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household type without childre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고령자 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구축 연구 : 노인단독가구 유형별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구도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Elder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Environment : Focused on the Needs for Ubiquitous Home Services by Elderly Households without Children)

  • 권오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105-12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ubiquitous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older residents' needs for ubiquitous(UT) home services. For this purpose, at the previous study which was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UT home services by each elderly household based on spouse,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were identified and this study finally proposed UT home services by each elderly household type according to residents' level of needs for UT home services. One to one interview with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and illustration was implemented and 204 older residents who were composed of one of six elderly household types were responded. Among 6 types of elderly households, type 2 and 6 were the groups which had higher needs for various kinds of UT home services. Economic status and their health status were the key factors to determine their needs for UT home services. Type 4 and 7 were the groups to express their lower needs for UT home services due to their lower income level and good health condition. Ultimately, two floor plans for type 4 and 5 elderly households were developed to show applicable UT home services in each room of the house.

老人家口의 同別居 類型에 關한 硏究 - 충남 서산 지역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ving Arrangement Type of the Elderly -Focused on Seo-San Area in Choong-Nam Province-)

  • 이인수;장세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69-77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living arrangement in later life. In this study, 276 Koreans aged 60 or more were interviewed for their current household structure. The results are drawn as follows: 1. Of all the households with at least one person aged 60 or more, those living in three generations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39.9 percent. For the regional difference, the rate was slightly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rural areas. 2. 48.7% of the subjects living in owned homes were households with elderly only, but only 23% of those living in rented homes are elderly only. Overall, the rate of elderly-only households becomes the highest for those living in owned single structure hom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lderly with higher 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live without children than others. 3. As for birth order, those who grew up as the first child are most likely to live in elderly-only households, while others are in three generation homes. 4. The elderly with few children are more likely to live independently than those with many children, not because they are without dependable children, but because spend less resource for childbearing and therefore are more independent. 5. Overall in this, it is supported that socioeconomic status and independability are more influential factors on living arrangement of the elderly than regional or emotional factors.

  • PDF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Predictive Factors of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 강현정;김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23-334
    • /
    • 2011
  • 본 연구는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 2008년도 고령화연구패널(KLoSA) 2차 data 중 65세 이상 노인 4,040명을 대상으로, 노년기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경제적 배제를 경험하는 노인이 45.4%, 근로배 제 78.7%, 주거배제 17.8%, 건강배제 43.8%, 교육배제 33.7%, 사회활동 배제 34.3%로 근로배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배제의 경우 노인의 연령이 많을수록, 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손자녀를 돌볼 경우 경제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 배제는 노인이 여성인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아파트에 거주할 경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근로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배제의 경우, 노인의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일반주택에 거주할 경우, 생존자녀수가 적을수록 주거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인 경우, 연령이 많은 경우, 기독교가 아닌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생존자녀수가 많을 경우 교육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인 경우에, 연령이 많을수록, 빈곤가구일 경우 건강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일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기독교가 아닌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사회활동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컸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노인의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기초적인 연구로 가치가 있다.

老後 住居狀況 差異에 關한 硏究 -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Changes of Housing Conditions in Later Life -Regional Comparison of Urban vs Rural Elderly-)

  • 이인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1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housing status in later life. In this study, 234 Koreans aged 60 or more were interviewed for their current housing status. The results are drawn as follows: 1. The household size does not highly fluctuate in later life; it ranges from three to five overall. But there is a trend difference over region; The household size continuously increases until 70's in urban area, but it shows increase & decrease changes over five-year intervals. 2. The number of bedrooms slightly ranges from 3- to 3.8 over urban and rural areas without noticeable trend for age intervals. 3. Use of indoor area has regional difference; It ranges from 28 to 40 pyoung in urban area, but it does more widely form 27.7 to 50 in rural area. 4. There is a most significant region effect on structure type for the elderly; For the urban elderly, proportion of those living in single detached dwelling consistently decreases as age increases. For the rural elderly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those living in single detached dwelling sharply increases in their 70's and the rate reaches 85.7%. 5. For the ownership trend, more than 70% of the elderly are home owners at the age 60-64, but the rate continuously decreases in later life stage while the rate of those living in their children-owned home increases.

  • PDF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Private Income Transfers and Old-Age Income Security)

  • 김희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1호
    • /
    • pp.71-130
    • /
    • 2008
  •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적 안전망이 미흡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부양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사적소득이전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향후 노후소득보장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노동패널 자료에 따르면, 만 60세 이상 노인가구주 세대의 다섯 가구 중 두 가구는 매월 자식들로부터 생활비 등의 경제적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공공부조 등 공적소득이전은 사적소득이전을 구축하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금까지는 사적이전이 공적이전보다 빈곤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환위기 후 복지지출의 확대와 함께 공적이전의 비중이 대폭 높아져, 공적이전을 주 소득원으로 살아가는 만 60세 이상 고령자는 2003년 기준으로 약 4분의 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호지정을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면서도 수급권에서 배제된 것으로 추정되는 노인가구주 세대는 약 12%로서, 이들 가구의 빈곤 해소를 위해서는 예산 확보와 함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한 전달체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여전히 광범한 빈곤노인계층이 존재하는 한편, 고령인구에 대한 사적 부양이 공적 부양으로 전환되면서 재정건전성이 우려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소득재분배의 효과가 적고 경직적 비용부담이 큰 보편급여의 확대보다는 취약노인계층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