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utri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혐기성 소화조 오니의 탈수에 대한 요인분석 (A Study on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Anaerobic Digested Sludges)

  • 팽종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31
    • /
    • 1982
  • Factors affecting on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anaerobically digested or/and elutriated sludges were examined from 15 January 1982 to 30 April 1982,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ludges, either anaerobically digested or/and elutriated sludges, which were produced at the Joong Rang Cheon Sewage Treatment Plant wore found to be compressive in its nature, coefficient of compressibility ranged from 0.83 for unelutriated and 1.10 for elutriated. 2. Dosage of FeC13 for the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s were difficult to establish for the most favorable dosage rate, though the filterability indicated linear improvement with increased dosage from dosing rate excess of over 15% in terms of dry solids by weight,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examination. Optimum filterability were obtained with 9~11% of $FeCl_3$ for elutriated sludges, and required CaO, as aids, were appeared to be 2.5~3.5 times that of the $FeCl_3$ at that point by weight. 3. The specific resistances for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s showed higher value than the elutriated one, being $11 \times 10^{12} ~ 20 \times 10^{12}$ cm/g with no chemical conditioning, and $2 \times 10^{12} ~ 11 \times 10^{12}$ cm/g with conditioned ($FeCl_3$ + CaO) contrast to $0.5 \times 10^{12} ~ 2.0 \times 10cm/g$ for the elutriated. 4. The strength of the alkalinities before and after elutriation were measured to 10,000 ~ 15,000 mg/l and 1,500 ~ 2,000mg/l respectively. These alkalinities affected greatly on the filterabilities together with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matters in the sludges. 5. The yields with 11% $FeCl_3$, by weight to the DS, on the elutriated sludges averaged to $14.7 kg/m^2.hr$, and $3.2kg/m^2.hr$ for unelutriated sludges. Which was 4.6 times of not elutriated sludges. Elutriated sludges without chemical conditioner added showed much better filterabilities than with 15% of $FeCl_3$ added to the anaerobically digested and unelutriated sludges.

  • PDF

Cromakalim이 해명의 과민반응 매개체 유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ormakalim on the Release of Mediators in Hypersensitivity of Guinea pig)

  • 노재열;김경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3-274
    • /
    • 1993
  • $K^+$통로는 기도 평활근 세포에 존재하며 이들 통로가 활성화되면 평활근의 과분극의 결과 이완작용이 나타난다. $K^+$통로의 이런 효과는 과민반응과 천식 치료에 응용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K^+$통로 개방제인 cromakalim (BRL34915, CK)이 $IgG_1$ 항체로 감작시킨 기도 및 폐조직으로 부터 유리되는 매개체 유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동적으로 감작된 두 조직은 $2{\times}10^{-6}\;M$의 CK로 30분동안 superfusion시킨 후 CK와 항원 (Ox-HSA) 0.1 mg/ml로 자극하였다. 또한 비만세포를 이용하여 CK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해명 폐조직 비만세포는 효소에 의한 digestion method (monodispersed; 미분리 정제), count current elutriation에 의한 방법(partially purified; 부분분리정제), 그리고 discontinuous Percoll방법(highly purified; 순수분리정제)에 의해 순수 분리되었다. CK로 전처치한후, 피동적으로 감작된 비만세포는 OA와 CaI의 여러 농도에 의해 자극되었다. 유리된 Hist은 spectrophotofluorometry에 의해, LT는 면역방사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CK 전처치는 $IgG_1$ 감작후 항원에 의해 자극된 기도 조직에서 Hist 유리량을 35%까지, LT 유리량은 40%까지 감소시켰으나 기도 평활근 수축력에는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항원 유도 폐조직에 있어서 CK전처치는 Hist유리량을 25%까지 감소시켰으나 LT 유리에는 미약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해명의 미분리정제, 부분분리정제, 그리고 순수 분리 정제된 비만세포로부터 Hist과 LT은 면역자극(OA)이나 비면역자극(CaI)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리되었다. 비만세포에서 유리된 LT는 5-lipoxygenase억제제인 A64077에 의해서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CK전처치는 OA유도 및 CaI유도 해명 폐조직 비만세포에서 Hist과 LT 유리량을 20%까지 감소시켰다. $IgG_1$ 감작후 Ox-HSA유도 기도 평활근 조직이나 혹은 OA유도 및 CaI유도 비만세포에서 Hist과 LT유리에 미치는 CK의 억제효과는 TEA와 GBC에 의해 완전히 봉쇄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조직 비만세포는 LT를 유리할 수 있는 세포로 간주되며, 기도 평활근 이완제로 알려져 있는 CK은 특수 항원 유도 기도 평활근조직에서 매개체 유리를 부분적으로 억제하며, CK은 또한 OA유도 및 CaI로 유도된 순수분리 정제된 비만세포에서 매개체 유리를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비만세포가 활성화시 야기되는 여러 생화학적 현상중에서 미약하나마 $K{^+}$통로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삼 사포닌 단일물질이 알러지 과민반응의 매개체 유리기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 Component of Ginsenosides on the Mechanism of Mediator Release in the Allergic Hypersensitivity)

  • 노재열;김경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3-254
    • /
    • 1994
  • Inflammatory diseases, allergic and asthmatic disorders are caused by the mediator release from the activation of the phospholipase C (PLC), phospholipase D (PLD), methyltransferase or adenylate cyclase etc. during IgG or IgE cross-linking of high affinity receptors on mast cells or basophil surface. One important enzyme activated after IgG or IgE receptor cross-linking is PLD, the enzyme which converts phosphatidylcholine (PC) to phosphatidic acid (PA).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se may be some differences in mediator releas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LD activity, we attempted to confirm the ginseng saponin effects on the PLD activity. We examined the PLD activity during the passively sensitized mast cell activation in the presence of single component of ginsenosides $(Rc,\;Rg_1,\;Rg_2,\;Rg_3)$. We also measured the amount of mediators (histamine and leukotrienes) released by stimulating with ovalbumin (OA) or calcium ionophore (CaI), Guinea Pig lung mast cells were purified using enzyme digestion, count current elutriation, and discontinuous Percoll density gradient. In purified mast cells prelabeled with $[^3H]$ arachidonic acid or $[^3H]$ palmitic acid, PLD activity was assessed more directly by the production of labeled PEt by PLD-mediated transphosphatidylation in the presence of ethanol. Histanine release was determined by Spectrophotofluorometry, and leukotrienes by radioimmunoassay. The PLD activity during the passively sensitized mast cell activation is increased up to $3{\sim}5times$. The PLD activity during the passively sensitized mast cell activation in the presence of all ginsenosides is decreased up to $4{\sim}11$ times. $Rg_l\;and\;Rg_2$ ginsenoside pretreatment decreased histamine and leukotrienes by 50% in the OA-induced or by 40% in the Cal-induced mast cell after passively sensitization. Rc pretreatment poorly decreased histamine but leukotrienes decreased by 70% in the OA-induced or by 35% in the Cal-induced mast cell. $Rg_3$ ginsenoside pretreatment increased histamine release without challenging OA or Cal but leukotrienes decreased.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single unit of ginsenosldes may be an important contributor to inhibit the release of histamine and leukotrienes in the guinea pig lung mast cells, that inhibits the PLD-mediated formation of DAG evoked by mast cell activation.

  • PDF

서산 산동리 고려시대 도기의 물리화학적 및 고고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of Goryeo Period Potteries from the Sandongri in Seosan, Korea)

  • 이찬희;진홍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39
    • /
    • 2016
  • 서산 산동리 출토 고려시대 도기를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및 고고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기의 표면색은 주로 회청색을 보이나, 바탕흙이 용융된 것으로 보이는 자연유가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소성과정에서 가스가 방출되어 생긴 부푼 흔적이 관찰된다. 대부분 시료에서 $1({\times}10^{-3}SI\;unit)$ 이하의 전암대자율 값을 갖는 것과 전체적인 산출상태 등으로 보아 유사한 태토로 제작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도기의 비중, 공극률 및 흡수율은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되며 부푼 흔적이 있는 시료에서 차이를 보인다. 태토는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석영이 관찰되고 일부 시료에서는 유색광물이 확인된다.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도기는 견고하고 치밀한 기질에 석영과 뮬라이트가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보아 $1,100^{\circ}C$ 내외에서 소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기과 번조받침의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을 살펴보면, 주성분원소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희토류, 호정 및 불호정원소가 상당히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따라서 도기제작은 동일 종류의 기반암에서 거의 동일한 진화경로를 거친 성인적으로 유사한 태토를 사용하였으며 정선과정을 거쳐 만든 것으로 해석된다.

슬러리형 돈사폐수에서 자원회수와 질소제거를 위한 순차적 결합공정 제안 (A Proposal of Sequencing the Combined Processes for Resources Recovery and Nitrogen Removal from Piggery Waste)

  • 황인수;민경석;배진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66
    • /
    • 2006
  • 슬러리 형태의 돈사폐수로부터 자원회수와 질소제거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ADEPT(Anaerobic digestion elutriated phased treatment) 공정과 SHARON(Single reactor system High Ammonium Removal Over nitrite)-ANAMMOX(Anaerobic ammonium oxidation)공정을 결합하여 운전하였다. ADEPT 공정은 부하율 3.95 gSCOD/L-day에서 운전되었고, SCOD 생성율과 산생성율은 각각 5.3 gSCOD/L-day와 3.3 gVFAs/L-day(as COD)였다. 가수분해에 의한 VS감소와 SCOD생성율은 각각 13%와 0.19 $gSCOD_{prod}/gVS_{feeding}$였으며, 산생성율은 0.80 $gVFAs/gSCOD_{prod.}$였다. 메탄발효조에서 가스생성율과 메탄함량은 각각 2.8 L/day($0.3m^3CH_4/kgCOD_{removal}\;@STP$) 및 77%였다. 운전조건에서 $NH_4-N$ 94.1% (TKN으로서 86.5%) 및 T-P 87.3%가 제거되었다.

스테로이드 합성을 교란하는 내분비계장애물질 검색을 위한 라이디히 세포 분리 및 배양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Purification and Incubation Conditions of Leydig Cells for Screen Endocrine Disruptors Altering Steroidogenesis)

  • 강일현;강태석;강호일;문현주;김태성;기호연;류혜원;신재호;동미숙;한순영;김승희;홍진환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3-58
    • /
    • 2006
  • Normally, environmental toxicants are classified as endocrine disruptors if they interfere with regulation of cellular function by endogeneous steroids through inhibition of receptor binding and/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So,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bout agonist/antagonist of hormone receptor to study mechanisms of endocrine disruptors. If toxicants affect steroid biosynthesis and/or degradation and alter hormone homeostasis, these also are classified as endocrine disruptor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the mechanisms of endocrine disruptors on the basis of alteration of steroid biosynthesis and/or degradation. Isolation and culture of Leydig cells from testis is one of methods for the steroidogenesis screening assays to evaluate a substance for altering steroidogenesis. Leydig cells were harvest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by Klinefelter with modifications. Leydig cells were purified by perfusion of testis and incubation ($34^{\circ}C$, 80cycles/minute, 20 minutes) with collagenase (0.25 mg/kg), centrifugal elutriation, percoll gradient centrifugation and BSA multi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To confirm if this method is one of appropriate tools to evaluate a substance for altering steroidogenesis, ketoconazole, positive control was administered to purified Leydig cells. Ketoconazole ($10^{-8}M$ and above) significantly reduced testosterone production in purified Leydig cells. From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this method for steroidogenesis screening assay appears to be a appropriate tool to detect suspected compounds for altering steroidogenesis.

  • PDF

부유밀도구배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말초혈액단핵구로부터 고순도 및 고수율의 단세포 분리방법 (Isolation of Monocytes with High Purity and Yiel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by Flotation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 배재호;손철훈;박유수;김동완;김선희;강치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28-7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BMC로부터 고순도 및 고수율의 단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Histopaque 용액의 density 및 osmolarity를 PBS와 NaCI 용액으로 1.072 g/ml 및 335 mOsm로 조절하여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인 부유밀도구배 원심분리법을 개발하였다. 위와 같이 조절된 Histopaue 용액을 사용하여 부유밀도구배 원심분리를 시행한 결과 단세포는 Top층에서 가장 많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단세포의 순도는 71.44${\sim}$82.38%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74.75${\pm}$3.84% 이었다. 또한, 수율은 21.02${\sim}$53.63%의 범위를 나타내어 평균 32.62${\pm}$11.16% 이었다. 이러한 방법의 부유밀도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단세포를 수지상세포로 분화 유도시켜 그 형태, 표현형, 기능적인 면을 분석해 보았을 때 전형적인 수지상세포의 기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PBMC로부터 단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부유밀도구배 원심분리 방법은 plastic adherence, elutriation 및 immunomagnetic selection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다. 나아가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임상단계에서 수지상세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closed system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단층대의 단층활동에 수반된 열수변질작용시기 (Timing of the Hydrothermal Alteration Associated with the Fault Activities along the Ulsan Fault Bone, Southeast Korea)

  • 조규환;다카기히데오;이와무라아키라;아와지도타;장태우;손승완;이타야테츠마루;오카다도시노리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6호
    • /
    • pp.583-593
    • /
    • 2001
  • 단층비지의 주성분인 점토광물은 K-Ar 연대측정법으로 단층활동 시기를 구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이 논문은 울산 단층대의 주요 단층활동에 수반된 열수변질작용 시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단층비지 세 시료를 각각 5-2 $\mu$m , 2-1 $\mu$m, 1-0.35 $\mu$m, 0.35-0.05 $\mu$m 입자 크기로 분리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해 X선 회절분석과 K-Ar 연대측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단층비지는 석영, 장석류로 구성되며, 점토광물은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가 확인된다. 운모점토광물의 일라이트 곁정도지수는 작은 입자 크기에서 큰 값(0.58-1.08)을 보이고 저온에서 안정한 일라이트(IM)가 우세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열수변질작용을 수반한 단층활동 동안에 생성된 운모점토광물이 작은 입자 크기에 농집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각 시료의 K-Ar 연령은 46-35 Ma(330-2), 45-39 Ma(16Ww) 및 32-15 Ma(102Ws)이며, 작은 입자 크기로 갈수록 연대값이 젊어진다. 이 결과는 울산단층대의 주요 단층활동에 수반된 열수변질작용이 39-35 Ma와 15 Ma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일메나이트광의 유동층 염화반응에 대한 수치적 예측 (Numerical Prediction for Fluidized Bed Chlorination Reaction of Ilmenite Ore)

  • 정동규;정은진;이미선;김진영;송덕용
    • 청정기술
    • /
    • 제25권2호
    • /
    • pp.107-113
    • /
    • 2019
  • 2단 유동층 염화로에서 일메나이트광의 선택염화반응과 이산화티탄의 탄소염화반응의 염화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shrinking core 모델과 유출률 및 입자파손을 고려한 수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입자분포를 고려하여 입자별 물질 수지와 염화반응을 반영할 수 있는 유동층 염화 반응 해석이 가능하다. 유동층 염화로의 실험값과 비교하여 약 6% 오차율의 정확성을 보였다. 입자 크기에 따라서는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염화도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염화도 1의 값에 도달하는 반응시간 차이가 약 100 min 정도로 나타났다. 온도의 변화($800{\sim}1000^{\circ}C$)에 대한 염화도의 변화는 염화도 0.9에 도달하는 반응시간이 약 10 min 차이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1단계 선택염화공정에서 일메나이트광의 질량감소율은 180 min 경과 시에 이론값인 0.4735 값에 근접하고, Fe 성분의 염화도는 $FeCl_2$ 또는 $FeCl_3$로 변환되어 180 min 경과 시에는 거의 1의 값을 보인다. 2단계 탄소염화공정에서 $TiO_2$의 염화도는 180 min 경과 시 0.98에 근접하고, 질량분율은 0.02에 도달하여 $TiCl_4$로 변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 선택염화공정에서 $TiO_2$는 180 min 경과 시에 98%까지 생성되었다가 연속적인 2단계 탄소염화공정에서 추가로 90 min 경과 시(총 경과 시간 270 min)에 99% $TiCl_4$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질량감소율도 99% 이상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