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beam cur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전자선 가교 방법을 이용한 탄소/탄화규소 복합재 제조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SiC Composite by Electron Beam Curing)

  • 신진욱;전준표;강필현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75-580
    • /
    • 2009
  • 폴리카보실란에 탄소직물을 보강제로 이용하여 제조한 탄소/탄화규소 복합재는 좋은 내산화 특성과 열 충격에 강한 특성으로 인해 높은 온도의 구조체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함침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탄소직물에 폴리카보실란 용액을 함침한 후, 전자선을 이용하여 가교하고, 열분해 과정을 통해 탄소/탄화규소 복합재로 제조하였다. 실험 결과 복합재 시료의 공극률과 밀도는 각각 13.5%와 $2.44\;g/cm^3$을 나타냈고, 내산화 특성은 지속적인 고온의 산화 분위기에서 95.9%의 잔류량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제조한 탄소/탄화규소 복합재의 우수한 내산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전자선에 의해 제조된 나노 clay 함유 에폭시 수지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poxy Resin Containing Nano Clay Prepared by Electron Beam)

  • 박종석;이승준;임윤묵;정성린;권희정;신영민;강필현;노영창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3
    • /
    • 2015
  • Epoxy resin is widely used as aerospace, automobile, construction and electronics due to their good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nd environmental advantages. However, the inherent flammability of epoxy resin has limited its application in some field where good flame retardancy is required. Nano clay can enhance the properties of polymers such as flames retardancy and thermal stability.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nanoclay filled epoxy composite, which has good flame retardancy while maintaining high mechanical properties. The cured epoxy resins were obtained using an electron beam curing process. The nano clays were dispersed in epoxy acrylate solution and mechanically stirred. The prepared mixtures were irradiated using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The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gel content and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Moreover, the flammability of the composite was evaluated by limited oxygen index (LOI). The flame retardancy of nano clay filled epoxy composite was evidently improved.

전자선 경화를 이용한 에폭시 수지의 열안정성과 경화동력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rmal Stability and Cure Behavior of Epoxy Resins using Electron-beam Curing Technique)

  • 박수진;허건영;이재락
    • Composites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40-47
    • /
    • 2002
  • 이관능성 에폭시 수지인 DGEBA와 DGEBF를 양이온 촉매인 BQH를 사용하여 전자선(electron-beam) 경화 기술에 의해 경화하였다. 그리고 수지의 구조적 차이가 열안정성과 경화동력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적 결과에 의하면, Horowitz-Metzger 법에 의한 분해 활성화 에너지는 DGEBA의 경우가 높았지만 적분 열분해 온도(IPDT)는 DGEBA가 DGEBF 보다 낮았다. 이것은 DGEBF 주사슬의 수소 결합으로 인해 가교밀도가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근적외선 분광기(NIRS)를 사용하여 $5235\;cm^{-1}$$7000\;cm^{-1}$에서의 hydroxyl band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친환경 UV/EB 경화형 기능성 코팅 기술 (Environment-friendly Coating Technology of UV/EB Radiation Curing)

  • 이정복;이진휘;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9-173
    • /
    • 2012
  • UV 경화기술은 라디칼 경화와 양이온 경화로서 크게 2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플라스틱과 금속간의 여러 기재에 대한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표면처리기술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반면에, Electron beam 기술은 새로운 기능성 재료들을 창출하기 위해 중합공정뿐만 아니라 가교반응들을 다루었다. 이들 두 기술들은 종래의 열경화성 코팅과 비교할 때, 에너지이용 효율과 환경 친화적이어서, 건조와 경화 공정으로 부터 배출되는 탄산가스와 휘발성 유기물을 대폭 감소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UV 경화 코팅에서 흔히 사용되는 라디칼 경화기술과, 최근의 있는 양이온 경화와 관련된 기술을 다룬 리뷰 논문이다.

양이온 개시제 함량이 2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Electron-beam 경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tionic Initiator Content on Electron-beam Curing of Difunctional Epoxy Resin)

  • 박수진;허건영;이재락;서동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0-25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이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전자선 (EB) 경화에 양이온 개시제 함량이 미치는 영향을 근적외선 분광기 (NIRS), 열중량 분석기 (TGA), 그리고 임계응력 인자 (KIC)를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개시제로서 benzyl- 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 (BQH)을 사용하였으며, 함량은 0.5, 1, 2, 그리고 3 phr로 변화시켰다. NIRS 측정에 의해 BQH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EB 경화된 에폭시 수지의 수산화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열안정성과 $K_{IC}$는 BQH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함량이 2 phr을 넘으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에폭시 수지의 경화반응 전환율과 경화도의 감소로 설명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BQH의 함량이 2 phr 이상이 되면 에폭시 수지의 경화반응 전환율과 경화도가 높은 반응성에 기인한 불완전한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서 제한되기 때문에 열안정성과 $K_{IC}$가 낮아진다고 생각된다.

UV 나노임프린트를 위한 UV 경화성 수지의 경화 모델 개발

  • 이진우;조동우;이응숙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3-13
    • /
    • 2004
  • 나노테크놀러지 중의 한 가지인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기술은 수 ∼ 수십 나노 급의 선폭을 가지는 스탬프(stamp)를 전자빔 리소그래피(electron beam lithography)를 이용하여 제작한 후 스탬프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형상을 원하는 곳에 모사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크게 열을 가하는 방식과 UV 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방식으로 나뉜다. 열을 가하는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방식의 경우는 열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고온 조건에서 스탬프를 고압으로 눌러 원래의 형상을 모사하며, UV 나노임프린트는 광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수지를 경화 시켜 모사하는 차이점이 있다.(중략)

  • PDF

전자빔을 이용한 Poly(dimethyl siloxane)의 개질 (Electron Beam-Induced Modification of Poly(dimethyl siloxane))

  • 강동우;국인설;정찬희;황인태;최재학;노영창;문성용;이영무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57-1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poly(dimethyl siloxane)(PDMS)을 개질하였으며 그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PDMS 시트를 기존의 열경화법을 통해 제조한 후 20에서 200 kGy의 흡수선량P로 전자빔을 조사하였고, 조사된 시트들의 특성을 팽윤도 및 접촉각 측정, 만능시험분석기(UTM), 열중랑분석기(TGA), X선 광전자 분광기(XPS)들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팽윤도 측정, UTM 및 TGA 결과, 전자빔 조사에 의해 PDMS 시트의 가교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사된 PDMS 시트의 팽윤도는 순수한 것에 비해 최대 24%까지 감소하였고 압축강도와 열분해온도는 순수한 것에 대비 각각 최대 2.5 MPa와 $10^{\circ}C$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촉각 측정과 XPS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자빔 조사에 의한 산화 반응에 의하여 PDMS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PDMS 표면의 젖음성은 순수한 것에 비해 최대 24%까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원심력을 이용한 원통형 증기화 증폭 시트 제작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vaporization amplification sheets using centrifugal force)

  • 고민성;위은찬;윤이섭;이주형;백승엽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6권1호
    • /
    • pp.43-49
    • /
    • 2022
  • As technologie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develop, high-quality parts are required. In the past, precision parts were produced by the contact machining method, but the contact machining method has clear limit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on a non-contact processing method has been conducted, and laser processing and electric discharge processing are representative. However, the non-contact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continuously process microholes. Researchers have developed an electron beam drilling equipment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fine holes, and a vaporization amplification sheet to increase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equipment. In this study, a cylindrical vaporization amplification sheet using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silicon was fabricated, and the metal distribution and thickness uniformity of the produced sheet were analyzed. In order to manufacture a cylindrical vaporization amplification sheet, an equipment capable of using centrifugal force was developed, and a sample in which metal powder was evenly distributed and a constant thickness was pro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