora)

  • 김용욱;신한나;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49-454
    • /
    • 2011
  • 본 연구는 소나무의 배발생조직 라인 간 증식율,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율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나무 미숙접합배로부터 유도된 15개 배발생조직 라인 간 증식율 비교에서 05-4 라인은 5.3배의 최대 증식율을 보인 반면, 05-37라인은 1.4배로 가장 저조하여 조직 라인 간 증식율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배발생조직 13개 라인의 체세포배 유도에서는 05-4라인에서 39.8개(90 mg 조직기준)를 유도하여 가장 높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단지 5개 조직라인(05-4, 12, 21, 29 및 37)에서만 체세포배 유도가 가능하였다. 나머지 8개 라인에서는 전혀 유도되지 않아 조직라인 간 체세포배 유도효율의 큰 차이를 보였다. 3개의 조직라인에서 유래한 체세포배의 발아비교에서 05-4라인 유래 체세포배 발아율이 0.2% gelrite에서 가장 높은 47.3%로 나타났으나, 05-4 및 29라인에서는 0.2% 이상의 gelrite 농도에서 발아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05-37 라인 유래 체세포배의 발아는 0.1 혹은 0.2% 농도에서는 전혀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아 gelrite 농도에 따른 발아율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소나무의 배발생조직 라인 간 증식율, 체세포배 발생 효율 및 발아효과는 배발생조직 라인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경향을 보였다.

종자 다수확계통'232'의 조직배양 및 포장에서의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a Zoysiagrass Line '232'in the Tissue Culture and Field)

  • 이재필;김종보;임성희;주영규;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1-326
    • /
    • 1997
  • A high seed yield '232' was evaluated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issue culture re-sponse. The effect of mowing and urea application on coverage in '232' was also stud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232' produced high seed yield than any other lines, but its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coverage, establishment rate, stolon length, stolon number and colour change were not good. 2.Callus induction of '232'(52.9%) was relatively high, and higher than that of Z. sinica(49.0%). However,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of '232' was not as good as that of Z. japonica and Z. sinica. 3.Coverage of '232' was very much enhanced by mowing on July 18, but not at all by mowing on May 29 and September 4. 4.Urea application did not increase the coverage in '232',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breeding material rather than direct use.

  • PDF

낙엽송 (Larix leptolepis) 배발생조직 라인에 따른 체세포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with Embryogenic Tissue Lines in Larix leptolepis)

  • 김용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33-637
    • /
    • 2010
  • 본 연구는 낙엽송의 4가지 배발생조직(LL-L, LL-K, LL-P 및 LL-N)으로 체세포배 유도에 영향하는 배지종류, 엡시식산(abscisic acid, ABA)의 농도, 삼투압제의 종류 및 농도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지종류 비교에서 1/2LM 배지에 배양한 LL-P 조직라인(134.9개/90 mg조직)에서 가장 높은 자엽단계의 체세포배가 유도되었으나 BLG 배지의 경우 LL-P라인(32.9개)을 제외하고는 체세포배가 전혀 유도되지 않았다. 2가지 ABA농도(60 혹은 100 ${\mu}M$)에 대한 4가지 배발생조직의 체세포배 유도 효과를 비교 한 바 최대 체세포배는 60 ${\mu}M$ ABA농도(142.9개)에서 나타났으나 LL-N 라인을 제외하고는 체세포배 발생에 ABA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비교에서 최고의 체세포배 발생은 LL-K 조직라인을 0.2 M maltose 첨가배지(540.5개)에 배양하였을 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세포배 발생 효과는 배지의 종류, 혹은 배지에 첨가된 ABA 및 삼투압제 농도보다는 배발생 조직 라인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다.

A combined pathway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organogenesis to regenerate radiata pine plants

  • Montalban, I.A.;De Diego, N.;Igartua, E. Aguirre;Setien, A.;Moncalean, P.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2호
    • /
    • pp.177-186
    • /
    • 2011
  • This study describes for the first time in Pinus genus a plant regeneration system via a combined pathway of somatic embryogenesis and organogenesis from immature seeds of radiata pine. Somatic embryos were obtained from embryogenic line 2162 of Pinus radiata D. Don on EDM basal medium containing $60{\mu}M$ ABA and 6% sucrose. The explants used for organogenesis experiments were either freshly collected somatic embryos or somatic embryos germinated for 1 week. Germination medium was half-strength LP medium, supplemented with 0.2% activated charcoal. Different induction periods and BA concentrations were assayed for shoot induction. After induction treatments, explants were elongated on the same medium used for germination stage. Rooting medium was quarter-strength LP medium supplemented with three different auxin treatments: $1.5mg\;L^{-1}$ 1-naphthalene acetic acid (NAA), $1.5mg\;L^{-1}$ indole-3-butyric acid (IBA) and $1mg\;L^{-1}$ IBA with $0.5mg\;L^{-1}$ NAA (MIX). The effect of the photon flux ($120mmol\;m^{-2}\;s^{-1}$ and darkness) in the first week of the explants in the rooting media was also tested. This methodology could offer an alternative to overcome some problems associated with somatic embryogenesis such as the seasonality of embryogenic tissue (ET) initiation or a low embryo production from the ET, a particularly important issue in the case of genetically transformed ETs.

소나무의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에 미치는 ABA, 삼투압제 및 배발생조직 라인 효과 (Effects of ABA, osmoticum and embryogenic tissue lines for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in Pinus densiflora)

  • 김용욱;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2호
    • /
    • pp.93-98
    • /
    • 2012
  • 본 연구는 소나무의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및 abscisic acid (ABA) 농도, 배발생 조직 라인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1 M maltose+3.75% polyethylen glycol (PEG) 4000 처리구에서 45개 (/90 m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처리구 또한 41개로 효과가 있었다.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0.4 및 0.6%의 농도에서는 전혀 체세포배가 유도되지 않았으며, 0.8% 이상의 농도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 체세포배 유도 수는 1.0% gelrite에서 41개로 가장 높은 유도 수를 보였으며, 0.8 혹은 1.2%에서의 농도에서 또한 각각 37.3 및 39.7개로 높은 유도수를 보여 0.8% gelrite 이상에서 체세포배 유도 효과가 있었다. ABA농도, 배발생조직 라인 및 활성탄 첨가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율 비교에서 06-6조직라인의 경우 150 혹은 $20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를 0.2% 활성탄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45%의 최대 발아율을 보였다. 활성탄 무첨가 배지의 경우 최대 발아율은 06-6라인, $25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에서 28.9%로 나타났다.

한국 재배종 낙동벼에서 임성 형질전환식물체의 재분화 (Regeneration of Fertile Transgenic Rice Plane from a Korean Cultivar, Nakdongbyeo)

  • Soo In LEE;Hyun Jin CHUN;Chae Oh LIM;Jeong Dong BAHK;Moo Je CH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5-182
    • /
    • 1995
  • 벼는 임성 식물체의 재분화 뿐만 아니라 유전적으로 안정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성공적인 단자엽 식물중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유전적으로 안정된 임성 형질전환 벼품종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재배종인 낙동벼로부터 임성 형질전환식물체를 얼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현탁뱅양세포로부터 분리된 원형질체를 이용하여 PEG로 HPT와 GUS Plasmids늘 함께 형질전환시켰다. 다섯번의 실험을 통하여 hygromycin 저항성 캘러스는 평균 1.73%이였다. 소식물체는 항생제 저항성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되었고 식물체 재분화효율은 약 27%이었다. 항생제에 저항성이 있는 캘러스에서 GUS 유전자가 발현되는 캘러스는 평균 35%였다. R0형질전환식물체는 성숙 개화하여 Rl 종자를 생성하였다. Rl 종자와 유모의 해부학적 GUS 활성을 분석하여 CaMV35S 프로모터 의해 GUS 유전자가 적절히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는 Rl세대에서 HPT유전자가 멘델 법칙에 따라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