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9초

Development of Scale Tools for Measure Programming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im, Ji-Yu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87-192
    • /
    • 2017
  •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scale tools for measure programming task value and learning persistence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complete test tools, we have improved the completeness by revising tests through stepwise verification. The first scal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5 out of 14 items of the task value test tool and 1 out of 10 items of the learning persistence test were not suitable. The second test tools were construct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first scale, and consisted of 13 items of task value and 8 items of learning persistence. As a result of the contents validity test, all the items included in the test tool proved to be valid. The reliability of the secondary testing tools were also found to be reliable at ${\alpha}=.970$ and ${\alpha}=.975$, respectively.

중. 고등학교에 있어서 독서교육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81-215
    • /
    • 1987
  • Reading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the refinement, cultivate the emotion and complete the character to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reading education as a formal course in secondary schools, responsibility of teaching and problems related to recommended reading lists. Reading education must separate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ecause of literature centered education in reading education. If reading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udents can a n.0, pproach to the other cultural boundary besides other own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ideas. So, reading education must be included to the elective subjects in a independent course or become a compulsory subject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teacher of reading education must become the teacher librarian who has a firm faith and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But, teacher-librarian has much disadvantages such as the problems of promotion, the division of qualif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a short-term training courses for teacher-librarian. Hence, theses problems music be solved in national administrative level. Recommended reading lists must be provided to the student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sense of value, to estimate their own reading ability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life long reading plan. Therefore, bo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re-examine and develop recommended reading lists. Finally, problems of a juvenile delinquency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have to be solved through reading education. To solve th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adolescents should cultivate their moral character and possesses abundant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Then, young adults will grow as sound citizen in the society.

  • PDF

창의·인성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과정 기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Effect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유병길;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704-171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301 students Y Elementary school managing Creativity Personality Model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231 students G elementary school in G city, Gyungsangnamdo. Before carrying out the study, both groups took the preliminary examination about their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After three month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ook the post examination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for whole students, and boy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s, but made no difference for girl students. Secondary, in the case of science process skills, the averag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for whole students including boy and girl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s. In light of these, it was thought that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positively effected on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ce process skills.

학교 급식시설의 공간 분석 연구 - 2009년 이후 개교한 수도권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for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Focu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Since 2009 -)

  • 서붕교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lanning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to operate with hygiene and efficiency corresponding a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space for foodservice facilities categorizing by the functions which are preparation area, cooking area, cleaning area, storage, and worker's room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city since 2009 that the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published a manual for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The calculation can be a basis for school planners and the general schools to use available area in each school and can manage the school usage plan appropriately.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school has been regarded as the space planning element, but the number of students would considered with using the specific area and time.

초·중등 발명·지식재산 교육과정의 적정 편성 방안 연구 (An Analysis of Proper Curriculum Organization Pla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 이규녀;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6-124
    • /
    • 2017
  • 이 연구는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표 및 교육과정에 대한 적정 편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대상으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핵심 목적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목적은 초등학교가 '발명 인식과 태도 함양'(M=4.5), 중학교가 '발명 과정과 기법 이해'(M=4.2), 일반계고가 '발명 기법 적용 및 평가'(M=4.1), 특성화고가 '직무 발명 이해와 적용'(M=4.6)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교육목적 및 목표도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에 대한 적정 편성 방안은 선행문헌의 편성 실태와 대동소이하게 나타났으나,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적 및 목표에 따른 각 학습요소의 편성 비중은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발명의 기본적인 학습요소(발명의 이해(A), 창의성 이해와 활동(B), 문제 인식과 활동(C), 문제해결과 활동(D), 발명 융합 지식(E), 발명 기법과 실제(F))에 집중하여 편성하고(73.2%, 65.1%), 고등학교는 초 중학교에서 집중했던 기본 학습요소의 비중을 낮추며(51.0%) 발명과 진로(H), 특허 출원(K) 등 발명과 연계되어 확장된 학습요소들의 비중을 높여 편성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 체계는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 학습요소는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등 타일러(Tyler)의 학습조직 원리에 근거하여 학교급별로 적정 편성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특성화고는 초 중학교뿐만 아니라 일반계고와의 차별화가 필요하며 직무 발명 이해와 적용을 위한 중등 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교육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Focusing on International School for Geoscience Resources)

  • 이윤수;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2-9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를 분석하여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에게 어떠한 만족도와 교육 효과를 보이는지와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향후 교원연수과정 운영에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2017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총 4회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및 중등교원 98명을 대상으로 학습생태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는 초등 중등교원연수 모두 4.58 이상의 다소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가 연수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습동기와 학습발달을 나타내는 내부 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 4.70, 중등교원연수 4.64였으며, 지질과학 및 지구과학 전공과 이외의 전공으로 구분하여 연수 콘텐츠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중간요인은 초등교원연수가 4.67, 중등교원연수가 4.72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원연수가 과학기술문화라는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 교수 학습 모형의 개발과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지원과 강사의 질을 나타내는 외부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가 4.83, 중등교원연수가 4.72로 초등교원연수가 중등교원연수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연수중 수업의 흥미유발과 학교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연수교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위한 실개천 체험 유러닝 콘텐츠 개발 (The Stream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우석;정철영;이재호;김재호;이윤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95-110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am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the researchers commissioned detailed examination to experts to confirm validity, did a literature review and hosted expert forums. In addition, to enhance accessibility, they asked fairytale writers to develop easier and more valid scenarios and narrations of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content is for 18 hours of education and has three sections: i) Preparation, ii) Exploration, and iii) Arrangement. Since the content has been developed based on SCROM, it is expected to have re-usability, accessibility, compatibility and durability. Based on evaluation criteria of u-learning contents suggested in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group commissioned evaluation to ten exper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of each school level. Recommendations for applying the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content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nd provided both online and offline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fully utilize them. To this end,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u-learning training center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uld be used. Since content requires interaction not only between learners of the content but also between learners and operators, addition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conte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PDF

${\cdot}$중등학교 교과서의 우유 영양교육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Milk-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un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 윤인경;김규태;김정현;박동호;서지영;박선영;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1-23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우유에 대한 영양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에게 우유에 대한 영양 섭취 및 소비행동에 유익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cdot}$중등학교 교과서(1학년$\~$10학년)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교육을 통해 지도되어야 하는 우유 교육 내용의 체계화안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은 2학년 6학년을 제외한 4개 학년의 교과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학년의 통합교과, 과학, 실과, 체육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가장 많은 내용을 다룬 교과서는 실과이며, 우유의 영양에 대한 기초 지식 중심의 정보와 우유 마시는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우유 영양교육은 7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과학, 기술${\cdot}$ 가정, 체육 교과서에서 고르게 다루어졌다. 가장 많은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룬 교과서는 기술${\cdot}$가정이며 우유의 성분 및 주된 영양소 식품으로서의 특징과 선택 및 보관 방법. 실생활에서 균형식으로서의 실천 방법 등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교과목간 학교급별간 중복 및 지식 제공의 위계가 맞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따라서 우유에 대한 영양 교육도 학교급별로 대상에 맞게 영양 교육 내용의 수준을 적정화하고 체계화하며, 교과목간 및 우유 급식 등과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cdot}$운영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 PDF

중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 and Ontological View about Nature)

  • 원정애;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58-1172
    • /
    • 2004
  • 이 연구는 중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중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과 그러한 관점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56명의 중등학생들이 참여했고,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 설문지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 중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 중에는 자연은 알 수 없다는 인식론적 관점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관점의 근원은 자연의 규칙성과 조화, 예측 가능한 자연 현상, 자연 현상의 순환 과정이나 인과 관계,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중등학생들의 존재론적 관점에는 초자연적인 관점이 가장 많았다. 존재론적 관점들 중에서 학생들의 초자연적 관점은 그들의 신학적 측면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과학이 다루는 세상이면서 동시에 과학의 대상물이 존재하는 물질세계인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은 학습자가 과학 학습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한 바탕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앞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과 그들의 과학 학습 과정 사이의 관련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Attitudes of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wards Science Lessons and Scientists)

  • 송진웅;박승재;장경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9-118
    • /
    • 1992
  • In this study, the attitudes of about 1200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owards sciences lessons and scientist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simillar numbers of students in Seoul were selected from the 5th, 8th and 11th grades and from both sexes. For the attitudes towards science lessons, in the survey questionnaire, there were questions on the type of science lesson which students prefer and on student's assessment of science lessons which they receive. For the attitudes towards scientists, there were questions on scientists whom students respect, on students assessment of scientists and on students assessment of themselve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great majority of students prefered the laboratory-based to classroom-based lessons, but this tendency was less apparent in olderstudents.More boys, compared with girls, prefered laboratory-based study. (2) The student's assessment of science lessons was positive in the elementary school, neutral in the middle school and negative in the high school level. Boy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study of science. (3) Apparently more girls than boys mentioned Madam Curie as a scientist whom they respect, Students tended to respect scientists in terms of their personalities rather than their cognitive abilities. (4) Students tended to assess that scientist's are more able than themselves in cognitive areas while themselves are better in affective areas. The gap between student's asessments of scientists and that of themselves became bigger in high school students. The gap between boy's assessments of themselves and girl's assessments of themselves was bigger in high school level than in middle school. (5) The decline of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lessons was bigger than their attitude towards scienti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