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ementary textbooks

검색결과 920건 처리시간 0.026초

최근 20년 동안의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cus on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Last Twenty Years)

  • 김남훈;김형진;정숙진;김동석;김지숙;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87-499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과학과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초등 과학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 156편을 분석하여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기준은 '형식'과 '주제' 두 개의 대범주로 구성하고, '형식'의 하위 범주로 '발행연도', '대상 교육과정', '분석 학년', '과학 내용 영역', '분석 대상', '발행 기관'을 '주제'의 하위 범주로는 '비교 연구', '내용 분석', '삽화', '탐구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 '기타'로 설정하였다. '형식'에 대한 분석 결과 거의 매년 교과서 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전 학년(3~6학년) 및 과학의 전 영역을 대상으로 다룬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과학교육 관련 학회지뿐만 아니라 비관련 학회지에서도 과학 교과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 비교 연구, 내용 분석, 삽화, 탐구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 순으로 연구 비율이 높았다.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천문학적 공간 개념 측면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 탐색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 유은정;박경진;정찬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480-497
    • /
    • 2021
  • 본 연구는 천문 영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을 천문학적 공간 개념 이해라는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우주' 영역 성취기준의 해당 단원을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찾아 텍스트, 삽화,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귀납적으로 도출한 공간 개념 분석 준거에 따라 중등학교 교과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학습 내용의 적정화를 준수하고자 실생활과 연계된 관찰 가능한 천체를 대상으로 개념보다는 현상 위주로 내용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관찰과 현상 위주의 실생활과 연계된 천체 관측 학습 내용이 초등학생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학생들의 지적 참여를 격려하기 위해서는 '왜'라는 질문에 대해 학생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단순히 과학적 실행을 통해 학생들이 관찰한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에 주목하기보다, 과학적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전이 가능한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핵심 개념에 대한 내용 조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문화 및 장애의 측면에서 초등 과학 교과서 인물 삽화의 다양성 분석 -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Diversity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ism and Disability: Science Textbooks in Third Grade)

  • 김정연;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618-629
    • /
    • 2023
  •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으나 초등 과학 교과서를 인종이나 장애의 측면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의 다양성을 다문화와 장애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 초등 과학 교과서 중 3학년 1, 2학기 교과서 7종 총 14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의 인종을 분석한 결과, 3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 중 다문화 인물 삽화는 8.2%로 실제 국내 거주 외국인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종별로는 백인 삽화가 가장 많고 아시아계 외국인 삽화가 가장 적어, 아시아계 외국인이 많은 우리나라 상황과는 다른 분포로 제시되고 있었다. 출판사별로는 이 분포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인물 삽화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59.0%, 여성이 41.0%로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출판사는 남성 다문화 인물이 80%에 이르는 등 출판사에 따라 성별 편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삽화의 기능 측면에서 한국인과 다문화 인물 삽화의 분포는 설명적 기능의 삽화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예시적 삽화, 장식적 삽화, 보충적 기능의 삽화 순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과학 교과서의 인물 삽화를 장애 다양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장애인의 비율은 2.0%로, 국내 장애인 비율보다 적은 비율이었다. 인종과 장애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상황과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열과 온도에 대한 대안개념 조사 (Investigating Elementary Students에 Alternative Conceptions of Heat and Temperature)

  • 최행숙;김은경;백성혜;이길재;정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123-137
    • /
    • 2001
  •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related to 'heat and temperature' are analyzed and alternative conceptions ofi"heat and temperature" among students enrolled in grades 4, 5 and 6 are investigated. 259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rban area.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and the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re also examined. Students' conceptions are analyzed from their answers to a paper-and-pencil test. The typical alternative conception of "heat and temperature" held by students was follows. They think that "heat" is a material and "temperature" is value of heat amount. They can't distinguish between "heat" and "temperature". Their explanation of "heat and temperature" is focused on hot or cool sensation and other observable characteristics of a material. A textbook analysis indicated that contents on "heat and temperature" were organized without the viewpoint of particle motion theory. This may be one of the causes of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 PDF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xtbooks of South Korea, Singapore, and Japan Focused on the Teaching of the Time)

  • 조영미;임선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21-4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간 지도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국, 싱가포르,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두 나라에 비해 시간의 덧셈과 뺄셈의 사칙 계산과 그 알고리즘이 강조되고 있었다. 또한 두 나라에 비해 시간 지도 요소 항목이 많이 편이었으며, 소재와 시계 모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것들이 반복 사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간의 흐름이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 PDF

한국 초등학교의 수학 교과서 체제 변천에 관한 연구 -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Mathematical Textbooks System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 최혜령;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9-128
    • /
    • 2020
  • 우리나라는 교육의 핵심을 공교육인 학교 교육에 두고 있으며 교육부가 고시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과서가 편찬되고 있다. 따라서 질 높은 교과서의 편찬은 매우 중요하며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일 이상의 정성과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도 그 동안 여러 차례 교과서 개발에 힘써왔으나 선진 외국 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 외적 체제나 편집 디자인 면에서 획일적인 교과서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는 교과서를 편찬할 때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인 교과서의 내적 체제에만 편중된 결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역사상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었던 7차 교과서에서부터 2015 현행 교과서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나라 국정 교과서를 차수별로 살펴보고,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가에 대해 의미있는 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로 나누어 분석한다. 교과서의 외적 체제는 판형, 자형, 지질, 색상의 변화와 삽화 분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내적 체제는 단원의 구성 체제와 차시의 구성 체제의 변화 및 발문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교과서의 변화 양상에 대한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USA and Korea for leaching the Returnee Students)

  • 한영욱;김대홍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cont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Science Horizons) and Korea for teaching the Returnee students. The analyzed contents are the name of chapters, the number of chapters, the page amounts of chapters, the structure of chapters and the studying time of chap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Korean science textbook's number is 20. 'Science Horizons' has 6. Korean science textbook's total number of chapter is 58, 'Science Horizons' is 75. Korean science textbook's total number of page is 1,60.3, 'Science Horizons' is 2,106. So 'Science Horizons' has more number of chapter and page than Korean textbooks. 2. The ratio of Korean science textbook's contents is as follows: physical area, 22.4%; chemistry area, 12 1%: biology area, 39.6%; earth science area, 25.9%. But the ratio of 'Science Horizons' science textbook's contents is as follows: physical area,21.3%; chemistry area,4.0%; biology area, 46.7%; earth science area. 28.0%. 3. In case of 'Predicting the Weather' chapter, Korean science textbook has 3 lessons, 17 themes and 11 activities, whereas' Science Horizons' has 5 lessons, 10 themes and 5 activities. 4. The themes or chapters of 'Science Horizons' to propose deeper than Korea are about animals and plants, energy and movement, weather and season. our body, and earth and outer space. In case of Korean textbook are about chemistry area, the rock and volcanic activity and electric circui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contents. And the returnee students has many troubles to adapt korean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know and understand that, and help them.

  • PDF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zing Environmental Course for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최영분;민병미;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1호
    • /
    • pp.1-30
    • /
    • 2005
  • Environmental education as worldwide sustainable education is effective when it is carried out as early as possible. But we do not have any aims and textbook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stematizing environmental syllabus as sustainabl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was conceptualized, secondly, the ai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set up, thirdly, domai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revised, and lastly, the syllabus for environmental instruction were created for each grade. Literature review was practiced over 143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from the 4th to 7th curriculum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conceptualized as an integrative education to keep the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Second, the synthetic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set up as 'cultivating desirable environmental people that behave for the sustainable future with environment-friendly value and attitude. Third, our environmental domains were divided into 11-12 independent areas, and 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as located on the subcategory of environmental domain. These domains were revised into three environmental domains and five sub-domains. Fourth, according to the ai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and five environmental domains, 253 objectives were established. Fifth,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10 subject matters and integrative objectives were presented. Sixth, based on the objectives of domains and subject matters, 255 content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abstracted and distributed to each grade in the consideration of balance among domains and appropriateness of grades. Seventh, analytic results of textbooks of 7th curriculum shows heavy stress on the 'knowledge perception' section and deficiency on the altitudes and behavior section. The environment-related level and contents overlapped and fragmented deeply. Furthermore, 33 parts of textbooks could bring to mis-concept on environment.

  • PDF

초등학교 교과서의 신.재생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및 교재 개발 (Content Analysis of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Development of Workbook for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 천은주;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1호
    • /
    • pp.70-8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o develop workbook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contents analysis energy education an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through textbooks on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ubjec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energy are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Science, and Practical Arts. Contents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are taught $4{\sim}6th$ grades bu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ontents are very poor. Second, this study developed workbook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s. The workbook is organized with 5 themes that are the need of new & renewable energy, the definition and kinds of new & renewable energy, strengths and weakness of new &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 case of new & renewable energy, and the applic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to practical life. Third, to improve workbook developed, it was applied to 6th grade and then more appropriately modified.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the following for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Energ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equally be taught through the all scope of energy education. To solve the energy problem, the content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much more both quantity and quality.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workbook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reinforce current textbooks that is being taught a little content of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 PDF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55-676
    • /
    • 2008
  • 본 논문은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계 지도 목표 및 내용을 살펴보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 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래프별로 지도 방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수준에 따라 교과서와 익힘 책의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통계 내용과 관련하여 차기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