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management

검색결과 3,568건 처리시간 0.031초

EDI 방식과 XML 방식간 통합관리를 통한 전자신용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XML and EDI Electronic Letters of Credit)

  • 장상식;안병수
    • 무역상무연구
    • /
    • 제58권
    • /
    • pp.237-263
    • /
    • 2013
  • Traditionally, a L/C (letter of credit) has been known as a relatively low risk method of payment. This is why L/C has been used in international trade. However, L/C has a number of weak points such as high cost, long processing time, and complicated documents. Using an electronic L/C is one way to solve those weak points. In Korea, there are two types of electronic L/C. One is the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based L/C and the other one is the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based L/C. The former, established in 1990's, is sent from banks to the beneficiary solely through VAN (Value Added Network, KTNET) operator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tarted in 2005, is sent from banks to KFTC (Korea Financial Telecommunications & Clearings Institute) for management of the L/C balance, as well as to KTNET. So far, paper L/C and EDI based L/C have been used overwhelmingly instead of XML based L/C in spite of the aforesaid disadvantages. In this paper, the authors examined empirically why the users of electronic L/C were reluctant to use XML based L/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rs of paper L/C were more dissatisfied than the users of electronic L/C due to many factors such as cost, the time required, and information reuse. Second, the users who have more experience with XML based L/C wanted to adopt integrated management with EDI based L/C more than the users who had not experienced XML based L/C. Third, the users who had used more than one form of L/C wanted to adopt integrated management to EDI and XML based L/C more than the users who had only used one form of L/C. Therefore, the authority for electronic L/C should consider a change of the policy from the XML based electronic L/C oriented to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various types of L/C.

  • PDF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통합관리 유형 연구 (Trends in Integrated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in Academic Libraries)

  • 장덕현;최원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01-221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정보원 통합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도구들의 개발 동향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자원 통합관리 시스템 사례를 통해,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전자자원 서비스의 유형과 전자자원 관리의 요건들을 조사하였다. 우선 전자자원의 관리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자자원의 라이프사이클을 이해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자원관리시스템(ERMS)의 기능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전자자원관리시스템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 DLF의 ERMI의 기능적 특징들을 일별하고, 전자자원의 라이프사이클 단계에 맞추어 그 기능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전자자원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고 있는 전자자원관리시스템 2종을 사례로 선정하고 이를 사용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포털의 전자자원서비스 영역을 조사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유형들을 파악하였다.

Transforming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s into Electronic Commerce Marketplaces: Development of B2B Electronic Commerce in China's Pharmaceutical Industry

  • Li Mingzhi;Tu Yulin;Wang Xiaochen;Reimers Kai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1권3호
    • /
    • pp.61-78
    • /
    • 2005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barriers to the B2B e-commerce development in China's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o devise an effective strategy for its future development. Built on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market structure and recent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erce in China's pharmaceutical industry,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key issue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B2B e-commerce business models is the successful transformation of the inter-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s into electronic marketplaces.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such electronic marketplaces, a government driven approach will be needed. In the process, designing an incentive compatible mechanism of coordinating the interest of all the market players will be the prerequisite.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Appraisal Process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 김명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187-214
    • /
    • 2008
  • 본고에서는 기록물의 내용이 아닌 기록이 생성된 기능에 기반을 두고 행해지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전자기록 환경에서 기능평가는 가장 보편화된 평가방식으로, 기록물의 생산 이전단계부터 수행되는 연속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형성하게 된다. 종국적으로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는 업무맥락 및 기록품질을 지님과 동시에, 조직의 영위 및 업무 수행에 필수적인 전자기록을 선별해 주게 된다.

정비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자문서자동화시스템 모형 - 건설장비 정비작업을 중심으로 - (Electronic Document Automation System Model for Improving Productivity in maintenance work - in Inspection Process of Construction Equipment Maintenance -)

  • 공명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58
    • /
    • 2017
  • This paper suggests a specific model that could efficiently improve the interaction and the interface between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erver and POP(Point of Production) terminal through electronic document server and electronic pen, bluetooth receiver and form paper in disassembly and process inspection works. The proposed model shows that the new method by electronic document automation system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to reduce processing time for maintenance work, compared with the current approach by handwritten processing system. It is noted in case of the method by electronic document automation system that the effects of proposed model are as follows; (a) While the processing time per equipment for maintenance by the current method was 300 minutes, the processing time by the new method was 50 minutes. (b) While the processing error ratio by the current method was 20%, the error ratio by the new method was 1%.

전자민주주의 매체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Media Effectiveness for Electronic Democracy)

  • 오재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5-234
    • /
    • 1998
  •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analysis of electronic democracy media, although electronic democracy, if adopted in Korea, is exp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political culture to a large extent. This research is to compare electronic democracy media, such as Internet, cable TV, teleconferencing, fax, and ARS and suggest recommendations on the successful Introduction strategy of electronic democracy in Korea.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yields research findings, such as the fact that internet will be the most effective medium and a strategy for popularizing internet needes to be developed in advance.

  • PDF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를 위한 평가 프레임웍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for e-Clinical Data Management)

  • 이현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5-55
    • /
    • 2012
  • 임상시험 전체 소요시간 및 비용의 절감, 임상 데이터 질의 향상을 위해 임상시험 전자자료의 관리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는 전자 임상시험의 안정성 및 질을 위해 규정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자적 시스템을 활용한 임상시험에 있어 데이터 관리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웍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임상시험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기반능력, 연구설계, 연구진행 및 연구완료 등 네 개의 주요 메트릭을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관리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척도를 도출한다. 이때 각 성과척도의 도출 기준은 임상시험 자체가 지향하는 데이터의 질 향상, 전자자료 관리 프로세스의 비용과 효율성 및 규정 준수 수준 등 네 가지의 관리적 관심을 기준으로 하며, 각 성과척도 별로 전자자료 관리 프로세스 상 실질적으로 측정 가능한 측정지표를 제시한다. 평가 프레임웍은 네 가지의 주요 측정 메트릭에 근거하여, 세 개의 데이터 영역(연구기관, 모니터링, 데이터관리센터) 별로 구성된다. 본 평가 프레임웍의 개발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델파이 방법론으로 접근한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실증적 후속 연구를 과제로 남기고 있다.

공공 전자기록관리의 경제성 분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of Electronic Records & Archival Management in the Public Institutions)

  • 현문수
    • 기록학연구
    • /
    • 제47호
    • /
    • pp.255-28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비용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이 전자기록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거나 민간 기록관리기관에 그 저장과 보존을 위탁하고자 하는 결정을 내릴 때 관리 비용을 비교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MMPER 비용 모형을 기본 틀로 선정하였으며, 자체관리와 위탁관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과 요소, 요인을 수정하여 M-CoMMPER를 구성하였다. 모형 수정을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공공 전자기록의 위탁 관리 시 추가로 고려해야할 영역과 요소를 배치하고, 범용요인 리스트를 제안하여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록관리기관이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범용 비용 요인을 포함하여 수정된 CoMMPER 모형을 공공기관이 자체관리와 민간 위탁관리의 경우를 나누어 적용해보면서 그 경제성을 분석할 때에 고려해야 할 지점을 드러냈다.

전자문서 아카이빙 표준모델 연구 (A Study of Standard Model for Electronic Document Archiving)

  • 이원영;강진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64
    • /
    • 2005
  • 2003년 개정된,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동 시행령에서는 전자문서의 생산의무와 보존의무를 지정하였으나 장기보존과 관련된 법조항이나 관련 표준은 그 내용이 아주 미미하여 보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문서의 장기보존을 위한 표준요소를 제공하여 전자문서의 보존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관리 전략수립을 위하여 생산시점의 장기보존요소 추출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현용${\cdot}$준현용 단계 전자문서의 장기보존은 ISO 15489의 관리요소를 아카이브단계는 ISO 14721: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참조모델을 분석하여 장기보존기능이 반영된 법률과 보다 개선된 시스템 환경을 제안하였다.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의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lements Analysis of Metadata for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 남영준;장보성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1-26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구독하는 전자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필수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를 제안하였다. 제안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DLF ERMI 권고안을 비롯하여 해당 권고안을 제안한 연구컨소시엄에 참여한 UCLA 대학도서관, 노스캐롤라이나주립 대학도서관, Boston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의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상의 기초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국내 전자자원관리담당자에 검증을 받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였다. 트라이얼 법주는 트라이얼 URL을 포함한 총 12개 요소, 컨소시엄 법주는 컨소시엄 명을 포함한 총 15개 요소, 수서정보 범주는 부서 ID를 포함한 총 24개 요소, 라이선스 범주는 라이선서를 포함한 총 33개 요소, 전자자원 정보는 P-ISSN을 포함한 총 21개 요소, 접근/관리정보는 관리자ID를 포함한 총 20개 요소, 이용통계 범주는 이용통계 유형을 포함한 충 13개 요소, 워크플로우 범주는 워크플로우ID를 포함한 총 14개 요소, 연락정보 범주는 연락ID를 포함한 총 18개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