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ryogenic and non-embryogenic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생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특성 : (II)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지질의 변화와 특성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chemical componen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II)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pid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남상해;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42-148
    • /
    • 1991
  • 개화후 15일된 대두미숙종자를 배양하였을 때 callus의 형성에 적당한 온도는 $24{\sim}27^{\circ}C$였으며, NAA를 생장조절제로 사용하였을 때 embryogenic callus(EC)가 많이 형성되었다. 또한 EC를 계대배양하였을 때 BA 2mg/1 사용한 배지에서는 shoot가, IAA 2mg/1 사용한 배지에서는 root가 많이 형성되었으나, BA 2mg/1 IAA 2mg/1를 동시에 사용한 배지에서는 callus의 형성만 왕성할 뿐, 기관분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배양체에 함유되어 있는 total lipid는 온도가 낮은 배양조건일수록 많았으며, callus의 생육이 왕성한 $24{\sim}27^{\circ}C$에서 glycolipid, phospholipid, free sterol의 함량이 다소 많아졌으며, embryogenic structure가 많이 생겨날 때에는 free sterol의 함량이 많았다. 배양체의 지방산 조성은 EC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았으며, 불포화도는 0.837이었다. 또한 sterol조성에서도 EC에서 cholesterol의 함량이 다른 배양체에서보다 현저히 높았다.

  • PDF

곡물류의 형질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IV) 벼 배발생 세포의 생화학적 특징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 of Crop Plants. IV.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mbryogenic Callus in Rice)

  • 정병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77-382
    • /
    • 1993
  • 벼(Oryza sativa L.) 캘러스는 2.0 mg/L 2,4-D와 0.5 mg/L kinetin이 첨가된 MS 배지에서 성숙종자로부터 유도되었으며 embryogenic callus(EC)와 nonembryogenic callus(NEC)는 색깔과 외부형태에 의해 경시적으로 선별되었다. EC와 NEC의 전체 단백질로부터 SDS-PAGE와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한 전기영동적 분석은 EC와 NEC의 각각에 대해 특이적, 양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EC와 NEC의 2차원 전기영동 분석은 약 20여개 이상의 EC 특이단백질과 10여개의 NEC 특이 단백질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아울러 EC 특이적인 90, 65, 50 kD의 단백질은 microheterogeneity를 보여주는 반면, NEC에서는 분자량의 변이가 큰 일련의 산성 이질단백질군을 보여주었다.

  • PDF

인삼근 캘루스의 체세포 배아 발생과 관련한 IAA 및 IAAsp의 수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EVELS OF INDOLE-3-ACETIC ACID (IAA) AND INDOLE-3-ACETYL-L-ASPARATE(IAAsp)IN RELATION TO SOMATIC EMBRYOGENESIS OF CALLI DERIVED FROM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ROOTS)

  • Chen Kai-hsien;Hsing Yue-ie;Chen Shuh-chun;Chang Wei-chin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45-48
    • /
    • 1984
  • 인삼근에서 유래된 캘루스중 배분화 유조직과 배분화가 되지 않는 유조직에 있어서 Indol-3-acetic acid (IAA) 및 Indole-3-acetyl-L-aspartate(IAAsp) 함량을 Ion-pair reverse phase HPLC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배분화 유조직의 IAA 및 IAAsp 함량은 배분화가 불가능한 유조직에 비해 각각 7 및 18배 함량이 높았다. 배분화가 되지 않은 캘루스로부터 얻은 추출물의 HPLC 프로파일상의 인돌 화합물 피크 부근에 특이한 미확인 피크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명한 차이는 배상체 발생 잠재력이 높은 유조직을 얻기 위한 배양조직을 선별하기 위한 확실한 파라메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Cryoprotectants and Cryopreservation Protocols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via Somatic Embryogenesis

  • Ahn, Chang Ho;Shin, Jung Won;Lee, Ha Na;Yoon, Hyun Won;Seo, Jeong Min;Kim, Yeoung Ryul;Baek, Saeng Geul;Nam, Jae Ik;Choi, Yong Eu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152-158
    • /
    • 2022
  • A cryopreservation is an essential tool for preservation of germplasm.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for cryopreservation of embryogenic cells of Siberian ginse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in liquid nitrogen (-196℃) was evaluated. The effects of glycerol and dimethyl sulfoxide (DMSO) at different concentrations (5%, 10% and 20%) as cryoprotectants on regrowth of cryopreserved E. senticosus embryogenic cells were teste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regrowth of embryogenic cells (p=0.0019). The highest and lowest fresh mass gain were achieved when embryogenic cells were frozen with 10% DMSO and 5% glycerol (138.2±5.9 and 61.3±14.6, respectively). The effect of the cryoprotectants on the frequency embryo germination was tes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lycerol and DMSO (p=0.846).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ryoprotecta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requency embryo germination (p=0.534). Finally, the genetic fidelity of the plantlets regenerated from non-cryopreserved and cryopreserved embryogenic cells was test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alysis. RAPD and ISSR analysises showed that there was no genetic variation among regenerants.

더덕의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 재생과 사포닌 함량 변화 (Plant Regeneration and Saponin Contents in Codonopsis lanceolata L.)

  • 최명석;최필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5-281
    • /
    • 1999
  • 더덕 (Codonopsis lanceolata)의 자엽기의 체세포배 는 생장조절제 를 함유하지 않은 MS고체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완전한 식물체로 분화되었다. 체세포배로부터 줄기 재분화에는 2% sucrose가, 뿌리의 분화에는 8% sucrose가 가장 좋았다. 줄기의 생장은 2% sucrose가, 뿌리의 생장은 4% sucrose 농도에서 가장 좋았다. 자연산 더덕뿌리, 재분화 개체의 뿌리, 배발생 캘러스, 비배발생 캘러스에서의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을 HPLC로 조사한 결과 각 조직간의 물질 함량은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고농도의 sucrose 함유 배지에서 재분화된 뿌리의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은 자연산뿌리와 비슷하였다. 세포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의 유용물질 생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via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in Korean fir (Abies koreana Wil.), A Korean Native Conifer

  • Lee, Hyoshin;Moon, Heung-Kyu;Park, So-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2-24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by using somatic embryogenesis in an important Korean native conifer, Korean fir (Abies koreana). Embryogenic masses were induced from mature zygotic embryos of the Korean fir on Schenk and Hildebrandt medium, which was supplemented with thidiazuron. For genetic transformation, the embryogenic masses were co-cultivated with a disarmed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C58/pMP90 containing the plasmid vector pBIV10 or LBA4404 containing the plasmid vector MP90. Both vectors contain the kanamycin resistance and beta-glucuronidase (GUS) reporter genes. A total of 48 lines of embryogenic masses were selected on mLV medium containing $50{\mu}g/mL$ of kanamycin after 4 weeks of culture, following 3 days of co-cultivation with A. tumefaciens strain C58/pMP90 carrying pBIV10 (none of the lines was cultivated with strain LBA4404 carrying MP90).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performed, and high levels of GUS transcripts were observed in the 48 putative transgenic lines; however, the control (non-transgenic line) showed negative results. Results of histochemical stain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GUS reporter gene was observed in somatic embryos that developed from the embryogenic masses of all 48 lines. Stably transformed cultur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by co-cultivation with A. tumefaciens strain C58/pMP90 carrying pBIV10 in Korean fir. Here, we have reported an Agrobacterium-mediated gene transfer protocol via somatic embryogenesis that may be helpful in developing breeding and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Korean fir.

들잔디 체세포 배발생 세포로의 DNA 전입을 위한 Electroporation 조건 구명 (Electroporation Conditions for DNA Transfer into Somatic Embryogenic Cells of Zoysia japonica)

  • 박건환;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9
    • /
    • 1998
  • Electroporation을 이용한 형질전환 연구에서 원형질체 대신 체세포 배발생 세포를 이용하여도 DNA가 도입될 수 있음을 이미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배발생 세포 내로 DNA를 도입하기 위한 electroporation의 최적 조건, 즉 전압과 capacitance 수준, promoter 종류, DNA 농도, 저온처리효과 등을 구명하며, 처리에 따른 DNA의 전입 현상을 이해하고 전기충격후의 생장과 분화 정도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들잔디 미숙배를 2,4-D가 2 mg/L 함유된 MS배지에서 배양하여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동일 조성의 액체배지에 진탕배양하여 조직 electroporation에 적합한 현탁배양 세포괴를 증식할 수 있었다. 100-400 V의 전압과 10-1980 $\mu\textrm{F}$의 capacitance 수준에서 세포괴를 35S-gusA 조성을 갖는 운반체 DNA와 함께 electroporation 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DNA가 도입되었음을 표지유전자 gusA의 transient 발현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200-300 V 전압과 330-800 $\mu\textrm{F}$ capacitance 수준이 보다 효과적인 경향을 보였다. 처리시 온도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6 $\mu\textrm{g}$/mL 이상의 DNA 농도에서는 GUS 발현이 양호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세포주들은 모두 DNA가 도입 되었으나 비 배발생 캘러스 세포주는 11개중 하나에서만 도입이 확인되었다. Electroporation시 전기충격후 20, 40시간 후에 DNA를 첨가하여도 gusA가 발현됨에 따라 전기충격이 세포막의 침투성을 장시간 변화시킴으로써 DNA가 전이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usA의 promoter로 CaMV 35S외에 Actl과 Ubil의 활성을 비교한 바, 35S에 비해 각각 7배, 5배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Electroporation 처리후 세포괴의 배양실험에서 100-400 V의 전압과 10-l980 $\mu\textrm{F}$ capacitance의 전 처리 범위에서 캘러스의 지속적인 생장과 함께 식물체 재분화가 일어났다.

  • PDF

오이 캘러스 분화시 광의 영향, 형태발생 및 단백질함량 (Light Influences, Morphogenesis and Protein Content on Callus Differentiation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이은모;조만현;송남현;우인식;이영복;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3-217
    • /
    • 2000
  • 기내에서 무균적으로 생장시킨 오이 유묘의 경단조직과 하배축을 배양하여 캘러스 분화 및 생장에 대해 조사했다. 오이 경단조직을 생장조절물질이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유식 물체로 분화하였으나 2,4-D가 0.5∼2 mg/L 첨가된 MS배지에서는 비배발생캘러스와 점액성캘러스가 유도되었고 배발생 캘러스는 분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묘 육성시 암조건에서 발아 후 5∼7일 된 개체의 하배축을 5∼10mm크기로 절단하여 2,4-D가 1.0 mg/L이 첨가된 MS배지에 50일간 광조건에서 배양했을 때에는 배발생캘러스와 배상체가 분화되었다. 아울러 하배축 유래 비배발생캘러스 중 백색캘러스는 45.1%가 발근된 반면에, 노랑색캘러스는 불과 0.6%만 발근되었으며. 조단백질의 함량은 백색캘러스보다 노랑색캘러스가 월등히 많았다. 배발생캘러스와 배상체에서 발달된 소식물체는 순화과정을 거쳐 비닐하우스 내의 고형배지경에서 양액재배로 정상적인 과실을 수확하였다.

  • PDF

유자 (Citrus junos SIEB.) 의 발생단계에 따른 미세구조적 특성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ges During in vitro Regeneration in Citrus junos SIEB.)

  • 박민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7-24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유자의 미성숙 배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 및 발생단게별 미세구조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유자에서는 배양 5-6주 경에 담황색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 6주경의 캘러스 세포에서는 인접하고 있는 작은 액포들이 융합하여 큰 액포를 형성하는 융합현상을 관찰하였다. 배양 12주 경에는 배발생 캘러스의 미분화 세포에서 특이하게 구형의 핵인을 가지고 있는 큰핵과 녹말로 가득차 있는 녹말체를 다수 관찰하였다. 배양 14-16주 경의 배발생 캘러스 세포에서는 활발하게 exocytosis가 일어나므로서 다수의 분배체들이 세포벽쪽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로부터 작은 입자들이 세포 간극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볼수 있었다. 또한 배양 24주경의 배발생 캘러스에서는 발달된 커다란 구형의 엽록체들이 이중막으로 세포질과 경계되어 있었으며 기질중에 일정하게 전형적인 그라나가 분포되어 있었다. 배양 26주경의 어린 정상 식물체의 미성숙잎에서는 다수의 도관과 반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배양 30주경의 정상식물체의 미성숙잎에는 다수의 작은 반세포들과 사관 그리고 중심액포들이 나타났으며 또한 작은 제2차 액포들이 커다란 중심 액포 속으로 끼어들어가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원형질막 근처에는 신장된 엽록체들이 분포되어 있었다.

  • PDF

Electroporation을 이용한 잔디(Zoysia japonica Steud.) 및 벼(Oryza sativa L.) 배발생세포로의 DNA 도입 (DNA Delivery into Embryogenic Cells of Zoysiagrass(Zoysia japonica Steud.) and Rice(Oryza sativa L.) by Electroporation)

  • 박건환;최준수;윤충호;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09-314
    • /
    • 1994
  •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단자엽 식물의 형질전환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발생 세포를 직접 electroporation하여 DNA를 도입하는 실험을 벼와 잔디에서 실시하였다. 잔디는 수정 후 3주된 미숙배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였으며, 2.4-D가 1 mg/L 함유된 액체 MS배지로 옮겨 진탕배양한 것을 electroporation 실험에 이용하였다. 벼는 20 mm 정도의 미숙화서 유래의 캘러스를 액체 N$_{6}$배지(1 mg/L 2.4-D 함유)에서 진탕배양하여 획득한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액체 진탕배양한 세포괴를 GUS expression vector인 pGA1074 (30 $\mu\textrm{g}$/ml)와 함께 MS 액체 배지에서 Electroporation하였다. 세포벽과 세포막을 통한 세포로의 DNA 전이는 GUS 유전자의 발현 여부 및 정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400 volt, 800 $\mu$F capacitance로 electroporation 처리된 벼와 잔디의 세포괴들은 200 ${\mu}\ell$ (packed cell volume)의 세포괴 당 25 unit (1 unit=파란색을 띤 독립된 세포군) 이상의 빈도로 GUS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무처리 세포주 및 처리한 비배발생 세포주에서는 GUS 발현이 일어나지 않음을 반복적으로 확인차였다. 따라서 electroporation에 의한 벼와 잔디의 형질전환실험에서 원형질체 대신 intact한 배발생 세포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