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ion poll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The Third- and First-Person Effects of Election Polling News Through Emotions

  • Kim, Hyunju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262-276
    • /
    • 2022
  •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the third- and first-person perceptions of election polling news are linked to voters' political behaviors through anxiety and pride. The results of two web-based survey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2022 local elections in South Korea demonstrate that the third-person perception of election polling news is directly and indirectly linked to support for restrictions on media reports of election poll results through anxiety. The first-person perception of polling new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inforcement of support for the preferred candid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w voters perceive the effects of polling news may have actual impacts on their political behaviors.

"This Unfavorable Poll Result for My Candidate Doesn't Affect Me but Others": Third-Person Perception in Election Poll Coverage

  • Shin-Il Moon;Yunjin Choi;Sungeun Chu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74-303
    • /
    • 2023
  • The third-person perception phenomenon can consistently be found in opinion poll news, but it remains unknown what determines the degre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PP) about specific election poll news. We investigated how respondents' preferred candidate's status in the poll affects the perceived impact of polling news on both themselves (PMI1) and on others (PMI3) as well as TPP (PMI3 - PMI1).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subjective political knowledge and the perceived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of others on TPP.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gubernatorial election in South Korea, in which the leading candidate in the poll and the question order (self-question first vs. other-question first) were manip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MI1 and PMI3 were greater when the respondent's preferred candidate was leading in the poll. TPP did not differ depending on subjective knowledge, but it was greater when the others were non-experts (vs. experts). Lastly, question order was found to be a method factor that affected both PMI1 and PMI3.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선거예측과 출구조사 : 16대 대선을 중심으로 (Election Forecasting and Exit-poll :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 김정훈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87-102
    • /
    • 2003
  • 한국에서 선거여론조사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선거예측의 정확성 제고를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 끝에 예측력 향상은 빠른 시일 내에 큰 발전을 이루어 왔다. 표본추출과 실사관리의 엄격함은 물론, 현실에 맞는 새로운 자료수집 방범의 도입, 과학적인 통계분석 기법의 확립 등의 다양한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의 전화조사만을 통한 예측이 많은 한계를 드러냄에 따라 출구조사를 통한 예측이 보다 큰 관심을 받아 온 가운데, 2002년 12월 16대 대선에서 완벽한 예측을 해냄으로써 출구조사의 정확한 예측력을 널리 선보인 바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출구조사의 방법론적 특성과 예측력을 좌우하는 요인에 대해, 지난 대선 출구조사의 기획과 실행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 PDF

무응답을 포함하는 범주형 자료의 분석 (Analysis of categorical data with nonresponses)

  • 박태성;이승연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1호
    • /
    • pp.83-9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여론조사를 비롯한 표본조사에서 얻어지는 범주형 자료에서 결측치(missing observation)나 무응답(nonresponse)이 발생했을 때 이러한 자료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분석할 수 있는 통계모형을 소개하고 실제 사례로서 1948년도에 미국에서 실시한 대통령 선거에 대한 여론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당시 미국 여론조사 기관에서는 Dewey 후보가 압승을 거둘 것으로 예상을 했지만 실제 선거에서는 Truman 후보가 승리했었다.

  • PDF

출구조사를 위한 투표소 확률추출 방법 (Probability Sampling to Select Polling Places in Exit Poll)

  • 김영원;엄윤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1-32
    • /
    • 2005
  • 출구조사에서 투표소 추출방법은 출구조사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구 추출법을 대신할 수 있는 정렬계통추출법을 제안하고 그 활용 가능성 및 효율성을 분석한다. 아울러 제시된 정렬계통추출법을 사용하는 경우 추정량의 표본추출오차(sampling error)가 어느 정도 되며, 원하는 목표 오차를 만족하기 위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2004년 17대 총선 개표자료를 토대로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제시된 정렬계통추출법이 기존의 대표구 추출법에 비해 평균예측오차 관점에서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고, 기존의 출구조사에서 표본크기 및 추정오차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집락효과를 이용해 설명했다. 아울러 제안한 정렬추출법에서 얻어지는 추정량의 분산을 구하고, 설계효과 개념을 이용해 표본크기 결정문제를 다루었다.

  • PDF

선거여론조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006년 지방선거 전화조사를 중심으로 (How to Improve the Electoral Polls? : The Case of the 2006 Local Elections)

  • 김지연;나윤정;이명진;조성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8권1호
    • /
    • pp.31-54
    • /
    • 2007
  • 이 글은 2006 지방선거 시기의 여론조사의 경우를 중심으로 선거여론조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살펴본 것이다. 여론조사방법의 문제점인 표집방법, 무응답자 분류방법 및 투표율 추정절차 등을 검토하였는데, 현재 사용되는 할당표집 및 그것의 보완방법으로 제시된 방안으로는 조사의 정확도 제고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무선표집방안과 무선번호추출방안을 발전방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여론조사의 새로운 활용방식으로서 KBS에서 시도한 여론조사를 이용한 유권자 의제분석 과정도 살펴보았다. 이 글은 조사방법에 대한 새로운 발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표집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적인 개선과 함께 여론조사에 대한 비용산정 방식도 바뀔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PDF

선거의 원칙에 대한 재고찰 - 에스토니아 전자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Review of the principle of election - Focusing on the Estonia e-voting case)

  • 문은영
    • 정보화정책
    • /
    • 제29권4호
    • /
    • pp.67-90
    • /
    • 2022
  • 코로나-19 팬데믹 정점에서 치러진 2022년 3월 대통령선거는 확진자와 격리자가 투표권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해 보통선거의 원칙이 훼손되었다는 비판을 크게 받게 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현행 종이투표 투표소 투표의 시공간적 제한을 근본적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전자투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문제는 보통선거권 확대로 평등·직접·비밀선거의 원칙과 충돌하거나 침해할 소지가 높아지는 점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2005년 전자투표를 도입한 이래 11번의 전국 선거를 별 탈 없이 진행하고 있는 에스토니아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에스토니아는 선거의 원칙에 대한 정치적·헌법적 합의와 함께 전자투표 운영에 대한 사회-기술적 시스템 전반에 걸친 제도화 및 일상화를 통해 시스템, 정부, 사회에 대한 신뢰를 성공적으로 구축해왔다. 이에 우리도 기술적 발전과 수준에서 전자투표의 가능성만을 따져보는 것이 아니라 규범적인 관점에서 선거의 원칙 간의 갈등을 조정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신뢰 구축을 위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2008 총선 출구조사의 총조사오차 분석 (A Total Survey Error Analysis of the Exit Polling for General Election 2008 in Korea)

  • 김영원;곽은선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33-5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008년 18대 총선의 출구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출구조사의 정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총조사오차 개념을 새로 정의하고, 출구조사에서 발생하는 총조사오차가 투표소 추출오차와 투표자 선정 및 응답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사오차 중 어떤 것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지 분석했다. 또한 선거구별 무응답률이 총조사오차와 실사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율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출구조사 표본의 대표성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 선거구 내 표본 투표소 추출 관련 오차보다는 표본투표소 내에서 투표자 선택 및 응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응답률과 실사오차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정한 지지성향을 갖는 사람들의 응답 거절로 인해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오차가 커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울러 선관위와 출구조사 자료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성/연령대별 구성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소셜 미디어(SNS)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효과적인 여론조사 예측 모델 분석 (Analyzing Effective Poll Prediction Model Using Social Media (SNS) Data Augmentation)

  • 황선익;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00-1808
    • /
    • 2022
  • 선거기간이 되면 많은 여론조사 기관에서 후보자별 지지율을 조사하여 배포한다. 과거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의존하여 지지율을 조사할 수밖에 없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SNS나 커뮤니티를 통해 국민 여론이 표출된다. 따라서 인터넷상에 표출된 국민 여론을 자연어 분석을 통해서 파악하면 여론조사 결과만큼 정확한 후보자 지지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 데이터를 통해 유저들의 정치 관련 언급을 종합하여 선거기간 후보자의 지지율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게시글에서 지지율을 분석하기 위해 KoBert, KcBert, KoELECTRA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여론조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모델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 Practical and Secure Electronic Election System

  • Lee, Yun-Ho;Won, Dong-Ho
    • ETRI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55-65
    • /
    • 2012
  • E-voting is expected to offer prominent advantages over traditional voting methods. Advantages include faster tallying, greater accuracy, prevention of void ballots, and lower cost. However, many experts express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for large-scale fraud. Recently, many paper based end-to-end (E2E) voter verifiable systems providing individual verifiability and universal verifiability have been proposed. These systems, unlike previous voting systems, are used in polling booths and without access to trusted computing devices at the time of vot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actical and secure E2E voter verifiable system using a paper receipt based on cryptographic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